• 제목/요약/키워드: Geoba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45초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지오백 옹벽의 거동특성 평가 (Behaviour of Geobag Well System Using Recycled Waste Concrete)

  • 김진만;이대영;주태성;이준근;백영식;한상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39-4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지오백 옹벽의 거동특성 평가를 위해 대형 압축강도시험과 현장계측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주요내용으로는 폐콘크리트 지오백의 강도, 횡방향 토압, 뒷채움재의 변형특성, 벽체의 수평변위 거동 평가 등이다. 연구결과를 통해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지오백 옹벽의 변형이 보강토 옹벽의 허용변형 이내의 안정적인 거동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폐콘크리트 이용 지오백 옹벽은 재활용 순환골재 사용에 따른 경제성 및 조립시공에 따른 시공성 향상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장실험을 통한 식생토낭 보강토벽의 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Behavior of Full Scaled Geobag Retaining Wall Structure by Field Pilot Test)

  • 신은철;박경원;신희수;함경원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21-31
    • /
    • 2017
  • 식생토낭 공법은 토목섬유 콘테이너 공법의 일종으로 옹벽건설시 시공환경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자연친화적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토낭 보강토벽 시공방법을 식생토낭 비다짐 옹벽, 식생토낭 다짐 옹벽, 중력및 일반쌓기 혼용 옹벽, 게비온과 일반쌓기 혼용 옹벽 등 4가지 시공방법 대하여 계측기를 매설하고, 식생토낭 보강토벽의 거동특성을 평가하였다. 시공계측 결과, 식생토낭 일반쌓기 비다짐 구간에서의 변위가 게비온과 식생토낭 혼용구간 보다 최대 30%이상 발생하였다. 또한, 뒤채움부 무보강 2m이상 식생토낭 보강토벽은 변위에 대해 불안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토압의 분포는 시공직후 모든 구간 Rankine 및 Coulomb의 주동토압 이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집중강우 이후 일반쌓기 구간은 토압의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게비온과 일반쌓기 혼용구간이 일반쌓기 구간과 비교하여 보다 안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지오백 세굴보호공법의 현장 적용성 평가 (Field Evaluation of Scour Countermeasure Using Geobag)

  • 박재현;곽기석;이주형;정문경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51-1258
    • /
    • 2006
  • Field evaluation of new scour countermeasure using geobag and aggregate is performed to prepare for the basis of design and construction standard in Korea. Polyester non-woven geotextile is determined as a geobag material and tire cord is used to sew up the geobag which contain aggregate. Hwasang-gyo(bridge) is selected as a pilot test site through office review and field investigation. According to the design flood of Hwasang-gyo(bridge), the size and volume of geobag are calculated and construction area and required number of geobags are computed by considering the specification of the pier and foundation of the bridge. After construction, scour depth around geobag construction area is measured and the stability of geobag is ascertained by using pole and digital camera.

  • PDF

강우로 유실된 철도노반 긴급복구를 위한 지오백시스템 개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Geobag System for Urgent Restoration of the Collapsed Roadbed)

  • 조삼덕;황선근;이대영;이광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55-26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해마다 여름철 호우기에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철도노반 유실 현장의 신속한 복구를 위하여 사용되는 지오백의 공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일련의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본 복구시스템에 사용되는 지오백의 최적 크기는 일반적인 철도노반 유실 현장 상황을 고려하여 44cm$\times$66cm로 제안하였으며, 최적 채움도는 일련의 정적하중재하시험 결과 80%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축소모형실험을 통해 정적 및 동적 하중 재하시 지오백축조노반의 공학적 거동 특성 및 토압 분포특성을 평가하였다.

축소모형실험에 의한 지오백 축조노반의 공학적 특성 평가 (Evaluation of Engineering Properties of Geobags Roadbed by Model Test)

  • 조삼덕;이대영;이광우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35-642
    • /
    • 2002
  • A series of the experimental study were peformed to evaluate engineering properties of geobag which is used to the urgent restoration of the failed roadbed. In this study, the suitable geobag size was proposed to the 44cm wide by 66cm long and the suitable filling ratio of geobag was proposed to the 80% based on the loading test. Also a series of the model test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train behavior and the distribution of earth pressure of the geobags roadbed.

  • PDF

재생골재를 활용한 지오백 세굴보호공법의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n stability of scour countermeasures using geobag and recycled aggregates)

  • 이주형;박재현;정문경;곽기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233-244
    • /
    • 2009
  • A new bridge scour countermeasure using geobags and recycled aggregates which is more stable and economical than existing methods is proposed, and its stability was verified through material tests. PP short staple nonwoven geotextile and PET long staple nonwoven geotextile produc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a series of strength tests and a test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a suitable geotextile for geobags. A series of leaching test was also conducted to assess the potential environmental risk of recycled concrete produced in Korea when it is utilized as a material for protecting bridge piers against scour.

  • PDF

지오텍스타일 콘테이너 공법의 현장적용 및 평가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Geotextile Container Method)

  • 조삼덕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토목섬유 특별세미나
    • /
    • pp.19-31
    • /
    • 2000
  • Geotextile container method is an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method that is utilized to build up a breakwater and an underwater embankment, etc. using geotextile container, which is producted by filling the geotextile bag with sand or dredged materials. Geotextile containers are divided into geobags, geotubes and geocontainers based on their size and production method.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application for the geotextile container method is rapidly increasing in the world, and the development of the effective construction method is focused.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and the achievement of the geotextile container method will be introduced, and the practical construction examples and the trend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foreign country will be discussed.

  • PDF

준설토 주입방법에 의한 비닐튜브체의 퇴적 및 변형 특성 - 크레이터 방지 기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dimentation of Dredged Soils and Shape Changes of a Transparent Vinyl Tube by Filling Tests - Anti-Crater Formation -)

  • 김형주;성현종;이광형;이장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1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준설토 주입 후 튜브 내부 준설토의 퇴적분포가 튜브 형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준설토 주입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튜브 내 준설토의 퇴적분포와 튜브 거동에 대해 소개하였다. 튜브 내 준설토의 퇴적분포를 관찰하기 위해 투명 비닐소재를 사용하여 튜브를 제작하였고, 이때 튜브의 직경(D)은 0.5m와 0.7m이고 길이(L)는 모두 4.0m이다. 주입형태에 따른 튜브 내 준설토의 퇴적분포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 준설토 주입형태는 I-Type과 T-Type을 적용하였다. 실험은 주입, 침강 및 퇴적 후에 준설토 상부의 물을 배수과정에서 제거하고 슬러리 상태의 시료를 재주입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였고, 주입 및 배수 단계에서 튜브 내 준설토의 퇴적분포와 튜브의 연직 및 수평 거동을 관찰하였다. 주입실험 결과 I-Type 주입의 경우 크레이터 형성에 의한 부유 및 확산퇴적이 동시에 발생되는 분리퇴적에 의해 비균질 거동을 나타내고, T-Type 주입은 확산수평퇴적으로 인하여 퇴적 튜브 내 준설토가 균등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배수 초기 연직충진비($H/D_0$)는 0.54~0.64 정도이고 수평변형비($W/D_0$)는 1.45~1.54로 퇴적고는 준설토 충진에 비례하여 증가하나 수평변형비는 일정하거나 감소하면서 튜브체의 중심은 상향이동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