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den History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5초

중국 전통 사찰원림의 문화경관 특성 - 장전불교사원의 공간구획 및 원림의 가치를 중심으로 - (A Cultural Landscape Charactertistics of Traditional Temple Garden in China - Focusing on the Spatial Division of Buddhist Temples and the Value of Gardens -)

  • 신현실;이행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5-21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 서남지역의 서장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원의 공간구성과 원림의 형태에 관하여 그 가치를 연구하였다. 중국의 중원과 인도를 통해 유입된 불교가 서장의 민간신앙과 열악한 환경을 통해 융합되는 과정을 당대의 역사, 문화, 정치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였던 사원의 공간구획, 건물배치 및 원림을 통하여 장전불교와 장전불교사원의 영향관계를 고찰하여 장전불교 사원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표적 장전불교사원인 포달랍사원, 라포림가사원, 대소사를 통해 장전불교사원의 공간과 원림에 대한 가치를 도출하였다. 첫째, 서장은 만년설과 녹지가 공존하는 독특한 환경으로 인해 서장의 대표적 장전불교 사원인 포달랍사원, 라포림가사원, 대소사사원은 토속신앙과 불교의 자타불이와 만다라에 근거하여 계곡과 산맥에 기대어 자연에 순응하는 형태로 넓게 분포되어 있다. 둘째, 대상지들은 크게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되어 진다. 상부는 예불을 위한 건물들이 위치하고 하부는 수행을 위한 공간과 원림이 위치하고 있다. 원림은 크게 2가지 형태로 존재하였다. 셋째, 수행하는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고 보리수를 식재하여 석가모니와 같이 수행을 통해 이집의 분별에서 벗어나 배진합각의 진리의 세계로 벗어나자는 이상적 구조를 지니고 있었으며 사원 주변 수림을 조영하여 명상과 교류가 이루어지는 원림이 존재하였다. 수림들에는 상록 침엽수림이 주로 식재 되어 있다.

18~19세기 정원 예술에서 현대적 시각성의 등장과 반영 - 픽처레스크 미학과 험프리 렙턴의 시각 매체를 중심으로 - (Modern Vision in the 18~19th Century Garden Arts - The Picturesque Aesthetics and Humphry Repton's Visual Representation -)

  • 이명준;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30-39
    • /
    • 2015
  • 픽처레스크 미학과 풍경화식 정원은 자연을 그림과 같이 정태적으로 감상하게 만드는 이른바 회화적 자연관의 전범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해석은 당시의 시각 문화를 선원근법에 의존하여 설명한 데에서 연유한다. 실상 당시는 새로운 시각 매체의 발명에 따라 종래의 원근법에 기반했던 시각성이 '유동적인 시각'과 '시점의 상대성'으로 요약되는 '움직이는 시각성'으로 변모해가는 바로 직전의 시기였다. 이 연구는 그러한 시각 문화의 변동에 주목하여 픽처레스크 미학과 험프리렙턴의 시각 매체에서 나타나는 '움직이는 시각성'의 징후를 읽어내고자 한다. 18세기 독일의 정원 이론가 히르시펠트는 풍경화식 정원은 구불구불한 선을 이용하여 움직임의 환영을 만들어낼 수 있으므로 다른 예술 형식보다 우월하다고 분석했다. 18세기 말 야기된 픽처레스크 논쟁에서 아마추어 이론가들은 회화에서 복잡하고 다채로운 시각의 변주를 중요하게 여기고, 정원도 그러한 시각적 자극이 만들어지도록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렙턴의 "레드북"에 수록된 스케치에서는 움직이는 시각성이 반영된 다양한 재현 전략들이 발견된다. 렙턴은 속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여러 유형의 길을 체계적으로 설계했고, 인간의 시각장을 표현하기 위해 회화적 프레임이 아닌 파노라믹 뷰를 활용하였으며, 현실에서의 움직임과 유사한 시각적 경험을 만들어내기 위해 여러 스케치들을 전략적으로 배열하였다. 이와 같이 픽처레스크 미학과 렙턴의 시각 매체는 당대 시각 문화에 새롭게 등장하기 시작한 움직이는 시각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청평사(淸平寺) 선원(禪園)의 시대적(時代的) 형성(形成)과 변천상(變遷相) (The Periodical Formation and Phase of Change of Cheongpyeongsa Temple Zen Garden)

