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nglion cell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35초

중심부 시야결손을 보이는 초기 녹내장 환자의 진단에서 자동시야계 C10-2의 유용성 (The Effectiveness of Visual Field C10-2 in the Early Detection of Glaucoma with Parafoveal Scotoma)

  • 황보인;박혜영;박찬기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321-326
    • /
    • 2017
  • 목적: 중심부 시야결손을 보이는 초기녹내장 환자를 진단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시야검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중심부 시야결손을 가진 초기 녹내장 환자의 총 57안을 대상으로 Humphrey 자동시야계 C24-2, C10-2, 주파수배가시야검사(frequency doubling technology perimetry, FDT) C24-2를 시행하여 이를 황반부의 신경절세포내망상층(the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GC-IPL)의 평균두께와 구조기능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Central sensitivity는 자동시야계 C24-2, 자동시야계 C10-2, FDT C24-2 순으로 각각 $27.51{\pm}5.43dB$, $27.39{\pm}5.05dB$, $22.09{\pm}5.08dB$ 순이었으며, 평균 GC-IPL thickness는 $70.2{\pm}8.5{\mu}m$였다. 각각의 시야검사의 central sensitivity와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에서의 평균 GC-IPL의 두께를 평가한 회귀분석에서는 자동시야계 C10-2만이 유의한 p-value를 보였으며 (p<0.05), logarithmic scale에서는 $logR^2$ 값이 0.498, antilogarithmic scale에서는 linear $R^2$ 값이 0.486을 보이며, FDT C24-2와 자동 시야계 C24-2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초기 녹내장에서 이러한 관계가 더욱 뚜렷하였다. 결론: 중심부 시야결손을 보이는 초기 녹내장 환자에서 GC-IPL thickness와 중심부 시야 감도 사이의 구조-기능 관계는 Humphrey C10-2 자동시야계가 다른 시야 검사법에 비해 더 잘 반영하였다.

흰쥐 교감신경세포에서 Norepinephrine 에 의한 칼슘전류 억제에 미치는 Protein Kinase C 의 역할 (Role of Protein Kinase C on Norepinephrine Induced Inhibition of Calcium Current in Rat Sympathetic Neurons)

  • 구용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1권1호
    • /
    • pp.29-38
    • /
    • 2000
  • 지금까지 각종 신경전달물질의 칼슘통로 억제 효과는 일반적으로 protein kinase 의 관여없이 G-protein mediated, membrane-delimited mechanism$^{1)}$ 으로 설명되어왔다. 그러나 최근들어 protein kinase C (PKC)의 활성화가 몇몇 신경전달물질에 의한 칼슘통로 억제효과를 야기하는 중요한 세포내 기전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흰쥐 교감신경뉴론을 대상으로 하여 whole cell patch clamp technique을 사용하여 칼슘전류를 기록하고, 세포밖에 norepinephrine (NE)과 함께 PKC agonist 인 phorbol-12, 13-dibutyrate (PDBu)을 투여하면서 PDBu 전 처치로 인하여 NE 에 의한 칼슘전류 억제에 어떤 변화가 초래되는 지를 분석함으로써, 신경전달물질의 칼슘전류 억제효과시 PKC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PDBu (500 nM) 처치는 칼슘전류의 크기를 증가시켰으며 이는 막전압 의존성을 보여 -10 mV ~ +10 mV 의 저분극 자극시 가장 크게 전류크기가 증가하였다. 또한 PDBu 처치는 tail current 의 deactivation을 느리게 하였다. PDBu 는 NE 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pertussis toxin 예민성 G protein pathway를 통한 칼슘전류 억제를 감소시켰다. 비특이적인 protein kinase 길항제인 staurosporine (1 $\mu$M) 을 전처치 하고 PDBu를 투여하면 PDBu의 칼슘전류 크기 증가 효과가 소실되었으며 또한 NE에 의한 칼슘전류 억제를 해제하는 PDBu 의 조절효과도 소실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rotein Kinase C 가 활성되면 G protein을 경유하여 나타나는 칼슘전류 억제 효과가 소실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Protein Kinase C 에 의하여 인산화되는 부위가 G-protein 인지 혹은 칼슘통로인 지에 관한 해답을 얻기 위하여는 추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 PDF

당뇨병성 망막증에 있어서 Captopril에 의한 VEGF 발현 저하 효과 (The Preventive Effect of Captopril on VEGF Express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etiniopathy)

