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data Model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22초

수학적 형태학 처리를 통한 주행 중 과속 방지턱 자동 탐지 방안 (A Study on Automatic Detection of Speed Bump by using Mathematical Morphology Image Filters while Driving)

  • 주용진;함창학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5-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방위 카메라(Omni-directional Camera)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Speed Bump)을 탐지하고 Vision Based Approach 통한 실시간 과속 방지턱 데이터의 갱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카메라 영상정보에서 과속 방지턱을 검출하기 위해 잡음을 제거하고 이를 구성하는 형상과 패턴으로 여겨지는 점들을 우선적으로 탐지하여야 한다. 과속방지턱은 일정한 폭과 규칙적인 형태를 유지하며 흰색과 노란색의 영역을 가지고 있음에 착안하여 침식과 팽창을 이용한 형태학적 연산과 HSV칼라 모델을 적용하여 도로상의 과속방지턱을 추출하였다. 카메라에서 거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여 대상 객체를 검출하고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시적 위치추정 및 지도작성 (SLAMs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시스템을 구현하여 탐지알고리즘과 취득결과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사면에서 발생하는 액상화 수치해석 (Numerical Modeling of Soil Liquefaction at Slope Site)

  • 박성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6호
    • /
    • pp.133-14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저자가 제안한 유효응력모델을 이용하여 지진시 사면의 동적거동에 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항복함수는 동일한 응력비를 가진 무한개의 방사선을 의미하며, 비관련 유동규칙을 가진 탄소성모델인 UBCSAND를 이용하였다. 이 모델은 FLAC내에 내장된 Mohr-Coulomb모델을 변형한 형태이다. UBCSAND모델을 이용하여 RPI에서 수행한 원심모형실험결과를 예측하였다. 먼저, UBCSAND모델을 Nevada모래를 사용한 반복 직접단순전단시험결과를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액상화전후의 거동을 예측하였다. 이와 같이 검증된 모델을 원심모형실험에서 계측된 가속도, 과잉간극 수압, 변위와 서로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계측치와 예측치가 일치하였다. 유효응력모델을 이용한 동적 수치해석기법은 서부 캐나다에서 댐, 교량, 터널, 파이프라인과 관련된 액상화 프로젝트에 실제 사용되고 있다.

  • PDF

비점오염원 처리를 위한 혼합여재의 개발 및 흡착 Kinetic 연구 (The Sorption Kinetic Studies and Development of Mixed Culture for Removal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정우진;이시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37-44
    • /
    • 2012
  • 본 연구는 모래, HAP, Zeolite, 혼합여재에 의한 비점오염원 흡착 반응을 조사하였다. 오수에 대한 모래, HAP, Zeolite와 혼합여재의 흡착은 연속적인 회분식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회분식 실험 후 COD, T-N, T-P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kinetic model은 유사 1차반응을 통해 분석하였다. Langmuir와 Freundlich isotherm model을 사용하여 적용성을 조사하였다. COD 최대흡착량$(Q_{max})$의 값은 각각 모래 0.0511mg/g, HAP 0.1905mg/g, Zeolite 1.0366mg/g, Mixed media 0.7444mg/g T-N 최대흡착량$(Q_{max})$의 값은 각각 모래 0.0159mg/g, HAP 0.0537mg/g, Zeolite 0.5496mg/g, Mixed media 0.1374mg/g T-P 최대흡착량$(Q_{max})$의 값은 각각 모래 0.0202mg/g, HAP 0.1342mg/g, Zeolite 0.0462mg/g, Mixed media 0.1180mg/g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혼합여재는 비점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다.

