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4초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의 욕창발생 위험예측을 위한 Braden Scale의 타당도 검증 (Determining Optimal Cut-off Score for the Braden Scale on Assessment of Pressure Injury for Tertiary Hospital Inpatients)

  • 박숙현;최혜연;손연정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33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 optimal cut-off score on the Braden scale for the assessment of pressure injury to detect pressure injury risks among inpatients in a South Korean tertiary hospital. Methods : This retrospective study us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from January to December 2022. A total of 654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Of these, 218 inpatients with pressure injuries and 436 without pressure injuri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using 1:2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d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6 and the R Machlt package program. Results : The cut-off value on the Braden scale for distinguishing pressure injury was 17 points, and the AUC (area under the ROC curve) was 0.531 (0.484-0.579). The sensitivity was 56.6% (45.5-67.7%) and the specificity was 69.7% (66.0-73.4%). With 17 points, the Braden scale cut-off distinguished those who had pressure injuries from those who did not at the time of admission (p < .03). In the pressure injury group, the Braden score on the day of the pressure injury was 14, with significant results in all subcategories except the moisture category. Conclusion : Our findings revealed that a cut-off value of 17 was optimal for predicting the risk of pressure injuries among tertiary hospital inpatients. Future studies should evaluate the optimal cut-off values in different clinical environments.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multicenter large sample studi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17 value in PI risk assessments.

장애인 의무고용제도와 건강상태 간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Compulsory Employment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Health Status)

  • 유진하;김예원;양정민;김재현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3-66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인 의무고용제도의 인지정도와 그에 따른 고용증대 도움정도가 장애인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 의무고용제도에 대한 인지를 높여 장애인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대해 분석하기 위하여 2016-2018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를 활용하였다. 총 1,648명을 대상으로 카이제곱 검정과 일반화추정방정식(GE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장애인 의무고용제도를 알고 있는 집단에 비해 전혀 모르는 집단인 경우 인지정도가 주관적 건강상태 (Odds Ratio [OR] : 1.573, 95% Confidence Interval [CI] : 1.252-1.977)와 만성질환(OR: 1.407, 95%CI: 1.091-1.816)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고, 장애인 의무고용제도가 고용증대에 도움이 된다는 집단에 비해 전혀 도움이 안 된다는 집단의 경우 우울감 (OR: 2.330, 95% CI: 1.219-4.452)과 주관적 건강상태 (OR: 2.052, 95% CI: 1.232-3.416) 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결론 : 장애인의 의무고용제도 인지정도와 도움정도가 낮을수록 건강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에 대한 고용제도 인지정도를 높여 고용증대를 촉진해야 한다. 나아가 장애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제도에 대한 장애인의 이해도를 제고할 수 있는 홍보방안과 고용접근의 어려움으로 인해 취업의지를 상실하는 장애인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정책 등이 발안되어, 장애인이 고용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애친화적인 노동환경으로의 변화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합류식 관거 내 고형물 퇴적량 산정기법 분석 (Analysis of Estimation Technique for Solid Sediments in Combined Sewer Systems)

  • 이재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5호
    • /
    • pp.405-415
    • /
    • 2006
  • 건조기 때의 합류식 관거 내 고형물의 퇴적으로 인해 통수능이 감소하여 여름철 장마시 국지적인 침수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관거 내 퇴적을 더욱 초래할 수가 있다. 또한 관거 시스템에 퇴적된 고형물로 인해 우기시 'first-flush'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관거 내 고형물 퇴적량을 관측할 필요가 있으나 많은 비용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환경보호청에서 개발한 건조기의 합류관거 내 고형물 퇴적량 산정기법을 우리나라의 배수유역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적용 배수유역의 가용 자료에 따라 모형을 선택하여 실무에서 간편하게 적용할 수가 있지만 모형별 변수산정 방법별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초기에 유도된 Eqs. (1)$\sim$(4)가 후에 유도된 Eqs. (5)$\sim$(9)보다 산정치가 모두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중간모형이 정밀모형이나 단순모형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다. 건조기 동안의 관거 내 퇴적고형물의 관측자료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실질적으로 비교하기가 곤란하지만 대상 배수유역 관거에서의 장기적인 관측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국내실정에 맞도록 산정공식의 수정이 이루어지면 실무에서 많은 비용과 노력을 줄이고 관거 관리를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유방암예방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유방암 생존자들의 자기효능감, 우울 및 외상 후 성장의 변화 (Changes of Self-efficacy,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Growth in Survivors with Breast Cancer Participating Breast Cancer Prevention Volunteering)

