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tric evacuation rat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s of the Dietary Moisture Levels and Feeding Rate on the Growth and Gastric Evacuation of Young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Kim, Kyoung-Duck;Kim, Kang-Woong;Kang, Yong-Jin;Son, Maeng-Hyun;Lee, Sang-M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105-110
    • /
    • 2011
  •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s of the dietary moisture level and feeding rate on the growth and gastric evacuation of young olive flounder. Four experimental diets with different moisture levels (9%, 21%, 30%, and 40%) were prepared through the addition of water to the commercial extruded pellet. Three replicate groups of fish (initial weight: $106{\pm}1.4\;g$) were fed diets containing 9%, 21%, 30%, and 40% moisture to satiation or a moisture level of 9% and 30% at a restricted feeding rate (95% of satiation) for 15 weeks. The mean water temperature was $22{\pm}1.6^{\circ}C$ during the feeding trial. Gastric evacuation rates were determined post-feeding. The dietary moisture level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weight gain, but the weight of the fish receiving 9% and 30% moisture diets to 95% sati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fish fed 9-40% moisture diets to 100% satiation (P<0.05). The feed efficiency, protein efficiency ratio, viscerosomatic index, and survival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ietary moisture levels and feeding rates. The daily feed intake of the fish fed to 100% satiation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he treatment groups. The stomach contents that peaked within 3 h of feeding gradually decreased, and the stomachs of fish were completely evacuated within 18 h. The contents of the intestine peaked at 3-12 h post-feeding, and then declined with the intestine being mostly evacuated at 30 h. The moisture of the stomach contents reached approximately 70% within 3 h post-feeding and gradually increased to approximately 75% within 12 h. No considerabl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gastric evacuation and moisture levels of the stomach contents in the fish fed the different die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gastric evacuation of olive flounder was not affected by the dietary moisture level and that the addition of water into the diet displayed no beneficial effects on the growth of young olive flounder.

대두박 사료에 대한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의 소화 특성 (Digestive Characteristics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on Soybean Meal Based Diets)

  • 김병기;전중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832-839
    • /
    • 2014
  • To evaluate the digestive characteristics and bioavailability of dietary soybean meal (SBM), the post-prandial changes in the gastric contents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were determined for 24 h after feeding of SBM diets. A curve estimation of regression diagnostics using a comparison of the adjusted $r^2$ and probability was performed to test the tendency of the post-prandial changes and gave a quadratic polynomial (exponential) regression for all experimental groups. The gastric evacuations rates (GER) for higher-SBM groups were slower than those for lower-SBM groups. The estimated GER (digestion time) for 75% gastric content for fish fed a 70% SBM diet was 1.63 times longer than that for fish fed the control diet. Despite the fact that the pH values in the gastric contents rose from 4.05 at 0 h to 5.12-5.38 at 1 h after feeding, then dropped to 4.57-4.83 at 9 h,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xperimental groups, the gastric moisture content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higher-SBM groups. This is most likely due to an increase in digestive juices in the higher-SBM groups, rather than water introduced externally. The percentage of soluble nitrogen in the gastric contents of fish fed the higher-SBM diet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fish fed the control diet, and the SBRs (stomach weight/body weight${\times}100$) in the higher-SBM groups (diets 4, 5, 6 and 7)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BR of the control group (P<0.05). This may indicate that the protein in SBM can be digested slowly due to physiological digestive adaptation in rainbow trout.

