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tion MZ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7초

브랜드의 개인화된 마케팅이 MZ세대의 광고 회피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rand Personalized Marketing on Advertising Avoidance and Brand Loyalty of the MZ Generation)

  • 김익수;현병환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1-15
    • /
    • 2023
  • 본 연구는 MZ세대를 대상으로 브랜드의 맞춤형 광고의 광고 짜증, 개인정보 우려, 개인화 마케팅, 사회적 영향 등이 광고 회피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자 2023년 5월 10일부터 30일까지 20일간 전국의 MZ세대를 대상으로 한 400명에 대한 유효설문을 SPSS 28.0과 Smart PLS 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검증하 였다. 첫째, 광고 짜증은 광고 회피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브랜드 충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개인화 마케팅은 광고 회피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브랜드 충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개인정보에 대한 우려는 광고 회피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 영향은 광고 회피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광고 회피는 광고 짜증과 브랜드 회피에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하였으며, 개인화 마케팅과 사회적 영향에는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 회피와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와 브랜드의 마케팅 활동에 필요한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의미가 있다.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MZ Generation Nursing Students)

  • 김양신;이재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5호
    • /
    • pp.89-96
    • /
    • 2024
  •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MZ세대에 해당되는 1981년에서 2006년생 간호대학생 129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5월 20일부터 7월 30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으로 분석하였으며,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밟았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인관계유능성에 의사소통능력(β=.45, p<.001)과 공감능력(β=.18, p=.008)이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이들 변수는 대 인관계유능성에 대해 48.4%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은 부분매개효과(z=2.39, p=.016)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의 간호를 담당하게 될 비대면 문화에 익숙한 MZ세대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들의 대인관계유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Effect of abutment types and resin cements on the esthetics of implant-supported restorations

  • Asena Ceken;Hamiyet Kilinc;Sedanur Turgut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5권3호
    • /
    • pp.114-125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optical properties of new generation (3Y-TZP) monolithic zirconia (MZ) with different abutment types and resin cement shades. MATERIALS AND METHODS. A1/LT MZ specimens were prepared (10 × 12 × 1 mm, N = 30) and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cement shades as transparent (Tr), yellow (Y) and opaque (O). Abutment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4 different materials including zirconia (Group Z), hybrid (Group H), titanium (Group T) and anodized yellow titanium (Group AT). MZ and abutment specimens were then cemented. L*, a*, and b*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MZ, MZ + abutment, and MZ + abutment + cement. ∆E001* (between MZ and MZ + abutment), ∆E002* (between MZ and MZ + abutment + cement) and ∆E003* (between MZ + abutment and MZ + abutment + cement) values were calculated.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2-way ANOVA, Bonferroni, and Paired Sample t-Tests (P < .05). RESULTS. Abutment types and resin cements had significant effect on L*, a*, b*, ∆E001*, ∆E002*, and ∆E003* values (P < .001). Without cementation, whereas zirconia abutment resulted in the least discoloration (∆E001* = 0.68), titanium abutment caused the most discoloration (∆E001* = 4.99). The least ∆E002* = 0.68 value was seen using zirconia abutment after cementation with yellow shaded cement. Opaque shaded cement caused the most color change (∆E003* = 5.24). Cement application increased the L* values in all groups. CONCLUSION. The least color change with/without cement was observed in crown configurations created with zirconia abutments. Zirconia and hybrid abutments produced significantly lower ∆E002* and ∆E003* values in combination with yellow shaded cement. The usage of opaque shaded cement in titanium/anodized titanium groups may enable the clinically unacceptable ∆E00* value to reach the acceptable level.

MZ세대 미디어 특성을 반영한 위치 기반 음악 소셜 플랫폼 (Location-based music social platform that reflects MZ generation media characteristics)

  • 정순원;김소연;옥채연;김효민;김영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73-774
    • /
    • 2023
  • 기존 연구를 통해 MZ 세대는 개인의 취향과 선호를 표출하고, SNS를 통해 자신이 즐기는 콘텐츠를 타인과 공유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정서와 취향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음악을 주요 콘텐츠로 선정하여 사용자들의 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서비스인 사용자 위치 기반 음악 소셜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DSB-SC 변조에 의한 광 밀리미터파 신호 발생 (Optical Millimeter-Wave Generation Based on DSB-SC Modulation)

  • 최재원;최경선;서동선;전영민;이석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2년도 제13회 정기총회 및 2002년도 동계학술발표회
    • /
    • pp.178-179
    • /
    • 2002
  • We generate optical millimeter-waves by double-sideband suppressed carrier (DSB-SC) modulation using a Mach-Zehnder (MZ) modulator biased at the minimum power. The DSB-SC modulation allows the high-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for millimeter-wave generation at the twice of the MZ modulator driving frequency.