  • 이명선;차지은;유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56-266
    • /
    • 2014
  • 본 연구는 유방암예방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유방암 생존자들의 자기효능감, 우울, 및 외상 후 성장의 장기적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예비연구는 종단적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참여자는 유방암예방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유방함 생존자 14명이었다. 자료는 2013년 2월부터 8월까지 수집되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유방암 자가관리에 대한 자기효능감, 우울, 및 외상 후 성장을 교육 전(T0), 교육 후 1개월(T1), 교육 후 3개월(T2), 교육 후 6개월(T3)에 각각 측정하였다. 효과분석을 위해 일반화 추정 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 점수는 T0과 비교했을 때 T1(${\chi}^2$=5.56, p=.018),T3(${\chi}^2$=4.56,p=.033)시점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6개월 동안 우울은 일반인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큰 변화가 없었고 외상 후 성장은 비교적 높은 점수가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방암 생존자들의 유방암예방 자원봉사활동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안녕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방암 생존자의 유방암예방 자원봉사활동은 일반인 뿐 아니라 참여한 유방암 경험자들에게도 유용한 교육프로그램임을 보여주었다.

군 병사들에서 인터넷 중독 경향에 따른 입대 후 심리특성 변화 (Change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fter Joining the Army According to Internet Addiction Tendency in Young Male Army Recruits)

  • 강현묵;김현수;조현상;안석균;오병훈;이강수;홍창형;배활립;국소담;손상준
    • 생물정신의학
    • /
    • 제20권3호
    • /
    • pp.86-90
    • /
    • 201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sychological changes associated with internet addic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military drill among the young male army recruits. Methods All 1091 participants were army recruits aged from 19 to 22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5-week military drill. They were assessed with som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Sociodemographic questionnaires, 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IAS),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BIS), the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elf-Rated Scale (ASR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th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group and the other is non-addiction group according to the IAS score. And the severity of th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depression, anxiety and impulsiveness were evaluated by the IAS, the STAI, the BDI, the BIS, the ASRS before and after military drill. Results The result of the paired t-test shows that the IAS, the STAI, the BDI, the BIS, the ASRS scores decreased after military drill in both non-addiction group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group. The result of the repeated measures ANOVA shows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changes of ASRS-hyperactivity (F = 23.437, p < 0.001), ASRS-impulsiveness (F = 4.896, p = 0.027), BIS-total (F = 4.057, p = 0.044), BIS-motor impulsiveness (F = 13.609, p < 0.001) scores and groups. The result of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shows that internet addiction tendency is associated with ASRS-inattention (${\beta}=0.075$, p < 0.001), ASRS-hyperactivity (${\beta}=0.092$, p = 0.002), STAI-trait anxiety (${\beta}=0.046$, p < 0.001), BIS-motor impulsiveness (${\beta}=0.119$, p = 0.028).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that psychopathologies such as internet addiction tendency, depression, anxiety, impulsiveness may improve after military drill regardless of the groups. Internet addiction tendency may be related to the ASRS-inattention, ASRS-hyperactivity, STAI-trait anxiety, motor-impulsiveness. So these findings may be considered in the treatment of internet addiction in terms of the impulsiveness control.

실물옵션 기법을 이용한 기업의 빅데이터 기술 도입의 경제적 가치 분석 - 유유제약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conomic Value Of Firm's Big Data Technologies Introduction Using Real Option Approach - Based On YUYU Pharmaceuticals Case -)

