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ngwon province

검색결과 902건 처리시간 0.029초

전통민가의 전기 및 설비시설 설치에 따른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 강원영동지역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Present State and Improvement Wa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Electric or Plumbing Equipments of Traditional Folk Houses - Focused on Yongdong, Gangwon Province -)

  • 진재형;최장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5-32
    • /
    • 2012
  • Traditional folk houses in Yongdong, Gangwon province play important roles in figuring out natural, human, and social value in the past time including housing life. However,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electric or plumbing equipment in housing life styles, many conventional architectures have been changed by installations of new electric or plumbing equipment, convenience facilities, and etc.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make basic data to prepare for standardized installations of the electric or plumbing equipment, and convenience facilities by surveying of the present installation status, such as electric lights, outlets, switches, wiring, pipe laying, or monitoring devices for crime,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and home appliances etc. Additionally, this paper is related to the meaning and usage,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electric or plumbing equipment installations of the traditional folk houses to be prepare for the proper solutions between preservations of the original form and convenient lives for residents.

Nonlinear Height-DBH Growth Models for Larix kaempferi in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 Lee, Daesung;Choi, Jungkee;Seo, Yeongwan;Kim, Euigyeo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201-207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best-fit nonlinear height-DBH growth models for Larix kaempferi in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in South Korea. Exponential, Modified Logistic, Chapman-Richards, and Weibull function were used for estimating height-DBH models. To evaluate the selected models, $R^2$, RMSE, MD, MAD, and residual plots were performed in each model. Also, the coefficients and patterns in models of the previous studie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this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Weibull equation was found to be the best-fit model with $R^2$=0.9837, RMSE=2.6133, MD=0.0089, and MAD=2.0896. All model parameters in our study had similar values to those in the previous models except for asymptotic parameter a. Our research result showed that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were superior to other provinces with regard to height growth for Larix kaempferi.

실측자료를 이용한 하천의 수위변화 분석 - 강원도를 사례로 - (Analysis of Peak Flow Changes Using the Measured Data)

  • 배선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측된 강우자료와 하천수위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와 수위의 관계를 유역권 단위로 분석하는 것이다. 2010년 9월 9~12일 발생한 강우를 대상으로, 강원도 전역에 설치되어있는 자동기상관측장비에서 관측된 강우자료와 강원도 내 주요하천에 설치되어 운영 중인 수위계로부터 측정된 수위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유역권별로 그리고 동일한 유역권 내에서도 지류별로 강우와 수위변화 사이에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일정 규모 이상의 유역권을 대상으로 한 방재 계획과 강우-유출 모형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국단위 재해위험도에 기초한 급경사지 재해의 단위권역 구분 (Division of Small Unit Based on a Nationwide Disaster Vulnerability Map)

  • 김성욱;최은경;박덕근;오정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927-932
    • /
    • 2010
  • This study made a nationwide metropolitan region map on the basis of disaster vulnerability and administrative boundary, and based on it, it divided small-sized regions and constructed disaster history of each region. For the disaster vulnerability, the study wrote slope, aspect, curvature, wetness index, and drainage density, compared and analyzed regions with disaster and geomorphic elements to distinct the factor with high correlations, and based on it, it divided small-sized regions for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of middle regions(Gangwon province, Chungchu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Through the method, Gangwon region were divided into 4 small-sized regions, Chungchung into 5 small-sized regions, and Jeolla into 6 small-sized regions.

  • PDF

DMZ 내 사라진 마을의 공간적 분포와 특성 (The Survey of Disappeared Villages in The Demilitarized Zone)

  • 김창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6-105
    • /
    • 2009
  • 이 연구는 근대적인 토목공사가 진행되기 이전에 현재의 DMZ 내에 존재하던 마을의 공간적 분포와 특성을 GI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DMZ 지역에서는 총 427개의 마을이 조사되었다. 행정구역별로 살펴보면 강원도가 183개(43%), 경기도가 244개(57%)로 경기도 지역은 DMZ 면적에 비하여 마을의 수가 많았다. 마을의 평균 가옥 수는 11동으로 그 규모는 매우 작았다. 마을의 형태에 의한 분류에서는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한 산간지역에서 산촌의 형태가 나타났다. 그리고 집촌의 형태를 보이는 그 외 지역에서는 교통로와 하천을 따라 열촌의 형태가 나타났고, 평지에서는 괴촌의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연구 결과는 DMZ 내에서 절대적인 보전이 필요한 구역과 교통로 등으로 개발해야 하는 구역의 선정 등 향 후 DMZ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전과 개발의 상충된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DMZ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콘텐츠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고랭지 지역의 셀레늄 분포 조사 및 양채류 관비재배시 Sodium Selenate 처리가 생육과 셀레늄 함량 미치는 영향 (Investigation of Selenium Distribution in Highland Province of Gangwon and Effect of Sodium Selenate Treatment on the Selenium Content and Growth of Some Western Vegetables Grown by Ferigation)

