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tic segregation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9초

수도의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Horvath)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 연관분석 (Linkage Analysis of the Resistance Genes to Whitebacked Planthopper (Sogatella furcifera Horvath) in Rice)

  • 이영태;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6-151
    • /
    • 1984
  • 수도에 있어서 흰등멸구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N22(Wbphl)와 ARC 10239(Wbph2)의 흰등멸구 저항성 유전자의 연관 분석을 하기 위하여 V번 연관군을 제외한 11개 연관군의 표식 유전자를 가진 semi-dwarf 초형의 검정친과 N22및 ARC10239와의 교잡 F$_2$세대에서 12개 표식 유전자의 유전양식을 조사하고 F$_3$ 세대에서 흰등멸구에 대한 저항성의 분리를 조사하여, 이들을 이용하여 연관분석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N22와 검정친들과의 교잡 세대 F$_2$에서 lg, d-t, g, la, nl, bl, gl 둥은 우성과 열성이 3 : 1로, Bh는 9 : 7로 이론치에 맞게 분리하였으며, Cl, gh, Lh, bc 등 4개 형질은 오차가 컸지만 대체로 이론분리비에 비슷한 분리비를 보였다. 2. ARC 10239와 검정친들과의 조합 F$_2$에서 Cl, lg, Pn, g, la, bl, gl 등은 우성과 열성이 3 : 1로, Bh는 9 : 7로 분리하였으며, gh, Lh, nl, bc 등은 이론분리에 비하여 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3. N22의 Wbph1 유전자와 ARC 10239의 Wbph 유전자는 단순우성유전자이었으며 저항성 계통, 분리계통 및 감수성 계통의 분리비는 모든 조합에서 1 : 2 : 1 의 이론치에 합당하였다. 4. Wbph1은 II번 연관군의 liguleless (lg)와 36.8%의 조환가로 연관되어 있으며 Black hull(Bl)과도 35.9%의 조환가로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Bh는 II번 연관군의 Ph(Phenol staining)와 보족적으로 발현됨 을 고찰하였다. 5. Wbph 2는 검정된 I,II,III,IV,VI,VII,VIII,IX,X,XI,XII번 연관군의 Cl, lg, Pn, g, gh, Lh, la, nl, bl, bc, gl, Bh와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 이상에서 흰등멸구 저항성 유전자 Wbph2의 연관관계가 분명하지 못한 것은 사용된 Marker 유전자가 염색체상에서 저항성 유전자와 원거리에 있거나 Marker 형질의 발현특성에서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7. Wbph2의 연관관계는 본 실험에서 검토되지 못한 V번 연관군을 포함하여 독립성 검정에서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난 Ⅶ, Ⅷ, Ⅹ 및 XII 번 연관군과의 조합에 대하여는 재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ase with Emanuel Syndrome Resulting from a Maternal Balanced Translocation

  • Kim, Ja-Hye;Kim, Yoo-Mi;Lee, Beom-Hee;Kim, Ja-Hyung;Seo, Eul-Ju;Yoo, Han-Wook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9권1호
    • /
    • pp.35-37
    • /
    • 2012
  • Emanuel syndrome is a rare genomic syndrome which is characterized by multiple congenital anomalies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This syndrome is related to the presence of the supernumerary derivative chromosome originating from both chromosome 11 and 22. In most cases, one of the parents is a balanced carrier of a translocation. Our case results from 3:1 meiotic segregation of the maternal translocation carrier and is a rare case in Korea confirmed by genetic analysis.

Inheritance between Le Gene and Ti Gene in Soybean (Glycine max L.)

