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ic

검색결과 1,725건 처리시간 0.03초

담금원료에 따른 전통식 고추장의 숙성 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 신동화;김동한;최웅;임미선;안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07-912
    • /
    • 1997
  • 전통식 고추장의 품질개선과 담금방법을 표준화하여 산업화하기 위하여 담금원료를 달리한 고추장을 90일간 숙성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고추장의 환원당은 숙성 60일경까지 증가하였으며, 엿기름 첨가 고추장에서 높았다. 에탄올은 숙성 45일 이후 증가하였으며 구기자, 자색고구마, 엿기름 첨가 고추장 순으로 높았다. 아미노태질소는 $45{\sim}60$일경까지 증가하여 $0.20{\sim}0.24%$에 달했고, 암모니아태 질소는 숙성중 불규칙한 증감을 보였으며, 이들은 간장과 구기자 첨가 고추장에서 많았다. 고추장의 수분활성도는 자색고구마 첨가 고추장에서 높았고, 숙성 중에는 다소 낮아졌다. 점조성은 숙성중기까지 감소하나 이후 증가하였고, 자색고구마와 구기자 첨가 고추장이 상당히 높았다. 고추장의 색도는 숙성 중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L, a, b값 모두 자색고구마 첨가 고추장에서 낮았다. 고추장의 관능은 마늘과 엿기름 첨가 고추장이 자색고구마 첨가 고추장에 비하여 맛이나 색에서 우수하여 전체적으로 양호하였다.

  • PDF

훈건멸치 분말수프의 가공 및 정미성분 (Processing of Powdered Smoked-Dried Anchovy Soup and Its Taste Compounds)

  • 오광수;이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3-397
    • /
    • 1994
  • 훈건멸치 분말수프의 제품화에 필용한 가공조건을 구명하고, 시제품의 정미성분 및 품질 등에 대하여 실험 하였다. 원료멸치를 수세한 후 $5{\sim}6%$의 식염 및 1.0%의 에리소르빈산나트륨을 첨가한 자숙수 중에서 5분간 자숙하였고, 자숙이 끝난 멸치는 물빼기를 한 후 훈연실로 옮겨 $40^{\circ}C$에서 4시간 훈건 후 점차 온도를 올려 $80^{\circ}C$에서 8시간 동안 훈건하였다. 이를 분쇄기로써 분쇄한 후 50mesh의 체를 통과시켜 얻은 분말을 PET/Al/CPP 적층필름주머니에 충전 포장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제품의 수분함량은 9.4%, 조지방 9.6%, 조회분은 15.8%이었고, 산도는 23.0ml, 염도는 6.9%, 휘발성염기질소함량은 31.2mg/100g 이었다. 제품의 가공 중 지질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항산화제로 첨가한 에리소르빈산 나트륨 및 훈건처리 중 부착된 고비점페놀류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품 가공 중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분해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제품의 가장 중요한 정미성분인 IMP의 함량은 건물량으로 466.5mg/100g이었고, 제품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1179.2mg/100g으로 주요 아미노산은 histidine, taurine, proline, lysine, alanine, glutamic acid 등이었다. 유기산으로는 lactic acid가 591.4mg/100g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TMAO는 21.3mg/100g 함유되어 있었다. Creatinine 및 betaine 함량은 595.9mg/100g, 57.2mg/100g 이었다.

  • PDF

부재료 첨가에 따른 갓김치의 항산화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Mustard Leaf Kimchi with Optional Ingredients)

  • 최영숙;황정희;김재이;전영수;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03-1008
    • /
    • 2000
  • 갓김치 제조시 필수적으로 첨가되는 주요 부재료별 갓김치의 항산화성 증진 효과와 이미 항산화성이 높다고 알려진 여러 가지 항산화성 특수 부재료의 첨가수준을 달리 하여 제조한 갓김치의 항산화성 증진 효과를 살펴보았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특수 부재료를 선정하고 이들의 첨가를 달리하여 만든 갓김치의 항산화 특성을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갓김치의 주요 부재료인 파, 마늘, 고춧가루, 생강 등이 갓김치의 항산화성 증진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고춧가루 첨가군>생강 첨가군>마늘 첨가군>파 첨가군의 순이었으며, 적갓 김치군에서의 항산화성이 돌산갓 김치군에서 더 높았다 2. 더덕, 부추, 우엉, 다시마, 미 역, 청각 등을 첨가한 돌산갓 김치와 적갓 김치는 첨가하지 않은 갓김치에 비하여 항산화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더덕, 우엉, 청각을 첨가한 갓김치군의 항산화성 증진 효과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첨가되는 특수 부재료의 양에 비례하여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성이 우수한 재료들을 조합하여 첨가한 군에서의 항산화성 증진 효과가 각각 첨가한 군보다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돌산갓김치의 용매추출물의 항산화성을 살펴보았을 때 일반 갓김치보다는 더덕 또는 청각을 첨가한 김치군이, 더덕 또는 청각 첨가갓김치 보다는 더덕과 청각을 함께 첨가한 갓김치군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일관된 경향성을 보였다.