  • PDF

MZ세대의 제페토와 로블록스 패션 아이템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자아 표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ashion Item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of ZEPETO and Roblox of MZ Generation - Focused on Self-expression -)

  • 이서원;김나윤;전다빈;한예림;신은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8-430
    • /
    • 2022
  •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nsumers'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of buying avatar fashion items on the Metaverse platform. Drawing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lf-expression tendency of the MZ generation and that of avatars in the Metaverse, this study use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analyze how consumers express their self-image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ir avatars. Unlike previous studies on the clothing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this study shows that purchasing and consumption behavior involve the following six stages: recognizing desire, collecting information, evaluating alternatives, making purchases, evaluating the consumption, and post-purchase action-taking. In the first stage of the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consumers' desire arises with self-image expression and confirmation. In the second stage, consumers have a high tendency to shop in the best item category. In the alternative evaluation stage, consumers tend to seek items that match their highest standard while considering their personal preferences. In the fourth stage, when making actual purchases, unplanned purchase behavior often occurs along with an active practice of alternative evaluation. In the fifth stage, the evaluation of the consumption shows that consumers achieve satisfaction by applying a style to their avatars that they are unable to try in the real world. In the last stage, consumers often use their purchases to communicate their various styles with other online consumers.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online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differs from the offline process as it is divided into six stages.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민화 미술관 기획 연구 -제페토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nning of Minhwa Museum Utilizing the Metaverse Platform : Focusing on Zepeto Case)

  • 최은진;이영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3-74
    • /
    • 2021
  • 메타버스는 스마트폰을 상시 휴대하는 MZ세대의 생활 패턴과 자신의 정체성을 중요시하는 성향에 잘 맞는 가상공간이다. 이 연구는 한국의 전통문화 예술인 민화를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에서 미술관으로 개발하는 기획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징인 오픈월드, 샌드박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아바타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제페토에 민화 미술관을 개장하는 기획 아이템으로 발전시킨다. 한국 전통예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면서, MZ세대의 뉴트로 감성에 맞는 메타버스 기획 개발 모델로서의 연구 가치가 있다.

스마트글라스와 지도(MAP)를 접목한 국내 MZ세대를 위한 관광 기념품 개발에 관한 연구 - 보드게임 및 IP디자인을 중심으로 제주관광을 예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ourism Souvenirs for the Domestic MZ Generation with Smart Glass and Map (MAP) - Examples of Jeju Tourism Focusing on Board Games and IP Design)

  • 이승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37-43
    • /
    • 2023
  • 본 연구는 스마트글라스(SmartGlass)를 통해 실감미디어를 접목시키고 합리적인 기술들을 접목시켜 단순하였던 1차원적인 보드게임 콘텐츠의 아쉬웠던 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과 스마트글라스를 통해 한가지 게임만 가능하였던 보드게임 콘텐츠에 다양한 게임을 제안할 수 있으며 광고, 홍보 접목을 통해 보드게임, 관광기념품의 역할과 관광홍보를 진행이 가능하고, 교육 체험서비스 및 부족한 관광홍보 콘텐츠를 실감미디어를 통해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콘텐츠 개발은 예산 절감과 최소한의 공간에서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는데 그 장점으로 해당 콘텐츠를 고객이 생략하거나 재 반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콘텐츠로서도 완성도가 높으며. MZ세대에도 흥미로운 스마트글라스를 이용한 보드게임이 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셀프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열의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 전반적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mployee's Self-Leadership on the Job Engagemen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verall Justice)

  • 하순복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77-90
    • /
    • 2022
  •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도입되면서 조직의 리더는 기존과 같이 구성원들을 대면하기 어려워졌으며, 이로 인해 리더가 부하에게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일반적 의미에서의 리더십은 그 영향력 발휘가 힘들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이 스스로에게 동기부여를 하고, 스스로를 이끌어나가는 셀프리더십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최근 사회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MZ세대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에게 셀프리더십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셀프리더십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긍정심리학의 등장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직무열의를 결과변수로 하였으며, 이 때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거쳐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외로움이라는 매개변수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MZ세대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조직의 공정성이라는 상황요인에 따라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이 외로움에 어떤 다른 영향을 주는가를 확인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검증하고자 했던 대부분의 가설이 지지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셀프리더십이 현재의 코로나19 상황에서 그리고 MZ세대에게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셀프리더십과 더불어 공정의 가치가 각 조직에서 더욱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MZ세대의 식품 가치소비 유형에 따른 지속가능한 식품 소비행동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ustainable Food Consumption Behavior Depending on Food Value Consumption Type of MZ Generation)

  • 양혜선;박영일;주나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81-490
    • /
    • 2022
  • The influence of the food value consumption type of MZ generation on food choice attribute and sustainable food consumption behavior was stud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survey was conducted on April 11~17, 2022, among panels aged 20 to 39. A total of 350 valid replicates (100%)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data reliability was confirmed using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performing path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Regarding the influence of food choice characteristics on sustainable food consumption behavior, health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selection consumption behavior of certified food and local food. Among food value consumption categories social value consumption has a significant negative (-) influence on the consumption behavior of certified food and the choice of local food. Ethical value consump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the selection consumption behavior of certified food and local food.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has identified sustainable food consumption behaviors that domestic consumers can adopt daily. It can use as baseline data for preparing political and institutional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