  • Lee, Kyoung Ja;Park, Mo Se;Sung, Mi Kyung;Kim, Myung Sik;Chung, Jong Il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7-100
    • /
    • 2008
  • Lectin protein and Kunitz trypsin inhibitor (KTI) protein of mature soybean seed are a main antinutritional factor in soybean seed. The Le gene controls a lectin protein and Ti gene controls the KTI protein in soybean. Ti locus has been located on linkage group 9 in the classical linkage map of soybean. Position of Le locus on linkage map was not identified.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i locus and Le locus could be useful in soybean breeding program for the genetic elimination of these fact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dependent inheritance or linkage between Ti locus and Le locus in soybean seed. Two $F_2$ populations were developed from three parents (Gaechuck#1, T102, and PI548415). The $F_1$ seeds from Gaechuck#1 (titiLeLe) ${\times}$ T102 (TiTilele) and Gaechuck#1 (titiLeLe) ${\times}$ PI548415 (TiTilele) were obtained. The lectin and KTI protein were analysed from $F_2$ seeds harvested from the $F_1$ plants to find independent assortment or linkage between Ti locus and Le locus. The segregation ratios of 3 : 1 for Le locus (129 Le_ : 44 lele) and Ti locus (132 Ti_ : 41 titi) and were observed. The segregation ratios of 9 : 3 : 3 : 1 (95 Le_Li_ : 34 Le_titi: 37 leleTi_ : 7 leletiti) between Le gene and Ti gene in $F_2$ seeds were observed. This data showed that Ti gene was inherited independently with the Le gene in soybean.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in breeding program for selecting the line with lacking both KTI and lectin protein in soybean.

A Genetic Linkage Map of Soybean with RFLP, RAPD, SSR and Morphological Markers

  • Kim, Hong-Sik;Lee, Suk-Ha;Lee, Yeong-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23-127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inkage map of soybean under the genetic background of Korean soybean. A set of 89 F/sub 5/ lines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Pureunkong', which was released for soy-bean sprout, and 'Jinpumkong 2', which had no beany taste in seed due to lack of lipoxygenase 1, 2, and 3. A linkage map was constructed for this population with a set of 113 genetic markers including 7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markers, 79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24 simple sequence repeat(SSR) markers, and 3 morphological markers. The map defined approximately 807.4 cM of the soybean genome comprising 25 linkage groups with 98 polymorphic markers. Fifteen markers remained unlinked. Seventeen linkage groups identified here could be assigned to the respective 13 linkage groups in the USDA soybean genetic map. RFLP and SSR markers segregated at only single genetic loci. Fourteen of the 25 linkage groups contained at least one SSR marker locus. Map positions of most of the SSR loci and their linkages with RFLP markers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 reports of the USDA soybean linkage groups. For RAPD, banding patterns of 13 decamer primers showed independent segregations at two or more marker loci for each primer. Only the segregation at op Y07 locus was expressed with codominant manner among all RAPD loci. As the soybean genetic map in our study is more updated, molecular approaches of agronomically important genes would be useful to improve Korean soybean improvement.

  • PDF

RAPD 마커를 이용한 무의 유전자지도 작성 (Construction of a Genetic Linkage Map in Radish(Raphanus sativus L.) Using RAPD Markers)