  • 이성진;강호민;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8-42
    • /
    • 2008
  • 강원도 고랭지 지역의 재배토양과 주요 양채류의 셀레늄 함량을 조사하고 관비재배시 sodium selenate첨가가 작물생육과 셀레늄함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랭지 지역의 토양의 셀레늄 함량은 $0.024{\sim}0.038mg{\cdot}kg^{-1}$의 분포를 보여 전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각 지역에서 재배된 브로콜리의 셀레늄 함량은 적게는 10.5mg에서 많게는 $17.9\;mg{\cdot}kg^{-1}DW$로 나타났으며, 토양내 셀레늄 함량이 높을수록 재배 작물체내의 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셀러리의 셀리늄 함량은 $6.02\;mg{\cdot}kg^{-11}$이었고, 비트, 결구상추 및 파슬리는 1mg 전후로 매우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비재배시 sodium selenate $2mg{\cdot}L^{-1}$처리구는 무처리구(대조구)에 비해 생육및 작물체내 셀레늄함량을 증진시켰다. $2mg{\cdot}L^{-1}$농도 60일간 관비재배한 결과 양채류의 Se 함량은 브로콜리 $76.2mg{\cdot}L^{-1}$, 파슬리 $69.1mg{\cdot}L^{-1}$, 셀러리 $63.2mg{\cdot}L^{-1}$, 비트 $54.2mg{\cdot}L^{-1}$, 결구상추 $8.3mg{\cdot}L^{-1}$순이었으며 브로콜리는 대조구보다 4.2배, 셀러리는 10.5배, 파슬리는 62.5배가 증가하였다.

DB구축을 통한 강원지역 토석류 유형 분석 (Analysis of Debris Flow Type in Gangwon Province by Database Construction)

  • 전경재;김기홍;윤찬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171-179
    • /
    • 2013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태풍 루사, 2003년 태풍 매미, 2006년 태풍 에위니아와 집중호우로 인하여 산지가 약 90%를 차지하고 있는 강원지역의 주택, 도로, 농지가 큰 피해를 입었다.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사망자의 대부분은 홍수와 토석류가 발생된 산지 계곡부와 시내에 집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강원지역에서 발생된 토석류 발생지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총 180개소의 토석류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자료에 대한 분석결과, 강원지역에서 발생된 토석류는 대부분 소규모 사면파괴로부터 시작하였으며, $34.3^{\circ}$의 비교적 가파른 경사에서 발생하여 평균 $18.1^{\circ}$ 정도의 완만한 경사를 따라 420 m 정도의 비교적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석류 발생 당일의 강우도 중요하지만 발생 이전의 장기강우가 토석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 영서지역 산사태 및 강우특성 분석 (Analysis of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Landslides at the West Side Area of Gangwon Province)

  • 유남재;윤대희;엄재경;김동건;박병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9호
    • /
    • pp.75-82
    • /
    • 2012
  • 본 논문은 2006년 태풍 에위니아와 빌리스의 영향으로 강원 영서지역에서 발생한 집중호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 원인과 특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강원 영서지역은 편마암, 화강암이 풍화된 화강풍화토가 주를 이루는 지역으로 집중호우 시 산사태 및 토석류의 피해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특성 분석결과, 산사태 발생은 3일 이내의 누적강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고 지역별 발생빈도의 차이는 최대시우량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영서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 860개소에 대한 자료의 분석 결과, 파괴 형태는 전이형 슬라이드로 시작되어 유동성 슬라이드로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사면 경사는 $20{\sim}30^{\circ}$ 사면 길이는 11~20m 범위, 사면 폭은 6~10m 범위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영서지역의 산사태는 사면 폭이 좁은 소규모 형태로 편마암, 화강암 지대의 산사태 전형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