사육수온에 따른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소화기관의 trypsin 활성과 배설률 (Trypsin Activity in the Digestive Organs and Gastric Evacuation Rate of Litopenaeus vannamei at the Different Rearing Water Temperatures)

  • 김수경;김봉래;김대현;김종식;장인권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4-189
    • /
    • 2008
  •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적정 사육기법을 개발하고자 사육수온(20, 23과 $26^{\circ}C$)에 따른 간췌장, 전장과 중장에서의 trypsin 활성 및 먹이섭취량을 조사하였다. $26^{\circ}C$에서의 흰다리새우 간췌장내의 효소활성은 $23^{\circ}C$ 구간보다 2배, $20^{\circ}C$ 구간보다 3배의 활성을 보였다. 전장에서의 효소활성은 사육수온에 관계없이 300 nmol/mg/min 과 340 nmol/mg/min로 유사한 최대 활성을 보였으나 먹이섭취 후 최대 활성이 나타나는 시간은 수온이 높을수록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에서의 효소활성은 먹이섭취량과 관계없이 $26^{\circ}C$ 구간에서 가장 높게 기록되어 수온이 높을수록 중장에서의 효소활성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에 대한 전장과 중장의 무게 비율의 변화, 즉 섭취된 먹이량에 의한 비율변화를 조사한 결과 전장에서의 최대 먹이섭취는 $23^{\circ}C$ 구간으로 체중의 0.6%를 섭취하였으며, $26^{\circ}C$는 0.5% 그리고 $20^{\circ}C$에서는 0.4%의 먹이를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최대먹이섭취는 $23^{\circ}C$에서 일어났지만 수온이 높은 구간인 $26^{\circ}C$에서 효소의 활성은 가장 높았고 배설률 또한 높아서 먹이의 잔류시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20^{\circ}C$ 구간에서는 가장 적은 양의 먹이를 섭취하였고 효소활성 또한 가장 낮았으나 소화관내 먹이 잔류율이 실험기간 동안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수온에서 먹이섭취량에 따른 소화효소의 활성변화와 배설률에 따른 먹이 잔류시간을 고려하여 먹이공급량과 시간을 조절한다면 최적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먹이섭취 후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Boone) 소화기관의 trypsin 활성 및 배설률 (Post Feeding Trypsin Activity in the Digestive Organs and the Gastric Evacuation Rate of Litopenaeus vannamei (Boone))

  • 김수경;김대현;김봉래;김종식;조영록;서형철;김종화;한창희;장인권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
    • /
    • 2006
  • 흰다리새우 양식기법의 최적화를 위하여 소화기간 동안의 간췌장, 전장 그리고 중장에서의 trypsin의 활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체중에 대한 전장, 중장의 무게 그리고 그 무게 합의 비율은 섭취된 먹이의 이동 및 소화과정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공급량과 잔류량에 의한 먹이섭취량을 측정하는 것 보다 더 정확한 지표로서 사용 가능하였다. 평균적으로 치대 먹이섭취량은 전장에서 먹이섭취 후 30분 이내에 체중에 0.3%로 나타났다. 또한 30분 이후부터 전장이 비워지기 시작되었으며 중장의 무게가 최대에 이르는 시각은 2시간째였다. $3{\sim}5$시간 후에는 먹이가 배설됨으로 인하여 중장의 체중에 대한 무게비가 감소하였으나 전장에서는 비교적 같은 비율을 유지하였다. 먹이섭취에 의한 trypsin활성변화는 간췌장에서 가장 커서 전장에서의 활성변화에 비하여 약 3배로 나타났다. 소화시간이 지날수록 간췌장에서의 trypsin 활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전장에서의 trypsin 효소의 활성은 중장보다 약 $2{\sim}3$배정도 높았다 먹이섭취 후 2시간이 지났을 때 trypsin 활성은 303 n mol/mg/min였고, 4시간까지 이 활성이 유지($277{\sim}306$ n mol/mg/min)되었으며, 그 후에는 점차 감소하였다. 중장에서는 typsin 활성이 먹이를 섭취하여 한 시간이 지나면서 $65{\pm}29$ (SE) n mol/mg/min로 증가하였다. 그 이후에는 $80{\sim}97$ n mol/mg/min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5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52{\pm}17$ (SE) n mol/mg/min로 감소하였고 소화관내에 잔류하고 있는 먹이 량은 최대 섭취량의 50%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