  • 안춘희;최수련;임용표;정해준;예병우;윤화모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151-159
    • /
    • 2002
  • 작물의 신품종 육성 과정에 있어서 선발은 육종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하지만 개체가 나타내는 표현형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유전적인 효과만 구분하여 선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최근에 분자생물학 분야의 연구가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분자 수준의 표지 인자를 유용 유전자의 간접선발 지표로 활용하여 선발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작물의 유전자 지도 및 분자 표지인자는 작물 육종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에서 양친인 '835'와 'B$_2$'에서 유래한 여교잡 집단 82개체를 이용하여 RAPD 유전자군 지도를 작성하고 관련 마커를 탐색하여 육종에 이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Primer 375종류를 이용하여 양친, 835와 B$_2$ 사이의 다형화 밴드 128개를 찾았다. BC$_1$F$_1$집단 조사를 통해 MAPMAK ER/EXP를 이용하여 연관군 지도를 작성하였다. 분리 분석된 RAPD 표지인자 128개 중 126개는 멘델의 이론 분리비 1:1에 적합하였으며. 2개는 동형접합체 (모본형) 쪽으로 편중되어 분리되었다. LOD 3.0 수준에서 128개의 표지인자가 9개의 연관군으로 나뉘어졌고 전체거리는 1,688.3 cM이었으며, 표지인자 간 평균거리는 13.8 cM으로 Lefebvre 등 (1996)이 발표한 자료를 참고하여 무 genome 전체의 유전적 거리를 계산한 결과 무의 유전자지도는 무 genome전체의 68.7%~80.1%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RAPD 마커에서 문제시되는 재현성 문제를 검정하기 위해 이를 STS 마커로 변환하고자 OPE10 primer에 의해 증폭된 특정 밴드를 클로닝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한 다음 얻어진 염기서열을 기본으로 하여 primer를 제작하여 PCR 하였다. 그 결과 10mer인 OPE10을 이용하여 분석했을 때와 동일하였으며 목적 밴드 외 다른 밴드는 생성되지 않아 앞으로 분자 마커로서 충분히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밀어속(genus Rhinogobius, Gobiidae)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II. 한국산 밀어(R. brunneus complex) 3型의 분포 및 분류학적 고찰 (Systematic studies on the freshwater goby, Rhinogobius species (Percifromes, Gobiidae). II. BEographic distribution and taxonomic status of three color types in the Rhinogobius brunneus complex from South Korea.)

  • 김종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4호
    • /
    • pp.331-347
    • /
    • 1996
  • 한국산 밀어(R. brunneus complex)에 대한 지리적 변이 및 분포를 조사한 결과 반 문 및 체색 등에 뚜렷한 차이가 있는 3type이 채집되었다. 이들은 유전적으로도 typerks에 총 genome의 26-30%(A-B type : 30%, A-C type : 30%, B-C type : 26%) 차이가 있어 유전적 근연치(Rogers' S)가 S=0.628-0.661(A-B type : 0.631, A-C type : 0.628, B-C type : 0.661)로 뚜렷한 유전적 차이를 나타냈다. 각 type의 유전적 변이 정도를 비교한 결과 A-type은 평균 P=25.90%, Ho=0.081, He=0.092로 B-type(P=12.33%, Ho=0.037, He=0.044)과 C-type(P=11.10%, Ho=0.032, He=0.048)에 비하여 약 2배 이상 높은 특징을 보였다. 이들 3 type의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구명하고자 3type이 모두 서식하는 고성의 북천에서 유전적 표식인자를 이용하여 각 typerks의 생식적 격리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들 3 type은 동서(同 棲)하천에서 하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parapatric 하게 서식하면서 각 typerks에 유전자 교 환이 전혀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3type은 이미 생식적 격리가 완성되고 미세분포역에 차이가 있는 별종으로 판단되었다.

  • PDF

Petunia에 도입된 bar Gene의 세대진전에 따른 발현 양상 (Expression in Successive Generations of bar Gene Introduced in Petunia)

  • 하영민;박상미;김주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261-266
    • /
    • 2004
  • Agrobacterium을 이용하여 도입된 유전자의 세대진전, 교잡 등에 따른 유전적 안정성을 확인코자, 형질 전환으로부터 얻어진 bar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식물체들을 상호 교배, 여교배, T$_4$ 세대까지의 자식의 반복 등에 의해 유전적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조합이나 계통에 따라서는 일부 멘델식 분리를 따르지 않고 제초제 Basta에 대한 저항성이 사라지거나 저항성개체보다 감수성개체가 기대치보다 많은 등의 경우가 있었으나, 대부분 멘델식 분리를 따르고 있어 세대진전, 교배 등에 의해서도 유전적 안정성이 높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nstruction of Genetic Linkage Map for Korean Soybean Genotypes using Molecular Markers