  • 배춘식;임슬기;박민정;한호재;김계엽;정수영;윤경철;박수현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2호
    • /
    • pp.81-87
    • /
    • 2009
  • 당뇨병성 망막증의 당뇨병 합병증의 주요한 증상중의 하나로 망막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를 초래한다.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은 당뇨병성 망막증의 발병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angiotensin I을 angiotensin II로 전환하는 데 담당하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ACE)는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의 주요한 요소이다. VEGF는 실명을 일으키는 당뇨병성 망막증의 신생혈관 생성에 관여하는 주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성 망막증의 발생 기전 중 하나로 최근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VEGF의 발현과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를 이용한 VEGF 발현 억제효과의 규명을 통해 당뇨병성 망막증의 예방에 ACE 억제제가 효과가 있는지 ACE 억제제인 captopril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treptozotocin 처리시 혈청내 VEGF 농도는 증가하였으나 captopril (65 mg/kg) 치료에 의해 감소하지 않았다. 망막에서 관찰한 결과 당뇨군에서 VEGF mRNA 및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인 capto-pril에 의해서 차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captopril은 1형 당뇨에 있어서 망막의 VEGF 발현 억제를 통해 망막 보호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orphometric and Histological Changes in Cyprinid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in the Early Growth Period

  • Han, Hyoung Kyun;Lim, Sang Gu;Kang, Jung Ha;Choi, Jae Wook;Gil, Hyun Woo;Cho, Sung Hwoan;Lim, Sun-Young;Park, In-Seo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3호
    • /
    • pp.187-198
    • /
    • 2013
  •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morphometric and histological changes in the cyprinid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during the early period of growth. Eyes, yolk length, yolk height, and yolk volume of the larva decreased for 16 days post hatching (DPH) (P<0.05). During 60 DPH (P>0.05), the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times}$ the posterior end of the supraoccipital, the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times}$ the origin of the dorsal fin, the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times}$ the origin of the pectoral fin, the posterior end of the supraoccipital ${\times}$ the origin of the pelvic fin, and the origin of the dorsal fin ${\times}$ the ventral origin of the caudal fin gradually decreased, whereas the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times}$ the dorsal origin of the caudal fin, the origin of the dorsal fin ${\times}$ the origin of the anal fin, the origin of the dorsal fin ${\times}$ the origin of the pectoral fin, and the insertion of the dorsal fin ${\times}$ the origin of the pelvic fin gradually increased (P<0.05). In the cyprinid loach, the retina is composed of six layers: the epithelial layer, ganglion cell layer, inner nuclear layer, inner plexiform layer, outer limiting membrane, and rod and cone layer (RCL). After hatching, part of the RCL gradually increased in density. The kidney and midgut epithelium were already formed in the cyprinid loach just after hatching and grew gradually in subsequent days.

전어, Konosirus punctatus의 초기 성장 및 눈 발달 (Early Growth and Development of Eye in Dotted Gizzard Shad, Konosirus punctatus)

  • 박인석;임수연;설동원;이진환;허준욱;정관식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2호
    • /
    • pp.93-96
    • /
    • 2006
  • 전어, Konosirus punctatus의 부화후부터 부화후 30일까지의 전장, 두장, 두고, 안경, 망막 두께 및 렌즈직경의 성장은 비례직선적이었다. 전장에 대한 두장 및 두고의 상대 성장, 두장에 대한 안경 및 렌즈직경의 상대 성장, 두고에 대한 안경 및 렌즈직경의 상대 성장, 그리고 망막 두께에 대한 안경, 렌즈직경, 두장, 두고의 상대 성장은 높은 상관계수를 보이는 상대성 장식을 보였다. 눈은 부화 후 9일에 완전히 형성되었으며 렌즈, 신경섬유층, 신경세포층, 내망상층, 내과립층, 외망상층, 외과립층, 외한계막, 간체와 추제층 및 상피층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와 더불어 차후, 전어의 빛 민감성과 공간적 변화에 따른 망막 관련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관절경을 이용한 슬관절주위 낭종유사 병변의 절제제거술 (Arthroscopic Excisional Debridement of Cyst-like lesion in juxta-articular Knee Joint)