  • 윤영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3
    • /
    • 2011
  • 청평사는 고려 초 창건되었지만 현재와 같은 공간의 틀은 고려 중기 진락공 이자현(1061-1125)이 1089년 입산해 선사상을 바탕으로 구축한 것이다. 이 연구는 이자현이 청평사의 기반을 구축한 문수원 이후 형성, 발달했던 선원 내 인공유적의 출현과 존속의 시대사적인 변천과정을 고문헌을 근거로 하여 개념적으로 구현해 보고자 하였다. 이자현의 문수원 때 조성된 경외 8암자 중 식암, 견성암, 양신암 등 세 암자만이 조선 후기까지 복원, 수리를 거쳐 건재하며 상징적 암자로 보존되어 왔다. 또 이자현 때 조성된 영지도 고려시대 연못의 원형적 의미를 지닌 소중한 조경유적으로 현재까지 남아있다. 이자현이 식재했다는 구송은 후계수를 이어가며 1800년대 중반까지 살아있었다. 조선 중기 보우대사(1509-1565)는 이자현이 구축한 문수원을 기반으로 청평사로 개칭하고 중창하면서 경내를 능인전(대웅전)만 제외하고는 모두 새로 짓고 확장하여 현재와 같은 경내 공간구조로 만들었다. 또 경외 영지의 개축, 궁원으로부터의 조경식물 이식 등 경관의 질을 한층 높여 청평사를 역대 가장 번성한 모습의 선원으로 만들어 놓았다. 그러나 조선 후기인 1800년대 중반 이후 청평사는 더 번성하지 못하고 쇠락의 길로 접어들면서 선원의 건축물은 경내 일부를 제외하고 모두 소멸되고 기타 시설물들은 방치된 채로 현대까지 남아 있었다.

Development of a Competency-Based Master Gardener Coordinator Curriculum: Focusing on Public Service Rural Extension Workers

  • Kim, Ji-Sung;Han, Seung-W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9-15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role of master gardener coordinators and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ir job competencies. To analyze and develop the new job of master gardener coordinator, we used the CBC method for curriculum development.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nalysis result of need and importance of education based on the performance level and demand level revealed 20 core competencies, which were classified into organizational education, learning by experience, individual learning, low-priority competencies for program development, with focus on the importance and need for education. The 17 courses are comprised of Eastern and Western Garden History, Understanding of Community Garden, Garden Aesthetics and Environmental Design, Master Gardener's Mission & Management, Garden Plants, and Garden Design and Practice etc. and the curriculum is 33 hours in total. The master gardener coordinator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on 73 rural extension workers and the curriculum was evaluated by those who completed the program.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4.29 and 97.1% of the trainees decided that the program would help them perform their duties. The analysis result discovered that all 20 core competencies increased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 of conducting contingent valuation to determine the value of the program, willingness to pay (WTP) per hour was KRW 33,223 and the total WTP was KRW 1.096 million, which, when multiplied by 73 participants, is approximately KRW 80.008 million. This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budget used (KRW 22.943 million), indicating that the program is worth it.

San Francisco의 두 현대 미술관, SFMOMA와 De Young Museum (Two Modern Museums in San Francisco: SFMOMA and De Young Museum)

