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net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4초

$Y_xFe_{2-x}O_3(x=0.82)$의 결정상 변환 (The Crytal-Phase Transition of $Y_xFe_{2-x}O_3(x=0.82)$)

  • 김정기;김영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05-308
    • /
    • 1996
  • YxFe2-xO3(x=0.82)의 결정상 변환을 상온에서의 x선회절과 온도구간 80-541K에서의 Mossbauer 분광 방법에 의해서 연구하였다. Xtjs 회절선은 시료가 orthorhombic 결정상과 garnet 결정상이 공존하고 있으며, 공존비는 실험오차 범위내에서 garnet 구조가 orthorhombic 구조보다 우세함을 보인다. 공존상중에서 garnet 구조의 자기상 변환온도는 536$\pm$5 K로 결정하였다. Debye 모형을 이용한 Mossbauer 스펙트럼의 recoil-free fration 분석결과는 garnet 결정상내의 d자리나 a자리에 vacancy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한다. 부가적으로 시료가 포함하는 각 결정상의 Debye 특성온도를 결정하였다.

  • PDF

고주파 마그네트론 스퍼터법에 의해 제조된 Yttrium Iron Garnet 박막의 미세구조 및 자기적 특성 (Microstructure and Magnetic Characteristics of Yttrium Iron Garnet Thin Films Prepared by RF Magnetron Sputter)

  • 박명범;김병진;조남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93-300
    • /
    • 1999
  • 고주파 마그네트론 스퍼터법을 이용한 YIG(yttrium iron garnet)박막 제조시 기판유형, 기판온도, 스퍼터전력, 스퍼터가스 등의 증착변수와 증착후 열처리 조건이 YIG 박막의 결정성, 화학조성, 미세구조 그리고 자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75$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수행한 증착후 열처리에 의하여 비정질 박막이 결정화되었으며, 특히 GGG(gadolinium gallium garnet)기판 위에 제조된 박막은 강한 (111)우선배향성을 나타냈다. 박막조성은 스퍼터가스 내의 산소분율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았으며, 산소분율이 20%인 스퍼터가스를 사용하여 제조된 박막은 Y2.88Fe3.84O12의 조성을 나타내었다. 증착후 열처리 온도가 90$0^{\circ}C$로부터 110$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GGG 기판위의 박막의 표면거칠기는 2.5nm에서 40nm로 증가하였으며, 보자력과 강자성 공명 선폭은 감소하였다.

  • PDF

가네트를 활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특성 연구 (A Study on Drying Shrinkage of the High-Strength Concrete using the Garnet)

  • 장주영;윤요현;박정민;김화중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16권1호
    • /
    • pp.676-679
    • /
    • 2004
  •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of drying shrinkage from age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garnet minute powder to be industry by-product. The factors of experiment are unit water content$(160kg/m^3)$, water-binder ratio(30, $35\%$), fine aggregate ratio(40, 42, $44\%$), admixture replacement ratio(0, 10, $20\%$), admixture type(garnet minute powder, fly ash, blast-furnace slag). We make a comparative study of shrinkage about concrete with a passage of age(1, 3, 7, 14, 28, 56, 91 days). As a result of experiment, we reach a conclusion as follow. In the same mix condition, as unit water content and fine aggregate ratio go up, the drying shrinkage ratio increase. In the drying shrinkage ratio according to admixture replacement ratio, it goes up when admixture replacement Ratio increase in case of fly ash and blast-furnace slag. But, drying shrinkage ratio decrease when admixture replacement ratio increase in case of garnet minute powder.

  • PDF

루모갈리온, 슈퍼크롬 가넷 와이 및 그 알킬 유도체에 의한 염기성 의약품의 형광정량 (Fluo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Basic Drugs with Lumogallion, Superchrome Garnet Y and Their Alkyl Derivatives)

  • 송만영;김동오;이은엽;안문규
    • 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9-215
    • /
    • 1993
  • Basic drugs could be extracted as ion-paired complexes with Lumogallion, Superchrome Garnet Y and their alkyl derivatives from aqueous acid solution, and then determined fluoro-metrically after addition of aluminum ion.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as follows; To a 1 ml portion of basic drugs (10$^{-9}$~2$\times$0$^{-8}$mole/ml), 1ml of 0.01w/v% fluorescent reagent solution, and 10ml of dichloroethane are added. The mixture is stirred for 1 minute. After standing for a few minutes, the dichloroethane layer is transfered to 1 ml of 0.1w/v% Al(NO$_{3}$)$_{3}$ ethanol solution. After mixing, and standing for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the fluorescence intensity is measured with each maximum excitation and emission wavelength. The reagent blank is run through the whole procedure. From the degree of enhancement of fluorescence intensity, hexyl and dodecyl lumogallion and Superchrome Garnet Y were judged to be the useful one of fluorescent reagent for basic drugs analysis.