  • 고상훈;조성도;김종오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0-75
    • /
    • 2003
  • 목적 : 슬관절주위의 낭종유사 병변은 매우 드물고, 보고된 문헌이 거의없다. 이 논문의 목적은 드물게 보고되는 슬관절주위 낭종유사 병변의 관절경적인 절제제거술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 슬관절주위에서 발견된 14예의 낭종유사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예의 슬개하 지방체의 결절종, 1예의 관절내 거대세포종은 거의 보고된 적이 없으며 1예의 관절낭주위 상피양 낭종과 1예의 관절내 섬유종은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적이 없다. 슬관절주위 낭종유사 병변의 진단은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였고 병리조직검사에 의하여 확진되었다. 남자는 9예였고 여자는 5예였으며 평균나이는 24($11\~43$세) 였다. 최종 12개월 추시되었고 평균 추시기간은 45(12개월$\~$8년)개월이었다. 결과 : 모든 환자는 관절경을 이용한 절제제거술을 시행하였고 최종추시에서 초음파검사 및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실시하여 재발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최종추시 Lysholm 슬관절지수는 98.9점 $(95\~100)$이었고 최종추시시 4례에서 이학적검사상 경도의 이상소견을 보였으나 모두 만족하였다. 전례에서 우수의 결과를 얻었고 재발은 없었다. 결론 : 슬관절주위 낭종유사 병변의 관절경적인 절제제거술은 우수한 방법이고 이후 오랜기간의 추시가 필요하다.

  • PDF

신생아기의 일시적 장폐쇄증: 허쉬스프룽병과의 비교 연구 (Transient Intestinal Ileus in Neonate: A Study of Comparison with Hirschsprung's Disease)

  • 최광해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194-198
    • /
    • 2009
  • 목 적: 본 연구는 후향적으로 신생아기의 일시적 장폐쇄와 허쉬스프룽병에서 임상 양상과 검사법에 따른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양 질환의 감별 진단을 위한 검사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8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심한 복부팽만으로 방문한 신생아 중 단순복부촬영을 하여 전체 장관의 심한 확장을 보이면서 직장에 공기 음영이 보이지 않아 바륨조영술, 항문직장압력 검사, 직장흡인 생검을 모두 시행한 19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일시적 장폐쇄군과 허쉬스프룽병군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총 19예 중, 일시적 장폐쇄군의 경우 남아 8명(66.7%), 여아 4명(33.3%)이었다. 발생 시기는 일시적 장폐쇄군은 출생 후 2주에서 6주, 허쉬스프룽병군은 출생 후 3주 이내였다. 바륨조영술에서 이행부위는 일시적 장폐쇄군 6예(50%), 허쉬스프룽병군 4예(57.1%)에서 관찰되었다. 항문직장압력 검사에서 항문직장억제 반사가 관찰된 경우는 일시적 장폐쇄군 11예(91.7%), 허쉬스프룽병군 1예(14.3%)였다. 직장 흡인 생검에서 신경절세포가 관찰된 경우는 일시적 장폐쇄군 9예(75%), 허쉬스프룽병군 0예(0%)였다. 복부팽만의 호전 시기는 생후 1개월 이전 1예(8.3%), 1~2개월 8예(66.7%), 2~3개월 3예(25.0%)였으며, 전례가 3개월까지는 복부팽만이 호전되었다. 결 론: 생후 2주 이후에 심한 복부팽만이 나타나는 경우, 허쉬스프룽병과의 감별을 위해 바륨조영술보다 먼저 항문직장압력 검사를 시행하고 항문직장억제 반사가 없거나 불확실한 경우에 선별적으로 직장 흡인 생검을 하는 것이 불필요한 검사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tinopathy Induced by Zinc Oxide Nanoparticles in Rats Assessed by Micro-computed Tomography and Histopathology

  • Kim, Young Hee;Kwak, Kyung A;Kim, Tae Sung;Seok, Ji Hyeon;Roh, Hang Sik;Lee, Jong-Kwon;Jeong, Jayoung;Meang, Eun Ho;Hong, Jeong-sup;Lee, Yun Seok;Kang, Jin Seok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157-163
    • /
    • 2015
  • Nanotechnology has advanced at an extremely rapid pace over the past several years in numerous fields of research. However, the uptake of nanoparticles (NPs) into the body after administration through various routes may pose a risk to human health.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ocular toxicity of 20-nm, negatively- charged zinc oxide (ZnO) NPs in rats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and histopathological assessment. Anima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s control group, ZnO NPs treatment group (500 mg/kg/day), control recovery group, and ZnO NPs treatment and recovery group. Ocular samples were prepared from animals treated for 90 days (10 males and 10 females, respectively) and from recovery animals (5 males and 5 females, respectively) sacrificed at 14 days after final treatment and were compared to age-matched control animals. Micro-CT analyses represented the deposition and distribution of foreign materials in the eyes of rats treated with ZnO NPs, whereas control animals showed no such findings.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and energy dispersive spectrometry showed the intraocular foreign materials as zinc in treated rats, whereas control animals showed no zinc signal.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he retinopathy in the eyes of rats treated with ZnO NPs. Neuronal nuclei expression was decreased in neurons of the ganglion cell layer of animals treated with ZnO N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aken together, treatment with 20-nm, negatively-charged ZnO NPs increased retinopathy, associated with local distribution of them in ocular lesions.

