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BIM(Geospatial BI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지하공간건설정보모델링(GeoBIM) 기반의 디지털 트윈 구축사례에 관한 연구 - 제주도 재암천굴, 정구수굴 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digital twin construction based on geospati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GeoBIM) - Focusing on the case of Jaeamcheon-gul and Jeonggusu-gul in Jeju Island -)

  • 이종현;안준상;최재웅;백용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20-30
    • /
    • 2021
  •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construction is actively researched,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field, and one of the key elements in this field i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In Korea, smart construction is being implemented through BIM-based digitization and intelligence.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field should also prepare for the introduction of BIM.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application status of GeoBIM were identifi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as presented. This study is a part of the study "Establishment of GeoBIM-based Digital Twin Maintenance System" in the current "Technology Development for Establishment of Jeju Ground Collapse Response System for Safe Road Operation". The subject and scope of the study is continuous excavation at caves located under roads in Jeju Island, and initial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Jaeamcheon-gul and Jeonggusu-gul. This study aims to build a digital twin through individual data construction and integration processes such as cave shape modeling using laser scanners, 3D stratum modeling using borehole information and geophysical exploration data, and modeling of surrounding conditions using drones.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항만구조물 토목-BIM 구축을 위한 표준화 연구 (A Study on Standardization for Civil-BIM Construction of Harbor Structure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Technique)

  • 민병근;박동현;장용구;강인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3-9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BIM 관련 선행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BIM의 동향과 BIM 관련 소프트웨어 분석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토목분야에서의 BIM 특히,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항만구조물 BIM구축을 위한 레이어 표준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 2차원 및 건축기반의 BIM의 문제점과 토목-BIM의 적용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항만구조물을 대상으로 한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토목-BIM의 레이어를 제시하고,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을 대상으로 구축한 기존 BIM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항만분야의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토목-BIM 표준화 및 적용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지형공간정보체계 기반의 토목-BIM DB구축 우선순위 선정 (Prioritizing of Civil-BIM DB Construction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박동현;강인준;장용구;이병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3-79
    • /
    • 2015
  • 최근, BIM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여러 공사에서 BIM을 활용한 설계가 시도되고 있지만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 상이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경우 상호 호환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도입 후 BIM이 위치정보와 연계된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에 활용되기보다 단순히 성과품 제출이나 시각화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과위주의 BIM성과제출은 무의미하며 활용성이 미비하다고 판단되어 지형공간정보체계와 BIM의 기술 접목을 해결책으로 생각하여, BIM 관련 선행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BIM의 동향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토목분야에서의 BIM 특히,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토목-BIM구축을 위한 DB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BIM의 대용량 DB가 향후 지형공간정보기술과 토목-BIM의 연계구축 시스템의 성능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최적의 전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DB만을 선별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필요한 공간분석기술에 대해 서술하였다.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원시자료의 활용도 평가 (Evaluation on Practical Use of Raw Data for 3D Indoor Space Modeling)

  • 김윤지;유병민;이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33-43
    • /
    • 2014
  • 최근 실내공간에서 활동하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3차원 실내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내공간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은 LoD 4 (Level of Detail 4) 수준의 객체지향 형태로 수행되고 있으며, 원시자료에 따라 준공도면, 레이저스캐닝, BIM데이터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델링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 정립된 프로세스는 실내공간 모델링 데이터 구축작업의 기반이 되며 구축된 모델링 데이터는 실내공간 보행자 내비게이션, 시설물관리 및 재난관리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활용가능하다. 그러나 정립된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세스 기반으로 수행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모델링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효율적인 모델링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실내공간 모델링 수행 지원을 목적으로 원시자료의 활용도 평가를 제안한다. 기존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세스 분석을 통해 활용도 평가를 위한 필요요건을 정의하고, 검증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방법은 서울시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준공도면을 적용하여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