  • 장혁수;이봉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5-26
    • /
    • 2014
  • 본 연구는 실물옵션모형을 이용하여 기업의 빅데이터 기술도입에 따른 경제적 가치를 분석한 연구로, 빅데이터 기술도입을 결정한 기업의 주가를 이용하여 주가증분으로 평가한 경제적 가치의 크기를 옵션가치를 통해 분석하였다. 옵션가치 도출을 위해 빅데이터 기술을 마케팅에 활용한 기업의 주가를 통해 빅데이터 기술에 의한 주가증분을 추출하고, 해당 주가로 일반화적률법(GMM)을 이용하여 확률과정을 추정하였다. 옵션가치 도출을 위해 블랙-숄즈 편미분방정식을 도출하였고, 이를 수치해석적 방법인 유한차분법으로 해를 구하여 빅데이터 기술 도입에 따른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빅데이터 투자비용을 5천만 원으로 가정했을 때, 주가증분을 통해 도출한 옵션가치는 약 38.5억 원으로 나타났고 시간가치는 약 1백만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빅데이터 기술도입은 실질적인 기업의 수익을 창출하는 효과에 더하여, 미미하지만 투자시점에 고려할 수 있는 추가적 시간가치까지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민감도분석 결과 기초자산 크기가 작아질수록 옵션가치는 낮아지고, 투자비용이 낮아질수록 옵션가치는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변동성 변화에 따른 옵션가치 민감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빅데이터 기술의 경우 기술도입 기간과 이에 따른 주가변동 폭이 낮아 변동성 증가에 따른 내재가치 증가 효과가 크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기술도입에 따른 효과를 실물옵션을 도입하여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 빅데이터 옵션가치 도출에 빅데이터 기술을 도입한 기업의 주가를 기초자산으로 사용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차별화된다. 기업들의 빅데이터 기술 도입이 비교적 최근에 발생하였음을 고려할 때 동 분석방법론을 다양한 기업에 적용함으로 빅데이터 기술의 정체한 가치를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mpact of Changes in Medical Aid Status on Health Care Utilization

  • Kim, Woorim;Nam, Chung Mo;Lee, Sang Gyu;Park, Sohee;Kim, Tae Hyun;Park, Eun-Cheol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13-522
    • /
    • 2019
  • Background: South Korea operates a Medical Aid (MA) program targeting selected low-income individuals to ensure medical service delivery to the disadvantaged while enhancing self-sufficiency of work-capable beneficiaries. However, as reasons behind welfare exits are diverse and do not always infer poverty relief or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levels of health care servic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s in MA statu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Methods: This study used the 2006 to 2015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The impact of changes in annual MA status on health care utilization (yearly number of outpatient visits, inpatient visits, length of stay, and emergency department [ED] visits) was investigated using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model. Results: In 117,943 adult subjects aged 20 to 64, compared to the 'MA to MA' group, the 'MA to MA exit' group showed general decreases in utilization (outpatient visits: β=-3.93, p<0.0001; hospital admissions: relative risk [RR], 0.87; 95% confidence interval [CI], 0.83-0.91; length of stay: β=-3.64, p<0.0001; ED visits: RR, 0.83; 95% CI, 0.77-0.90). Similar patterns were found in the 'MA exit to MA exit' group (outpatient visits: β=-5.72, p<0.0001; admissions: RR, 0.91; 95% CI, 0.87-0.94; length of stay: β=-5.87; p<0.0001; ED visits: RR, 0.81; 95% CI, 0.75-0.88). Likewise, in 74,747 older adult subjects aged 65 or above, the 'MA to MA exit' group showed reduced levels of utilization (outpatient visits: β=-1.51; p=0.0020), as well as the 'MA exit to MA exit' group (admissions: RR, 0.92; 95% CI, 0.89-0.95; length of stay: β, -5.45; p<0.0001; ED visits: RR, 0.90; 95% CI, 0.83-0.97). Conclusion: MA exit was associated with general decreases in health care utilization. Utilization patterns of individuals with experiences of receiving MA benefits should be monitored to promote the ideal use of health care services while preventing potential financial barriers present in accessing medical care.

육군의 복무 상황에 따른 흡연 양상과 구강보건행태 및 인식 (Smoking Patterns, Oral Health Behavior and Perception of the South Korean Army)