광릉늑대거미 (Arctosa kwangreungensis) 배후발생과정의 조직 미세구조 분석 (Histologic and Microstructural Analyses on Postembryonic Development in the Wolf Spider Arctosa kwangreungensis (Araneae: Lycosidae))

  • 양성찬;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1호
    • /
    • pp.17-26
    • /
    • 2012
  • 배회성거미류의 배후발생과정에서 형태적 분화가 행동학적 특성으로 발현되는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광릉늑대거미(Arctosa kwangreungensis) 후기배아와 각 발생 단계의 유충을 실험재료로 그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를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난황주머니를 가진 후기배아는 부속지의 근육조직과 신경절의 미분화로 비활성상태를 유지하며, 시각기의 신경절과 신경의 발달도 미약하였다. 제1령 유충의 두흉부에서는 미분화된 세포집단이 관찰되고 체색의 발현과 복부신경절의 분화가 현저하였다. 먹이 활동을 시작하는 제2령 유충의 중추신경계에는 신경섬유가 급격히 증가되었고, 성체와 유사한 부속지의 분절구조와 시각기의 조직학적 체제가 확립되었다. 제3령 이후의 유충들은 탈피를 거듭하여 두흉부에서 중추신경계가 차지하는 영역이 축소되었고 독선과 근육조직, 그리고 결합조직등의 활발한 분화가 진행되었다. 먹이활동을 시작하는 제2령 유충 단계에서 부속지와 시각기의 조직학적 발생과 이를 통제하는 신경계의 분화가 완료되는 것으로 미루어, 섭식환경이 배후발생과정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시각과 부속지에 의존하여 먹이를 포획하는 배회성거미류의 행동 습성이 형태조직학적 분화와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inful Channels in Sensory Neurons

  • Lee, Yunjong;Lee, Chang-Hun;Oh, Uhtaek
    • Molecules and Cells
    • /
    • 제20권3호
    • /
    • pp.315-324
    • /
    • 2005
  • Pain is an unpleasant sensation experienced when tissues are damaged. Thus, pain sensation in some way protects body from imminent threat or injury. Peripheral sensory nerves innervated to peripheral tissues initially respond to multiple forms of noxious or strong stimuli, such as heat, mechanical and chemical stimuli. In response to these stimuli, electrical signals for conducting the nociceptive neural signals through axons are generated. These action potentials are then conveyed to specific areas in the spinal cord and in the brain. Sensory afferent fibers are heterogeneous in many aspects. For example, sensory nerves are classified as $A{\alpha}$, $-{\beta}$, $-{\delta}$ and C-fibers according to their diameter and degree of myelination. It is widely accepted that small sensory fibers tend to respond to vigorous or noxious stimuli and related to nociception. Thus these fibers are specifically called nociceptors. Most of nociceptors respond to noxious mechanical stimuli and heat. In addition, these sensory fibers also respond to chemical stimuli [Davis et al. (1993)] such as capsaicin. Thus, nociceptors are considered polymodal. Recent advance in research on ion channels in sensory neurons reveals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how various types of stimuli can be transduced to neural signals transmitted to the brain for pain perception. In particular,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on ion channels characterize biophysical properties of ion channels in sensory neurons. Furthermore, molecular biology leads to identification of genetic structures as well as molecular properties of ion channels in sensory neurons. These ion channels are expressed in axon terminals as well as in cell soma. When these channels are activated, inward currents or outward currents are generated, which will lead to depolarization or hyperpolarization of the membrane causing increased or decreased excitability of sensory neurons. In order to depolarize the membrane of nerve terminals, either inward currents should be generated or outward currents should be inhibited. So far, many cationic channel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excitation of sensory neurons are introduced recently. Activation of these channels in sensory neurons is evidently critical to the generation of nociceptive signals. The main channels responsible for inward membrane currents in nociceptors are voltage-activated sodium and calcium channels, while outward current is carried mainly by potassium ions. In addition, activation of non-selective cation channels is also responsible for the excitation of sensory neurons. Thus, excitability of neurons can be controlled by regulating expression or by modulating activity of these chann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