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zelle Industr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고성장 산업군의 발굴 및 육성전략 -가젤산업에 대한 시론을 중심으로- (Discovery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High-Growth Industries -Focusing on the Introductory Study of Gazelle Industry-)

  • 김대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821-2830
    • /
    • 2014
  • 본 연구는 빠른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고성장 산업군을 발굴하여 육성전략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성장 산업군을 가젤산업이라고 명명하고 '사업체당 종사자수가 10인 이상이면서 최근 5년간 Birch 고용성장지수로 측정한 고용창출 기여도가 모집단 전체의 상위 10% 이내인 산업'이라고 정의하였다. 가젤산업의 정의에 따라 충남의 가젤산업을 105개 선정하고, 전국대비 충남 가젤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해보고 충남도내 각 시 군간 경쟁력 차이를 분석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사업체규모계수(BQ)와 산업성장률(IG)을 개발하고 산업발전단계 유형화 방법을 고안하여 충남가젤산업의 산업발전단계별 육성전략을 제안하였다.

충남 가젤산업의 기술수준분석과 산업구조분석 (An Analysis of the Technical Level and Industrial Structure of the Gazelle Industry in Chungnam Province)

  • 김대중;김학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35-348
    • /
    • 2014
  • 본 연구는 충남가젤산업의 기술수준분석과 산업구조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충남가젤산업은 규모와 성장성 측면에서 경쟁우위가 있고, 산업효율성이 높아 소득증대 효과가 있었다. 또한 충남가젤산업 중 저기술산업은 첨단기술산업을 제외한, 고기술산업, 중기술수준의 산업보다 산업집적과 산업성장을 거듭하며 빠른 산업구조변화속도로 변모해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낮은 연구개발 투자에도 빠른 성장과 고용창출을 달성하는 충남가젤산업에 대한 집중한 추가적인 연구개발투자가 필요하며, 산업규모(BQ)와 산업성장율(IG)을 이용한 산업발전단계별 육성전략 추진이 필요하다. 또한 충남가젤산업 중 저기술산업이 고기술산업, 중기술수준의 산업보다 빠른 산업구조적 변화를 보이는 것에 대해 지역의 입장에서 유불리를 심도있게 검토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가젤산업을 지역산업정책에 활용한다면 높은 소득증대와 고용창출 등으로 지역산업과 지역발전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지역별 가젤형 기업의 고용창출 특성 분석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ob Creation by Gazelle-firms)

  • 사호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04-320
    • /
    • 2019
  • 지속적으로 고용창출에 기여하는 가젤형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가젤형 기업의 지역별 고용창출 특성을 양적 질적 차원에서 실증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더 나아가,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함으로써 유형별 업종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젤형 기업의 고용창출 특성은 지역별로 차별화 되고 있다. 둘째, 각 유형별로 업종 특성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형별로 차별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결과는 효과적인 가젤형 기업 육성을 위해서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제5회 아시아 항공전시회 조간

  • 전영훈
    • 국방과기술
    • /
    • 8호통권138호
    • /
    • pp.16-23
    • /
    • 1990
  • 싱가포르 항공사는 프랑스 Aerospatiale Helicopter Division, CATIC(PRC)과 새로운 4~5인승 단발엔진 헬기를 공동 개발하기로 합의하였다. 잠정적으로 P120L이라고 명명된 이 새로운 항공기는 Gazelle이나 Lama 계열로서, Ecureuil 기를 보완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실제 개발은 1990년 말 개념정의단계 완료후에 결정될 것이며, 첫 비행은 1993년, 인도시기는 1996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P120L기에는 2가지 형이 있는데, 하나는 민수용이고 또 하나는 고성능 군용기이다. 기체 총 중량은 민수용은 2천kg, 군수용은 2천3백kg이다.

  • PDF

고성장기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기술평가지표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terminants of High-growth Firms: Focusing on Technology Appraisal Indicators)

  • 김성태;홍재범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3호
    • /
    • pp.373-396
    • /
    • 2015
  • 본 연구는 기술보증기금의 기술평가자료를 활용하여 고성장기업의 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3가지이다. 첫째, 현재 고성장 기업이 아닌, 향후 고성장기업으로 성장할 기업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둘째, 고성장기업을 매출과 고용 2가지 측면에서 각각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즉, 매출증가와 고용창출에서 모두 고성장을 달성한 경우, 고용창출 측면에서는 고성장을 기록했지만 매출증가 측면에서는 저성장인 경우, 그리고 매출증가만 고성장을 달성하고 고용창출은 저성장을 기록한 경우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기술보증기금 기술평가모형(KTRS)의 기술평가지표를 설명변수로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술의 수명주기상 위치가 적절하고 기술의 완성도가 높을 경우에는 향후 매출과 고용이 모두 고성장하고 있다. 기술인력관리가 잘 되는 기업은 고용측면에서는 고성장을 하지만 매출측면에서는 오히려 저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고용고성장기업이 주로 기술인력관리가 중요한 하이테크산업에서 발생될지도 모른다는 추론을 가능케 한다. 이에 하이테크산업 여부를 나타내는 더미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한 결과, 하이테크산업에 속한 기업은 고용고성장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보였다.

머신러닝 혁신 특성과 니치의 탄생: 한국 스타트업 사례를 중심으로 (Innovation Patterns of Machine Learning and a Birth of Niche: Focusing on Startup Cases in the Republic of Korea)

  • 강송희;진성민;백필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20
    • /
    • 2021
  •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세계경제포럼에서 그레이트 리셋이 논의되면서 제4차산업혁명의 동력인 인공지능도 조명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 분야의 기업 연구는 아직도 희소하다. 2000년 이후 관련 연구는 기존 기업에 어떻게 인공지능을 적용하여 가치를 창출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신생기업들이 어떻게 기회를 포착하고 기존 사업자들 사이에 진입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의 세부 분야인 인공지능 기반 신생기업들이 기존 소프트웨어 산업과 어떻게 다른 혁신패턴을 갖는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다층적 접근론의 종합적 틀을 활용하여 신생 기업들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대상 기업들은 창업 7년 내 의료, 금융, 마케팅/광고, 유통, 제조 분야에서 의도적으로 표집된 머신러닝 모델링 전문 신생 기업들로 벤처기업 인증을 받은 고성장 기업들이다. 분석 결과 기존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전사적 통합 관점의 프로세스 혁신을 이루어냈다면, 이들만의 혁신 패턴은 기존의 프로세스들을 잘게 해체하여 자동화나 가치창출이 어려웠던 단위 프로세스들을 식별해 내고 데이터 기반으로 자동화, 최적화하여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기여는 통합적인 다층적 접근론의 틀의 유효성을 검증하면서 인공지능 기반 신생 기업들의 탄생과 그들의 혁신 패턴을 제시했다는 데에 있다. 한편 기업 실무적, 정부 정책적 함의를 정리하면, 데이터를 기반으로 혁신을 이끌어내기 때문에 신생 기업일지라도 데이터 관련 규제 등에 대한 제도 대응 역량이 강조되며, 정부는 관련 제도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구체화하여 예측가능하고 유연한 사업 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