  • PDF

동명광산(東明鑛山)의 스카른형(型) 회중석(灰重石) 광상(鑛床)의 성인(成因) (On the Genesis of Skarn-type Scheelite Deposits at the Dongmyoung mine)

  • 오민수;박기화
    • 자원환경지질
    • /
    • 제16권1호
    • /
    • pp.37-49
    • /
    • 1983
  • The skarn type tungsten deposits are developed in the contact aureole of Jurassic biotite-hornblende granodiorite and limestone beds. The latter can be divided into the Great Limestone Series of Joseon System and Gabsan Formation which is correlative to the Hongjeom Series of Pyeongahn System. The skarns are impregnated in the limestone, sandstone, schist and granodiorite, and showing zonal distribution. The five skarn zones are from fresh limestone inwards to wollastonite-skarn, clinopyroxene-skarn, clinopyroxene-garnet skarn, garnet skarn and vesuvianite skarn zone. The ore mineral, scheelite, disseminates in the clinopyroxene-garnet and vesuvianite skarn zone, and the size of the scheelite crystals in vesuvianite skarn zone is larger than in clinopyroxene- garnet skarn zone. According to the mineral paragenesis and the composition of skarn minerals, oxygen fugacity ($fo_2$) is low. Fluid inclusions in quartz comprise much $LCO_2$ and fluid inclusion studies revealed that the homogenization temperatures range $240-290^{\circ}C$.

  • PDF

폐석류석을 흡착제로 이용한 말라카이트그린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Malachite Green Employing Waste Garnet as Adsorbent)

  • 백미화;김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6-221
    • /
    • 2007
  •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malachite green on waste garnet have been investigated for its treatment from aqueous solution by employing waste garnet which is generated from the abrasive production process as an adsorbent. The influential factors examined were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malachite green in solution,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adsorbent. Also, the effect of the modification of the surface of adsorbent on adsorption was examined. As the initial malachite green was increased with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color removal of malachite green-containing solution was promoted with the amount of adsorbent. Finaly, increased adsorption of malachite green could be attained when the surface of glass was modified by hexamethyldisilazane.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고정화를 위한 다상 고화체 합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hase Waste Form to Immobilize High Level Radioactive Wastes)

  • 채수천;장영남;배인국;류경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2호
    • /
    • pp.173-180
    • /
    • 2006
  • 석류석과 스피넬의 혼합성분$(Gd_3Fe_5O_{12}+(Ni_xMn_{1-x})(Fe_yCr_{1-y})_2O_4)$으로부터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고정화를 위한 다상 고화체를 $1200{\sim}1400^{\circ}C$에서 합성하였다. 이들 화학조성에서는 석류석, 페롭스카이트 및 스피넬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석류석은 Fe의 함량이 가장 높았던 조성에서만 관찰되는 특성을 보임으로써 Fe의 함량이 석류석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지시하고 있다. 석류석의 성분은 Gd와 Fe가 각각 초과 및 결핍된 양상을 보였다. 이같은 석류석의 비화학 양론적인 조성은 상들과 원소간의 선호적 배분관계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광학적 방법에 의한 루비와 가넷의 감별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ruby and garnet by optical method)

  • 황지호;최종건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82-18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루비와 가넷을 감별하는데 첨단기기분석인 FT-IR, UV-VIS spectroscopy를 이용하였다. FT-IR을 이용한 분석결과 루비와 가넷의 격자진동에 의한 흡수 스펙트럼은 아주 다른 특성을 보여주었다. UV-VIS spectroscopy을 이용한 분석결과 루비는 적색과 청색영역에서 두개의 투과가 나타났고 이와 다르게 가넷은 오직 적색영역에서만 투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루비와 가넷을 감별할 수 있는 컬러필터를 개발하였고 이를 HJH(Hwang Ji Ho) Filter라고 명명하였다. HJH Filter를 통해 봤을 때, 루비는 청색으로 보여지고 가넷은 진한 적색으로 보여졌다 이는 HJH Filter의 청색영역 투과도 때문이다. 스피넬, 투어멀린과 같은 또 다른 적색 보석들은 가릿과 같이 진한 적색으로 보여졌다. 이는 루비와 적색보석들을 감별하는데 유용한 결과가 있음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