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ized Difference Methods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6초

충주댐 유역의 유출량에 대한 SWAT 모형의 예측 불확실성 분석 기법 비교 (Comparing Prediction Uncertainty Analysis Techniques of SWAT Simulated Streamflow Applied to Chungju Dam Watershed)

  • 조형경;박종윤;장철희;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9호
    • /
    • pp.861-874
    • /
    • 2012
  •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서는 매개변수 민감도 분석 및 검 보정, 예측 불확실성 분석을 필요로 한다. 최근 SWAT 모형의 불확실성을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되었는데, 본 연구는 충주댐 유역(6,581.1 $km^2$)을대상으로유역출구점의 실측 일 유출량자료(1998~2003)를 바탕으로 SWAT 모형의 유출관련 매개변수에 대한 불확실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사용된 분석 기법으로는 SUFI2 (Sequential Uncertainty FItting algorithm ver.2), GLUE(Generalized Likelihood Uncertainty Estimation), ParaSol (Parameter Solution) 등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기법은 모두 SWAT-CUP (SWAT-Calibration Uncertainty Program; Abbaspour et al., 2007) 모형에 탑재되어있으며, 모형의 결과로써 검 보정,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각종 목적 함수 및 불확실성의 범위 등이 자동으로 산출되므로 모형의 사용자가 불확실성 평가 기법의 분석 및 비교를 손쉽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대표적인 목적 함수인 결정 계수($R^2$; Legates and McCabe, 1999)와 NS (Nash and Sutcliffe, 1970) 모형효율은 모두 0.67에서 0.92 사이의 값을 나타내어 대체적으로 모의가 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불확실성의 범위를 나타내는 지표인 p-factor 및 r-factor에서는 평가 기법 별로 그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났다. 여기서 p-factor는 불확실성 범위에 실측치가 포함되는 비율이며, r-factor는 불확실성의 상대적인 범위로 각각 1과 0에 가까울수록 모의기법의 성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세가지 알고리듬 중에서 SUFI2의 p-factor가 약 0.7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araSol의 r-factor가 0.03으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SWAT 모형을 이용한 수문 모의에서 수문분석에 따른 예측결과의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서, 모형의 적용성 평가 및 모의결과의 신뢰성 확보에 근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물옵션 기법을 이용한 기업의 빅데이터 기술 도입의 경제적 가치 분석 - 유유제약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conomic Value Of Firm's Big Data Technologies Introduction Using Real Option Approach - Based On YUYU Pharmaceuticals Case -)

  • 장혁수;이봉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5-26
    • /
    • 2014
  • 본 연구는 실물옵션모형을 이용하여 기업의 빅데이터 기술도입에 따른 경제적 가치를 분석한 연구로, 빅데이터 기술도입을 결정한 기업의 주가를 이용하여 주가증분으로 평가한 경제적 가치의 크기를 옵션가치를 통해 분석하였다. 옵션가치 도출을 위해 빅데이터 기술을 마케팅에 활용한 기업의 주가를 통해 빅데이터 기술에 의한 주가증분을 추출하고, 해당 주가로 일반화적률법(GMM)을 이용하여 확률과정을 추정하였다. 옵션가치 도출을 위해 블랙-숄즈 편미분방정식을 도출하였고, 이를 수치해석적 방법인 유한차분법으로 해를 구하여 빅데이터 기술 도입에 따른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빅데이터 투자비용을 5천만 원으로 가정했을 때, 주가증분을 통해 도출한 옵션가치는 약 38.5억 원으로 나타났고 시간가치는 약 1백만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빅데이터 기술도입은 실질적인 기업의 수익을 창출하는 효과에 더하여, 미미하지만 투자시점에 고려할 수 있는 추가적 시간가치까지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민감도분석 결과 기초자산 크기가 작아질수록 옵션가치는 낮아지고, 투자비용이 낮아질수록 옵션가치는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변동성 변화에 따른 옵션가치 민감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빅데이터 기술의 경우 기술도입 기간과 이에 따른 주가변동 폭이 낮아 변동성 증가에 따른 내재가치 증가 효과가 크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기술도입에 따른 효과를 실물옵션을 도입하여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 빅데이터 옵션가치 도출에 빅데이터 기술을 도입한 기업의 주가를 기초자산으로 사용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차별화된다. 기업들의 빅데이터 기술 도입이 비교적 최근에 발생하였음을 고려할 때 동 분석방법론을 다양한 기업에 적용함으로 빅데이터 기술의 정체한 가치를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링크관측교통량을 이용한 도시부 OD 통행행렬 추정 (GA와 SAB 알고리즘의 비교를 중심으로) (OD trip matrix estimation from urban link traffic counts (comparison with GA and SAB algorithm))