  • PDF

향신채소를 첨가한 어육 고음 추출물의 단백질 품질평가 (Protein Nutritional Qualities of Hydrocooked Fish Extracts Containing Spicy Vegetables)

  • 류홍수;문정혜;황은영;이종열;조현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1-216
    • /
    • 1999
  • 풍미향상과 고온 열처리로 인한 단백질 품질저하를 완화시킬 목적으로 세가지의 향신 채소 (마늘, 생강, 양파)를 첨가하여 $110^{\circ}C$에서 5시간동안 조리한 어육 고음추출물의 단백질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향신채소를 첨가한 붕어 어육가수분해물의 유효성 Iysine은 생육의 유효성 Iysine과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광어의 경우는 $66\~84\%$ 정도 유지되었다. 친유성 갈변물질 발생정도는 원료어육에 비해 붕어의 경우는 오히려 낮고, 광어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런 종류의 갈변물질은 제거된 지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I생성은 원료어육과 별차이가 없고, 소화율은 원료어육보다 $4\~5\%$ 낮으나 대체로 고온 고음추출물에 비해 $3\~4\%$ 높게 나타나 단백질 품질 저하가 훨씬 완화된 결과를 보였다. 원료어육의 유리 아미노산의 총량이 $2,000mg\%$ (광어), $2,240mg\%$ (붕어) 정도였던 반면, 향신채소를 첨가한 고음추출물에는 $3,800mg\%$ (광어), $3,700mg\%$ (붕어) 정도의 유리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붕어 고음추출물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histidine, taurine, glycine 및 alanine 이었으며, 광어의 경우는 taurine, alanine 및 asparagine이었다. 향신채소 첨가 어육 고음추출물 중 비교적 품질이 우수하다고 판단 된 생강첨가 추출물을 이용한 in vivo 단백질 품질 평가를 한 결과 in vivo 단백질 소화율은 표준단백질인 ANRC casein보다 $6\~7\%$낮았으나 고온 고압 처리 고음추출물보다 붕어의 경우 약 $10\%$이상 소화율이 높아졌다. Rat-PER은 약간 상승하였지만 실험 전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고, 다만 고온 처리 시료에서 발생하였던 탈모현상은 볼 수 없었으며 분변의 상태도 약간 호전되었다.

  • PDF

I.C.를 이용한 과일 및 채소류중의 총 아황산염류 자연함량 측정 (Determination of Natural Contents of Total Sulfites in Fruits and Vegetables by Ion Chromatography)

  • 김명희;박성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8-223
    • /
    • 1989
  • 1987년 $10{\sim}12$월 사이에 경남, 전북, 충청 및 강원의 4개 지역에서 채소 및 과일 34종 410 예를 산지에서 직접 구득하여 I.C법으로 아황산염류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I.C법에 의하여 미량 존재하는 아황산염류의 함량을 신속, 정확히 정량 할 수 있었다. 2. 10종의 엽채류중 파는 $13.23{\pm}1.39ppm$, 갓은 $4.62{\pm}0.30ppm$, 시금치는 $2.68{\pm}0.23ppm$이었으며 양상치의 경우 $0.18{\pm}0.05ppm$으로 가장 낮았다. 3. 12종의 근채류중 마늘이 가장 그 함량이 높아 $134.07{\pm}9.65ppm$ 이었으며 근채류 증에는 더덕이 그 함량이 가장 낮아 $0.41{\pm}0.03ppm$이었다. 4. 과채류 6종 중에는 고추가 가장 높아 $1.16{\pm}0.12ppm$인 반면 토마토는 $0.35{\pm}0.15ppm$으로 가장 낮았다. 5. 과일류 6종 중에는 감이 가장 그 함량이 높아 $2.74{\pm}0.45ppm$이었으며, 밤이 $1.06{\pm}0.16ppm$이었고 귤의 경우 $0.07{\pm}0.01ppm$으로 가장 낮았다. 6. 지역에 따른 아황산염류의 함량은 충청지역이 타 지역에 비하여 일부 과채에서 유의한 차로 높았다.