  • 정진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4호
    • /
    • pp.7-22
    • /
    • 2007
  • In San Francisco, two new museums were recently built in 1995 and 2005. The one is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designed by Mario Botta and the other is De Young Museum designed by Jacques Herzog & Pierre de Meuron. The urban settings for the museum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theories of the architects are evolved on different branches in the modernist trends. The theories and settings are followed by the representation in the forms, facades, interior spaces and towers. SFMOMA is located on the SoMa area, which was recently developed into a cultural urban core with Moscone Center and Buena Yerba Garden. De Young Museum was rebuilt in the old museum site in the Golden Gate Park. The one is on the context of urban artefacts and the other on the context of natural artefacts. To Botta, the museum in today's city plays a role analogous to that of the cathedral of yesterday. It is a place of common encounter and confrontation. The volume of SFMOMA which is geometrical and symmetric with double pylons. The frontality on the street and public green open space and the axiality of SFMOMA runs through the Buena Yerba Garden over Buena Yerba Center for the Arts are reminded us of an urban core with a religious monument and a city square. The staircase with grandiose design in the atrium seems to work as an altar with lighting from skylight above enhancing the liturgical ambiance. De Young Museum is shaped in a rectangle with long narrow courtyards. Three bands of volumes are juxtaposed and the nature flows into the museum corridors and galleries. The tower is distorted so as to be aligned to the street grids of the surrounding area. The copper panel of De Young Museum and natural context evoke modern concept of "machine in the garden". The two museums from different pedigrees of Modern Architecture are now major landmarks of SF and urban expressions for the 21st century.

  • PDF

글라스하우스의 파빌리온, 폴리, 인스톨레이션의 특성 (The Features of the Pavilions, Follies, and Installations of the Glass House)

  • 김란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6권1호
    • /
    • pp.71-82
    • /
    • 2017
  • Pavilions, follies, and installations provide a place with a new experience beyond that of simple garden architectur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onstructs in the Glass House site, which Philip Johnson has built for 50 years. After Chapter 1 Introduction, which summarized the background of the study, Chapter 2 investigated the design background of the landscape and the types of the constructs there. It also, studying literature on pavilions, follies, and installations, defined the basic meanings of them. Chapter 3 identified the features of each construct through the case studies of it, analyzing Johnson's intentions on it. These features are such as the applications of classical follies, the quotations of architectural history, fusion with art, architectural experiments, and the monuments of personal history. In conclusion, this study, finding the site specificity as a common feature of pavilions, follies, and installations, referred to two aspects of this, which are not only physical placeness but also cultural media.

중국정원의 미학 -조영과 감상의 미적 경계를 중심으로- (The Aesthetics of Chinese Garden -with special reference to Yi-Jing)

  • 이유직;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9-95
    • /
    • 1996
  • The traditional gardens of China we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common aesthetic consciousness between designers and users. As designers and users communicated each other through the medium of garden, they give suggestions to our design and appreciation of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The traditional gardens of China pursued to reach the state of Yi Jing(意境), and this state formed the keynote of the whole field of Chinese culture. Yi Jing is the aesthetic theory originated in Pre-Qin Era, and established in Tang-Dynasty. After this, this theory become the very important aesthetic category of Chinese aesthetics. Yi Jing is the process from conception to appreciation, and requires the three parts of designer, a work of art, and appreciator. To reach Yi Jing, designers must be well grounded and persevere in their efforts. They also had to have the ability of corresponding the inner order of environment and landscape, and expressing their own feelings and emotions into gardens. So ultimately, they were in pursuit of constructing the gardens as if something naturally created. The garden itself is the meeting place of designers and users. The space in which users can think of life, nature, history, and cosmos. In order to do this, designers design the real landscape and non-visual landscape. This design can give appreciators more fertile imagination. Appreciation perfects the Yi Jing of gardens. Yi Jing is created by co-work of artist and appreciator with commo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sense. Therefore, it is subjective, and it may be vary with man and time.

  • PDF

Plant.Green.Living Environment -Urban Construction and Establishment of Green Space in Kunming-

  • Cheng, Hai-L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1호
    • /
    • pp.131-134
    • /
    • 2001
  • Green and plants, as it symbol the life and depute the nature, always give human an easy comfort psychologically. The paper is a brief analysis to the idea frame of urban construction and reform of Kunming through our practice about ten years. On which three main principle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One is that the green-space composed of plant system is of the important infrastructure of a modern city as it can not be instead of by any other factor in the ecological system of the city. The other is that in the course of planning and construction the local feature as well as its culture tradition in history should be pied more attention. In order to create a distinguish character of itself the third may be more important that to coordinate each key elements of it such as green, water, light, building, road, etc., to get a harmonious sphere of human and nature. A modern city should be a green city in which nature and man co-exist harmoniously.