  • 장선옥;김윤희;강정윤;고민서;김보연;박지혜;심서윤;;정원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1-139
    • /
    • 2010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군 장병이 복무를 하는 과정에서 병영 안의 내무반생활과 병영 밖의 군사훈련생활에서 흡연 양상의 차이와 이와 관련한 구강보건행태와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3월 16일부터 6월 16일까지 육군 ${\bigcirc}{\bigcirc}$부대에 복무하고 있는 장병 367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여 다음의 연구결과를 얻었다. 1. 군인의 복무 상황에 따른 구강보건행태를 비교한 결과, 군사훈련생활에서는 내무반생활에 비하여 구강 건강을 적절히 관리하지 못하고 있었다. 칫솔 사용률은 내무반생활에서는 96.2%이었지만 군사훈련생활에서는 72.0%로 감소하였다. 내무반생활을 할 때에는 하루 3회 이상 칫솔질을 한다는 군인이 55.3%이었으나, 군사훈련생활을 할 때에는 29.3%로 크게 감소하였다. 2. 군에 입대한 후 구강예방진료, 구강보건교육, 금연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군인이 각각 84.1%, 90.7%, 87.9%이었다. 3. 군인의 52.8%가 흡연자이고, 47.2%는 비흡연자이었다. 흡연자의 31.1%는 흡연 후에 아무런 구강건강관리행위를 하지 않았다. 흡연하는 담배 개비의 수는 내무반생활에서는 평균 13.97개비(표준편차 7.51), 군사훈련생활에서는 평균 13.02개비(표준편차 8.36)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09). 4. 흡연자는 칫솔질 횟수와 칫솔질 시간이 적을수록 Pack years가 높은 경향을 보이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각각 p=0.063, p=0.184). 5. 흡연에 대한 구강보건인식을 조사한 결과, 흡연자의 77.9%와 비흡연자의 88.8%가 흡연이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였고(p=0.0095), 흡연자의 52.4%와 비흡연자의 72.5%가 구강건강이 전신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였으며(p=0.0007), 또한 흡연자의 35.8%와 비흡연자의 59.1%가 군대 내에서 금연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p<0.0001). 아울러 전체 대상자의 77.8%와 64.5%가 각각 군대 내에서 구강검진이 필요하고,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나 이 두 가지의 인식에서는 흡연자와 비흡연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군사훈련생활과 흡연 여부에 따른 칫솔질의 횟수 및 시간을 조사한 결과, 내무반생활에 비하여 군사훈련 생활에서 1회만 칫솔질을 할 확률은 2회 이상 칫솔질을 할 확률보다 9.29배 높았으며(p<0.01), 내무반 생활에 비하여 군사훈련생활에서 1분 이내로 칫솔질을 할 확률은 1분 이상 칫솔질을 할 확률보다 2.19배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하지만 칫솔질의 횟수와 시간 전체에 대해서는 군사훈련생활 여부와 계급을 보정한 결과, 비흡연자와 흡연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군 병사는 내무반에서 생활할 때에 비하여 군사훈련의 생활을 할 때에 자가구강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흡연율이 높지만 군대 내의 금연교육과 구강보건교육은 부족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군에서는 군 장병이 군 복무를 하는 동안 구강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의무 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다.

문화관광축제 방문객의 평가속성 만족과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2006 광주김치대축제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Evaluation Attributes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 김정훈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55-73
    • /
    • 2007
  • 문화관광축제는 전국의 지역축제 가운데 광역시 도에서 추천한 축제 가운데 관광상품성이 크고, 경쟁력 있는 우수한 축제를 선정하여 지원하는 사업이다. 문화관광축제 종합평가계획(문화관광부, 2006)에 의하면 방문객의 만족도 평가, 전문위원 평가, 그리고 축제 개선실적 등을 감안하여 최우수축제, 우수축제, 유망축제, 예비축제로 선정되고 있다. 특히 예비축제를 제외한 문화관광축제는 공공부문의 사업비 지원을 받기 때문에 1,000여 개가 넘는 지역축제의 방문객 만족도 평가는 상호비교가 가능한 평가척도를 이용하여 종합평가분석이 이루어진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광축제 공통평가속성이 방문객 만족과 사후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축제기획 시 방문객 만족도 제고와 지속가능한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연구를 통하여 문화관광축제 평가속성, 만족, 그리고 행위의도에 관한 변수를 도출하였으며, 2006 광주김치대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문화관광축제 평가속성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홍보안내, 행사내용, 기념품 음식, 편의시설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축제방문객 만족과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을 통해 수립한 연구가설은 차이분석, 회귀분석, 공분산 구조분석 등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 모든 가설은 채택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축제와 성격이 유사한 축제방문객 분석을 통한 비교연구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