  • PDF

취학전(就學前) 아동(兒童)의 영양실태조사(營養實態調査)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urvey of Nutritional Status on Pre-school Children in Korea)

  • 최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1-35
    • /
    • 1982
  • (1) 열량(熱量)및 모든 영양소(營養素)를 1일(日) 섭취량(攝取量)과 권장량(勸奬量)를 비교(比較)할때 열량(熱量)에서 남(男)68.7%, 여(女)70.0% ca에서 여(女) 78.3%로 섭취율(攝取率)이 낮았고 다른 영양소(營養素)는 권장량(勸奬量)보다 높은 비율(比率)로 섭취(攝取)하고 있었다. (2) 탄수화물(炭水化物), 지방(脂肪), 단백질(蛋白質)의 비율(比率)은 남(男)64 : 11 : 24, 여(女)66 : 11 : 23이었다. (3) 식품섭취(食品攝取)는 동물성(動物性)보다 식물성섭취(植物性攝取)가 높았고 곡류(穀類)및 서류(薯類)의 섭취(攝取)가 32.8%로 가장 높았다. (4) 어머니의 영양지식(營養知識)과 영양소섭취량(營養素攝取量)과의 관계(關係)는 남(男)의 경우 열량(熱量), 단백질(蛋白質), Ca와 여아(女兒)의 경우 열량섭취(熱量攝取)에서 유의적인 차이(差異)를 보여주어 영양지식(營養知識)이 높을수록 높은 함량(熱量)을 섭취(攝取)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절임조건별(條件別) 배추에 의한 김치의 숙성중(熟成中) Riboflavin과 Ascorbic Acid의 함량변화(含量變化) (Changes in Riboflavin and Ascorbic Acid Content during Ripening of Kimchi)

  • 이승교;김화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1-135
    • /
    • 1984
  • 배추의 윤송(輪送)과 가공상(加工上)의 편의(便宜)를 위하여 염농도별(鹽濃度別) 절임 조건(條件)을 검토(檢討)하였으며, 절임배추로써 만든 김치의 숙성중(熟成中)의 ascorbic acid와riboflavin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측정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된다. 1. 생배추를 10, 20 및 25%의 소금물에 각각 24 시간 절였을 때 부피는 62${\sim}$65 %, 무게는 15${\sim}$42%가 감소(減少)하였 다. 2. 각각의 소금물농도로 절인 배추를 10일간 초겨울 외기온도(外氣溫度)에 저장(貯藏)하였을 때 riboflavin 함량(含量)의 감소(滅少)는 없었으나 ascorbic acid 함량(含量)은 1/3도 감소(滅少)하였다. 3. 절임 저장기간(貯藏期間)에 따른 김치 제조(製造)시 절인 즉시 담근 김치는 저장기간(貯藏期間)이 10일째의 것에 비(比)하여 riboflavin 함량변화(含量變化)는 별로 없었으나, ascorbic acid는 저장기간(貯藏期間)이 긴 것일수록 함량(含量)이 낮았다. 4. 김치의 관능검사(官能檢査) 결과(結果), 절임저장배추를 사용(使用)하여 김치를 담그면 제조 첫 날의 맛에는 차이가 없으나 발효기간(醱酵期間)이 길어짐에 따라 맛이 떨어졌다.

  • PDF

재래종 돼지고기에 대한 인식 및 실태 (A Survey of Recognition and Use for Native Pork)