  • 조예진;박대진;한성진;오주호;황정규;고미숙;정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97-302
    • /
    • 2003
  • Genetic linkage maps serve the plant geneticist in a number of ways, from marker assisted selection in plant improvement to map-based cloning in molecular genetic research. Genetic map based upon DNA polymorphism is a powerful tool for the study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traits in crop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enetic linkage map of soybean using the population derived from the cross of Korean soybean cultivar 'Kwangkyo, and wild accession 'IT182305'. Total 1,000 Operon random primers for RAPD marker, 49 combinations of primer for AFLP marker, and 100 Satt primers for SSR marker were used to screen parental polymorphism. Total 341 markers (242 RAPD, 83 AFLP, and 16 SSR markers) was segregated in 85 $\textrm{F}_2$ population. Forty two markers that shown significantly distorted segregation ratio (1:2:1 for codominant or 3:1 for domimant marker) were not used in mapping procedure. A linkage map was constructed by applying the computer program MAPMAKER/EXP 3.0 to the 299 marker data with LOD 4.0 and maximum distance 50 cM. 176 markers were found to be genetically linked and formed 25 linkage groups. Linkage map spanned 2,292.7 cM across all 25 linkage groups. The average linkage distance between pair of markers among all linkage groups was 13.0 cM. The number of markers per linkage group ranged from 2 to 55. The longest linkage group 3 spanned 967.4 cM with 55 makers. This map requires further saturation with more markers and agronomically important traits will be joined over it.

Development of SSR markers for genetic mapping of Korean ginseng and authentication of Korean ginseng cultivars

  • Kim, Nam-Hoon;Choi, Hong-Il;Jung, Ju-Yeon;Choi, Beom-Soon;Ahn, In-Ok;Lee, Joon-Soo;Yang, Tae-Ji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1-11
    • /
    • 2010
  • The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is a popular medicinal herb in Araliaceae. Genetic map in crops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for breeding, genetic and genomic researches.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construction of genetic map in ginseng. Up to now, we have produced large amounts of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from four ginseng cultivars (37Mb, 49Mb, 39Mb, 47Mb from Gopoong, Gumpoong, Chunpoong and Yunpoong respectively using pyrosequencing technique and 5Mb from normalized full-length cDNA library of Chunpoong) to obtain comprehensive information of gene expression, and constructed EST database including ESTs from public database. Till now, we designed 261 SSR primer sets using EST sequences and identified 106 intergenic polymorphic markers. And 44 of the 106 showed polymorphisms among panax ginseng cultivars. Among 44 markers, 27 SSR polymorphic markers were inspected to 51 $F_2$ population from Yunpoong x Chunpoong, which showed good at the fitness of Mendellian segregation ratio 1:2:1. To enrich the number of markers, and thus construct high resolution genetic map which can be used as frame map for further genome sequencing. we are planning to develop large scale EST-derived SNP markers which are available in the F2 population. This study provides genetic information as well as foundation for ginseng researches such as genetics, genomics, breeding, and the final goal for whole genome sequencing.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for Agriculture and Forestry,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epublic of Korea (Grant No. 609001-051SB210).

  • PDF

AFLP marker를 이용한 콩의 유전적 다양성과 유전분리 분석 (Diversity and Inheritance of AFLP Markers in Wild and Cultivated Soybeans)

  • 김용호;윤홍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5-271
    • /
    • 2004
  • AFLP marker의 유용성 을 알아보고자 재배콩과 야생콩을 대상으로 유전적 다양성과 유전분리 현상을 분석하였다. 공시 재료들의 polymorphism은 재배 콩과 야생 콩에서 각각 평 균 2 9%와 12.2%의 polymorphism을 보였으며, 재배 콩과 야생 콩에서 공히 유전적 다양성을 보인 DNA단편은 11개 primer 평균 24개를 나타내었다. Primer 조합별로도 polymorphism에 다양한 차이가 있었는데 평균 22.9%로 13.0-38.5%의 변이를 나타내었다. 재배 콩 간의 교잡후대(화엄풋콩 ${\times}$ PI417479) F$_2$집단에서 AFLP marker의 유전분리 양상을 분석한 결과 3 : 1의 분리 비를 따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