부력방지를 위한 연직배수공법의 양압력 분포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Positive Pressure Distribution in Vertical Drainage Method to Prevent Buoyance)

  • 홍종인;김남철;박영신;이동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0호
    • /
    • pp.33-39
    • /
    • 2023
  • 지하공간의 이용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지하구조물에 작용하는 수압에 대한 안전성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와 같은 지하수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가지 부력방지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최근 경제성과 시공성이 뛰어나고, 안정성이 좋은 연직배수공법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설계 시공되는 연직배수공법의 경우 수치해석에 의존하여 설계 시공되는 경우가 많아 실측적인 안정성 판단을 기대하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형토조를 이용해 연직배수시스템을 설치하여 양압력을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의한 측정값과 수치해석값을 바탕으로 작용양압력을 비교·분석하여 현장적용이 가능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조립질 지반에서의 수평배수재 종류에 따른 배수성능 비교 (Comparisons of Drainage Performance on Coarse Grained Soils with Regard to Horizontal Drainage Type)

  • 방태완;조완제;설승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1호
    • /
    • pp.25-31
    • /
    • 2023
  • 대표적인 비탈면 배수공법인 수평배수공은 비탈면 내 간극수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국내외에서 다수 활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연구들이 선행되어 왔으나, 수평배수공의 수량을 산정하기 위한 명확한 설계기준이 없어 획일적으로 시공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수평배수공의 배수성능과 영향인자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현장토를 이용하여 모형토조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배수재 형상이나 크기에 따른 배수성능을 비교하고자 입도분포가 다른 시료에서의 유출량 결과를 비교 및 검토하였다. 정상류 상태에서 배수실험을 확인하기 위해 유출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최소 3분에서 최대 15분 뒤 일정한 속도로 배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립질 지반에서 단일 시간당 유출되는 양(단위 유출량)으로 비교한 경우, 배수재 형상과 크기에 따른 배수효과가 상이하여 배수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세립질 지반에서의 배수 성능실험과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규모 실험을 이용한 그라운드 앵커의 거동 특성 평가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Ground Anchor Using Large Scale Laboratory Test)

  • 이상래;설승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1호
    • /
    • pp.19-24
    • /
    • 2023
  • 그라운드 앵커 공법은 최근 깎기 비탈면과 교대 등의 보강을 목적으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라운드 앵커는 구조물의 사용연한 이상의 내구성을 확보하여야 하지만 국내 고속도로에 시공된 대부분의 앵커에서 장기적인 긴장력 손실이 발생하여 안정성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실규모 모형실험을 통하여 긴장력 감소원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물-결합재 비가 55%가 되는 시점부터 부착력의 감소현상이 나타났으며, 인장쐐기의 영향으로 강연선 파단강도의 14%의 감소현상이 나타났다. 지반강도, 앵커형식, 지하수의 유무에 따라 극한인발력이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지하수의 유무는 그라우트의 강도 및 품질에 관여하여 앵커의 거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거동에서는 초기 정착이 안정되는 시점까지 급격하게 하중이 감소하다가 이후에는 일정하게 긴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PPLICATION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ON X3D-BASED SEMANTIC WEB USING SMART GRAPHICS

  • Kim, Hak-Hoon;Lee, Kiw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586-589
    • /
    • 2006
  •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is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data sets to engineering application, as well as conventional scientific application. However, despite this general view, there are a few target applications using this information.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for the future wide uses in associated with smart graphics of this information is investigated. The concept of smart graphics can be termed intelligent graphics with XML-based structure and knowledge related to semantic web, which is a useful component for the data dissemination framework model in a multi-layered web-based application. In the first step in this study, high resolution imagery is transformed to GML (Geographic Markup Language)-based structure with attribute schema and geo-references. In the second, this information is linked with GIS data sets, and this fused data set is represented in the X3D (eXtensible 3D), ISO-based web 3D graphic standard, with styling attributes, in the next stop. The main advantages of this approach using GML and X3D are the flourished representations of a source data according to user/clients’ needs and structured 3D visualization linked with other XML-based application. As for the demonstration of this scheme, 3D urban modelling case with actual data sets is presented.