  • 한재숙;한경필;김태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89-500
    • /
    • 1999
  •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2 30대, 4.50대 남녀를 대상으로 재래종돼지고기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소 먹고 있는 고기는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순이며, 외식할 떼 주로 먹는 고기는 돼지고기와 소고기가 각각 43.7%. 42.7%였고 2.30대가 4.50대보다 돼지고기를 더 선호하였다(p<0.01) . 2. 70.3%가 돼지고기를 가끔 먹는다고 하였으며 잘 먹지 않는 이유는 기름기가 많아서 33.4%, 식구들이 잘 먹지 않기 때문에 33.0%였다. 3. 가장 좋아하는 돼지고기의 부위는 삼겹살 53.5%, 갈비 33.6%였고, 좋아하는 돼지고기음식은 돼지불고기 48.1%, 김치찌게 13.6%, 탕수육 10.9%의 순이었다. 4. 돼지고기에 어울리는 식품과 곁들이면 좋은 식품은 상추, 깻잎, 마늘 순이었고 술은 소주가 가장 많았다. 5. 재래종돼지고기는 맛, 질감, 영양성분. 지방이 적고, 건강에 좋은 식품이라고 인식하였고, 가격은 더 비싸고. 냄새가 나는 것은 비슷하다고 하였다. 6. 재래종돼지고기는 30.9%가 전통식품, 20.6%가 자연식품. 14.3%가 건강식품으로 인식하였고 59.1%가 먹어 보았다고 응답하였다. 7. 소비전망은 증가할 것이다가 50.9%였으며 그 이유는 품질이 좋아서 49.8%, 신토불이의 사상 때문에 29.6%, 18.5%가 우리의 기호에 맞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8. 재래종돼지고기에 대한 개선점은 구입이 용이 38.3%. 저렴한 가격 31.6%, 신선도 위생성 향상 13.4%, 홍보의 증가가 10.9%였다.

  • PDF

목련(Magnolia denudata Desr.)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Magnolia denudata Desr. Flower Extracts)

  • 노진우;황인국;정은미;김현영;장성준;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478-1484
    • /
    • 2009
  • 목련 꽃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항암활성 및 항염증활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련꽃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16.14 및 86.93 mg/g이었고,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_{50}$값은 0.232 mg/mL이었으며, 용매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보였다($IC_{50}$: 0.197 mg/mL, AEAC: 0.90 mg AA eq/100 mg). 또한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은 대장암, 폐암 그리고 간암세포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낮은 농도에서 증식억제효과를 보였으며,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유도 일산화질소 생성 저해효과를 보였다($IC_{50}$: 49.5 $\mu$g/mL).

향신료(香辛料)의 처리(處理)가 우육(牛肉)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Spices on Histological Characteristic of Beef)

  • 정병선;이용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20
    • /
    • 1987
  • 우육(牛肉) 조리시(調理時) 첨가(添加)되는 향신료(香辛料) 등이 우육(牛肉)의 연화(軟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기 위하여 향신료(香辛料) 자체(自體)의 단백질(蛋白質) 가수분해능(加水分解能)의 유무(有無)와 이에 따른 연화효과(軟化效果)를 연육소(軟肉素) 및 연육기(軟肉器)에 의한 연육효과(軟化效果)와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1. Casein을 기질(基質)로 하여 향신료(香辛料)의 단백질(蛋白質) 분해효소능(分解酵素能)의 유무(有無)를 실험(實驗)한 결과(結果), 모든 시료(試料)에서 단백질분해효소능(蛋白質分解酵素能)이 확인(確認)되었으며 각(各) 시료(試料)의 단백질(蛋白質) 분해정도(分解精度)는 마늘, 무우, 생강 그리고 양파의 순(順)으로 컸다. 2.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검사(特性檢査)에서 연육소처리(軟肉素處理)를 한 조직(組織)은 전반적(全般的)으로 collagen 및 elastic fiber, 근계육(筋繼維) 등이 분해(分解)되는 정도(程度)가 현저(顯著)하였으며, 연육기처리(軟肉器處理) 조직(組織)은 collagen 및 elastic fiber, 근계육(筋繼維) 등이 절단(切斷)되어 조직(組織)이 붕괴(崩壞)되었다. 또한 향신료(香辛料)를 처리(處理_한 조직(組織)도 단백질(蛋白質) 가수분해효소능(加水分酵素能)에 의해 collagen, elastic fiber 및 근계육(筋繼維)가 부분적(部分的)으로 분해(分解)되었다. 3. 처리육(處理肉)의 유연성(柔軟性)에 대한 관능검사(官能檢査)의 결과(結果), F-value가 11 27로 4가지 시료(試料)사이에 1% 수준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시료간(試料間) 유의성(有意性)의 차이(差異)에 있어서 향신료처리(香卒料處理) 쇠고기는 5% 수준(水準)에서 처리(處理)하지 않은 쇠고기와의 간(間)에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