  • 백승걸;김현명;임용택;임강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9-99
    • /
    • 2000
  • 전통적인 OD조사에 의한 OD추정방법의 여러 문제점들로 인해 링크에서 관측된 교통량과 기존OD를 결합해 새로운 OD를 추정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지속되고 있으며, 그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그러한 기법중의 하나가 Yang(1995)이 제시한 바이레벨 모형으로, 그는 일반화최소자승법을 풀기위한 Sensitivity Analysis Based (SAB)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SAB 알고리즘은 두가지 중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문제는 실제 OD를 알기가 어렵기 때문에, 기존 OD 조사시의 통행패턴이 현재의 통행패턴과 큰 변화가 없다는 가정 하에, 기존 OD를 추정시 중요한 추정기준으로 설정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OD에 대한 추정의 종속성으로 인해, SAB는 기존 OD와 실제 OD의 차이가 큰 경우 정확한 해를 도출하지 못하고 추정결과가 일관적(robust)이지 않게 도출된다. 두 번째 문제는 SAB는 통행패턴 추정시 선형근사화를 가정하기 때문에 게임이론적 측면에서 전제로 설정한 완전한 Stackelberg 상황을 구현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서는 기존 OD의 오차나 관측교통량의 오차에 대해 일관적이고 안정적인 해도출 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SAB를 비롯한 기존 바이레벨 OD추정기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기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OD추정의 문제는 본질적으로 비선형이고 비볼록하기 때문에, 다중해를 도출하게 된다. 따라서 전역해 탐색기법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전역최적화가 가능한 유전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이용한 OD추정모형(GA-Model:GAM)을 제시하였다. 사례네트워크에 대한 비교분석결과, GAM은 기존 OD의 오타에 대해 크게 종속적이지 않으며 OD구조가 변하는 경우에도 추정이 가능하여, 일반적으로 실제 OD를 알 수 없는 (기존OD의 오차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 수 없는) 도시부 네트워크에서 신뢰성있는 추정력을 보였다.

  • PDF

기질적 뇌병변에 의한 간질환자에서 수면이 간질파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통상적 뇌파 분석 (Effect of Sleep on Epileptiform Discharges in Epileptic Patients with Structural Lesion : Based on Routine EEG)

  • 이세진;하정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107-118
    • /
    • 2007
  • 기질적 뇌병변에 의한 부분 간질환자에서 수면이 간질파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기질적 뇌병변에 의한 부분 간질환자 16명과 뇌병변이 없는 34명을 대상으로 50% 수면박탈 후에 통상적인 각성뇌파와 수면뇌파를 동시에 기록하였다. 각성 간질파 지수, 수면 간질파 지수 및 수면에 의한 간질파 지수의 증가율을 구한 후에 기질적 병변의 유무, 발작 및 간질의 종류, 야간 수면 발작의 유무, 이차적 전신성 발작의 유무, 항경련제의 복용 여부, 환자의 나이 및 간질의 발병 연령과 유병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1. NREM 수면 기간에 간질파의 발생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기질적인 뇌병변의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05). 2. 수면 기간 중 간질파의 증가는 이차적 전신발작의 빈도, 간질 및 발작의 종류, 야간 수면 발작의 빈도, 항경련제 복용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전체 50명 가운데 13명(26%) 에서는 수면 상태에서만 간질파가 관찰되었고, 1명(2%) 에서는 각성 상태에서만 간질파가 관찰되었다. 4. 대상 환자 50명 가운데 44명(88%)에서 수면 간질파 지수가 높았고, 5명(10%)에서는 각성 간질파 지수가 높았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기질적 뇌병변을 가진 부분 간질환자에서 통상적인 외래 뇌파검사의 진단율을 높이고 간질파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수면박탈 후에 각성 상태뿐만 아니라 NREM 수면 상태의 뇌파를 기록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양안개방상태에서 학령기 원시안 아동의 정적 검영법의 유용성 고찰 (A Study on Usefulness of Static Retinoscopy in Eyes Opened for Hyperopic School-aged Children)