  • PDF

용산 총독관저 정원의 조경사적 의의 (The Yongsan Governor General Official Residence in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History)

  • 김해경;유주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8-129
    • /
    • 2011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조영된 용산 총독관저와 그 정원에 관한 연구이다. 네오바로크풍의 건물과 정원이 계획되었는데, 이때 작성된 설계도면은 기존과는 달리 정원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용산 총독관저 정원설계도면의 해석과 신문기사 관련 문헌을 통한 분석으로 도출한 조경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산 총독관저 정원이 근대시기에 조영된 최초의 서양식 정원으로서의 가능성이다. 건물과 함께 정원이 1909년에 완성되어 1911년 조영된 덕수궁 석조전 정원보다 시기적으로 앞선다. 둘째, 당시 근대건축과 함께 도입된 정원 양식과 정원 구성요소를 알 수 있다. 건물의 중심과 정원 진입부의 기념비가 연결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원구성요소가 배치되었는데, 시각적 중심이 되는 비스타(Vista)를 이루는 기념비, 바로크 정원에서 보이는 화단 형태, 축과 대칭으로 배치된 수공간, 화단 형태와 축을 강조한 배식 패턴이 이에 해당한다. 셋째, 서양정원문화의 전파이다. 서양식 문화인 가든파티 형식의 원유회가 열렸으며, 관저에서는 저녁시간대에 만찬과 의전 행사를 진행하였다. 넷째, 근대 조경도면으로의 사료적 가치이다. 도입 수종과 배식 패턴을 구분한 최초의 근대 조경도면으로 기존의 간략한 수목 심벌 또는 화단 형태의 표기에서 진일보한 표현이다. 부차적으로 지형 변형을 위한 현재 표고와 계획고, 수경요소의 배관, 상세 단면 등이 표기되어 있다. 향후 근대조경의 실질적인 분석을 위해서 새로운 사료의 발굴과 분석으로 근대조경에 대한 연구의 폭이 확대되길 바라는 바이다.

영국 화이트 가든(White Garden)의 초화류 설계기법 - 20C 초반 작정된 시싱허스트, 배링턴 코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of Flowering Plants Used in the English White Gardens - Focusing on Sissinghurst, Barrington Court 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

  • 박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44-153
    • /
    • 2010
  • 정원을 만드는데 있어서 정원설계가들은 특정한 색을 이용하여 원칙을 정하고 소재를 수집하여 각자의 미의식으로 결합해가는 기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흰색을 배색의 주조톤으로 하여 유명한 정원인 제킬(Gertrude Jekyll)의 배링턴 코트(Barrington court)와 비타(Vita Sackvill-West)의 시싱허스트(Sissinghurst)의 화이트 가든에 사용된 초화류의 종류와 특성을 통해 설계기법을 연구한다. 사용된 개별식물을 계절, 색, 형태, 초장, 향기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화이트 가든 조성 시 초화류의 미적 결합방식을 제킬과 비타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제킬은 봄의 신선함을 위한 정원으로 초롱꽃류(Campanula spp.), 백합류(Lilium spp.)를 위주로 식재하였다. 비타(Vita Sackvill-West)는 주로 여름밤의 달빛을 겨냥한 정원으로 델피니움류(Delphinium spp.), 장미류(Rosa spp.)가 대표적인 수종이다. 꽃의 색은 흰색계열로 조성하였으나, 순수한 흰색에서부터 아이보리색과 실버색을 포함하였으며, 꽃의 형태는 흰색의 단일색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강한 형태를 사용하였다. 또한 잎의 색은 흰꽃이 잘 돋보일 수 있도록 연록색, 연회색, 밝은 녹황색 잎을 조합하였다. 전반적으로 차가운 색상 계열을 사용하여 신비감과 시원함, 청정함, 밤에 빛이 반사되었을 때 흰꽃과 더불어 매혹적이고 애상적인 이미지를 추구하였다. 화이트 가든의 조경사적 의의는 색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재식설계기법의 아이디어와 기술로 주제색상을 통한 정원설계의 시발점이 되었으며, 미적 원리에 의한 결합으로 정원예술의 발전에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