  • PDF

토지피복 상태와 강수조건을 고려한 장기 지하수함양량 추정 (서귀포시 지역을 중심으로) (Estimation of Long-term Groundwater Recharge Considering Land-Cover Condition & Rainfall Condition (Focusing on Seogwipo))

  • 안승섭;이상일;오영훈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7호
    • /
    • pp.39-47
    • /
    • 2012
  • 강수량의 변화가 지하수 함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상 유역의 최근 30년간(1980년~2010년) 기상개황 자료로 SWAT모형을 이용하여 대표 강우년별(최다, 평균, 최갈수년) 수문인자를 도출하였으며, Markov Chain모형을 이용하여 추정된 토지이용 자료를 SWAT모형에 적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SWAT모형을 이용하여 본 연구대상지역을 대표 3개 유역으로 구분하고, 1975~2010년까지의 기상자료에 년도별 토지이용 상태로 적용 분석한 결과, 적용 기간 평균 지하수 함양률은 30%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의 제주지역 지하수 함양량 분석연구에서 나타난 40-50%보다 훨씬 적은 값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투수성 다공질 지층이 제주지역의 지질특성을 고려하더라도 개발형태가 비투수성 포장형태이고, 개발된다면 육지지역과 같은 지하수함양특성과 비슷할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Markov-chain을 이용한 장래토지이용상태를 분석한 결과 장래의 토지이용은 2000년 현재에 비해 산림 3.4%감소, 농경지 0.2% 증가, 수계 1.0% 증가, 도심지 0.5%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토취장 개발 예정 지역의 수치모델을 이용한 지하수위 변동 예측 (Estimating Groundwater Level Variation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Large Borrow Site using MODFLOW Numerical Modeling)

  • 류상훈;박준형;김규범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0호
    • /
    • pp.15-2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산지 지형에서 토취장을 개발할 경우 상부의 지반 굴착으로 인한 지하수계의 변화를 현장 계측자료와 모델링을 활용하여 예측하고자 하였다. 9개소의 시추조사를 통하여 지층 분포와 수리상수를 구하고 현장 지하수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물수지 분석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한 후 Modflow 프로그램에 적용함으로써 지하수위 변화를 예측하였다. 토취장 개발로 40 El.m 이상 지역이 제거될 경우를 가정하여 부정류 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토취장 최인접 지역에서 최대 1m 정도의 지하수위 강하가 나타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절토로 인한 상부 지형의 제거는 9.4% 및 7.0%의 지하수 함양량과 지표 유출량의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는데, 이는 지하수위 변화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토취장 개발이 시작되면 이와 같은 지하수위 변화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지하수 관측정을 설치 운영할 필요가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과 웹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WPS 기반 위성영상 정보처리 (WPS-based Satellite Image Processing onWeb Framework and Cloud Computing Environment)

  • 윤구선;이기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61-570
    • /
    • 2015
  • 현재 위성정보 활용은 데이터 중심의 과학적 연구를 위주로 하고 있어 위성정보 처리나 응용 시스템에 대한 연구나 기술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위성영상정보는 다른 분야에 비하여 대용량의 정보 처리와 전문 분석 기능을 요구하기 때문에 응용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한편 정보시스템 분야에서는 웹 기반 표준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뿐만 아니라 프레임워크 등과 같은 내용들이 적용상의 장점과 실질적인 수요에 근거하여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인 오픈스택(OpenStack)과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위성정보 처리기능을 제공하는 웹서비스 시스템을 시험 구현하였다. 처리 기능은 서로 다른 웹 서비스 시스템 간에 상호 운영이 가능하도록 GeoServer에서 지원하는 WPS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클라우드 기반 웹 서버 구축에 따라 운영되는 클라이언트 측도 HTML 5와 JQuery, OpenLayers와 같은 오픈소스를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추가적인 현장 적용 실험과 수요자 요구 기능 추가 실험 등을 거쳐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과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공간정보 처리 표준 사양들이 복합적으로 요구되는 위성정보 분석 처리 시스템 구현을 위한 참고 모델로 이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