  • 전영윤;박성종;송우진;이석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3-298
    • /
    • 2012
  • 목적: 학령기아동 원시안에 대하여 굴절이상도에 따라 양안개방상태에서 정적 검영법을 실시하고 조절마비하 굴절검사와 비교하였다. 방법: 최대 교정시력이 0.8 이상인 학령기아동을 대상으로, 59안(30명)을 경도원시(+0.25 D~+1.00 D), 중등도 원시(+1.25 D ~ +2.00 D), 고도원시(+2.25 D 이상)로 나누었다. 자동굴절검사와 양안개방상태에서 정적 검영법(retinoscopy)은 조절 마비제 투여 전에 실시하였고, 이후에 조절 마비하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양안개방 상태에서 정적 검영법과 현성 굴절 검사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학령기 아동의 모든 원시군에서 자동굴절검사에 비해 양안개방상태에서 정적 검영법에서의 원시도가 더 높게 측정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구면굴절력의 변화에 대해 유의성이 있었다(p<0.001). 난시의 변화는 양안개방상태에서 정적 검영법, 현성검사 그리고 조절마비하 굴절검사에서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p>0.05). 결론: 아동의 원시안에 대해서 조절마비하 굴절검사가 필요하겠으나 양안개방상태에서 정적 검영법과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타각적 굴절검사기기에 대한 법률적 제약이 있는 안경사에게 있어서는 조절마비제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양안개방상태에서 정적 검영법의 사용이 보편화 되어 야 한다.

만성 족관절 불안정증에서 건이식을 이용한 외측 인대 재건술의 적응증 (The Indication of Ankle 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Tendon Graft in Chronic Ankle Instability)

  • 박재용;최기원;조재호;강찬;최경진;정진화;김학준;배서영;차승도;김기천;한승환;2015 대한족부족관절학회 보험장애판정위원회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2-1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ndications of ankle lateral complex reconstruction using tendon graft. Materials and Methods: We searched PubMed using the index, "ankle, instability, 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from 1990 to present (September 30, 2015). We excluded 1) modified Brőstrom operation (MBO), 2) conventional tenodesis surgery, 3) review article, 4) technical note, and 5) articles written in another foreign language. We reviewed 24 papers through the publication events, operational method, the indications of surgery, and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patient group. Results: There were the indications of 1) previous ligament surgery failure, 2) situation when ligament repair is impossible due to the ligament defect, 3) severe instability (preoperative talar tilt >$15^{\circ}$, anterior draw >10 mm or the difference of contralateral side talar tilt >$5^{\circ}$, anterior draw >3 mm), and 4) overweight (body mass index >$30kg/m^2$). Other considerations included 1) generalized joint laxity and 2) workers, highly-demanded or athlete highly-affected by instability. Conclusion: The ankle lateral complex reconstruction using tendon graft could be indicated in patients with the possibility of MBO failure with several considerations.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 충청도 대학을 중심으로 - (A Survey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for The Disabled - Focusing on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 전미영;이한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13
    • /
    • 2017
  •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은 선천적 장애보다 후천적 사고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 지속되어 후천적 장애로 인한 발생률이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이다. 특히, 대학생은 생애주기별 발달에 따라 성인기 초기라 할 수 있는데, 이 시기는 다양한 대인관계와 획일화된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대학 교육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자기 자신만의 생각과 이념을 정립해 가는 시기이다. 따라서 사회에 진입하기 바로 전 시기인 대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부정적인 편견이나 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그것을 긍정적인 태도로 개선시킬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도지역 13곳의 대학교를 방문하여 무작위로 설문을 조사하여 총 250명의 설문 중 235명의 설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SPSS(ver.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일시적이고 이벤트적인 교육이 아닌 올바른 정보 및 지식, 인권, 장애, 다양성 등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은 지역이 한정되어 있어 전국의 대학생으로 일반화하기 힘들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증발접시 증발량자료를 이용한 공기동력학적 증발량 산정 방법의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evaluation of aerodynamic approaches for evaporation estimation using pan evaporation data)

  • 임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11호
    • /
    • pp.781-79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56개 연구지역에 대해서 증발량 산정방법 중에 하나인 공기동력학적 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과거 연구자들에 의해서 제안된 공기동력학적 증발량 산정식들을 7가지 형식으로 구분하고 일반화하여 증발량 산정모델을 유도하였다. 또한, 공기동력학적 방법 적용에 필요한 기상요소자료들(풍속, 포화미흡량, 기온, 대기압)을 이용하여 4가지의 다변량 선형회귀모델을 유도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기상자료들의 자기상관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변수들을 차분시켜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자기상관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한 결과 결정계수 값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공기동력학적 모델이나 다변량 선형회귀모델 모두에서 산정된 월 증발량과 관측된 월 증발량 사이에 매우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의 증발량 산정모델에서 8, 9, 10, 11, 12월에 증발량을 과다 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선형회귀모델들에 사용된 기상요소자료들은 모두 증발량 산정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포화 미흡량이 가장 중요한 기상요소이며, 두 번째로는 기온, 세 번째로는 풍속,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기압인 것으로 나타났다.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analysis of the alveolar ridge profile and virtual implant placement for the anterior maxilla

  • Lim, Hyun-Chang;Kang, Do-Uk;Baek, Hyehyeon;Hong, Ji-Youn;Shin, Seung-Yun;Chung, Jong-Hyuk;Herr, Yeek;Shin, Seung-I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9권5호
    • /
    • pp.299-309
    • /
    • 2019
  • Purpose: To analyze the ridge profile of the anterior maxilla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nd to asses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ridge profile by performing virtual implant placement. Methods: Thirty-two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cans of anterior maxillae were included. For each tooth, a vertical line was made along the longitudinal axis, and 3 horizontal lines at 1-, 3-, and 5-mm levels below the labial bone crest were drawn perpendicularly to the vertical reference. At these levels, the thickness of the alveolar ridge (RT), and the labial (LT) and palatal bone plate (PT) were measured. Then, virtual implant placement using standard and tapered implants was performed. A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teeth were located labially based on the proportion of LT and PT with respect to RT. At the 1-mm level, the value of LT was between $1.0{\pm}0.4mm$ for central incisors and $1.3{\pm}0.6mm$ for canines. A large number of teeth had area(s) with less than 1-mm-thick labial bone between the 1- and 5-mm levels below the crest. The mean PT was generally thicker than the LT in all tooth types. The greatest mean value of labial concavity was observed for canines, compared to other tooth types. Men had a greater RT than did women, but had a comparable LT. Less apical fenestration was observed when tapered implants were used. Conclusions: Most teeth in the anterior maxilla had a thin labial bone plat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es. Tapered implants may be advantageous for the anterior maxilla.

Association of growth hormone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I genotype with body weight, dominance of body weight, and mRNA expression in Korat slow-growing chickens

  • Sinpru, Panpradub;Bunnom, Rujjira;Poompramun, Chotima;Kaewsatuan, Pramin;Sornsan, Sirangkun;Kubota, Satoshi;Molee, Wittawat;Molee, Amonrat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2호
    • /
    • pp.1886-1894
    • /
    • 2021
  • Objective: Growth hormone (GH)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I (IGF-I) play a critical role in animal growth rate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H and IGF-I genotypes on body weight (BW), dominance, and gene expression in slow-growing chickens at different ages. Methods: A total of 613 Korat chickens (KRs) were br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genotype - A1A1, A1A3, and A3A3 for GH and AA, AC, and CC for IGF-I. Chickens were weighed every two weeks, and liver and breast muscle tissues were collected at 10 weeks of age. Genetic parameters of KRs were estimated using ASReml software. The GH and IGF-I mRNA levels were measured by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its were analyzed using the generalized linear model. Results: A significant effect of GH genotypes on BW was found at most ages, and the A1A1 genotype had the highest value of BW. Compared with the A3A3 genotype, the A1A1 and A1A3 genotypes showed a higher dominance effect at 0 and 2 weeks, and genotype A1A1 had the highest value of dominance at 8 weeks of age. A difference in GH mRNA levels between genotypes was detected in breast muscle at 6 weeks and in the liver tissue at 2 weeks. In the case of IGF-I gene, the AA genotype had the highest BW at the beginning of lif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W dominance were found at 2 weeks. However, IGF-I mRNA levels were not different among genotypes in both breast muscles and liver tissues. Conclusion: Our results revealed that GH and IGF-I influence growth, but may not be involved in heterosis. GH can be used as a marker gene in selection programs for growth because the homozygous genotype (A1A1) had the highest BW at all ages. The IGF-I is not a useful marker gene for selection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