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ngjung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19초

수중보를 고려한 하천에서 보존성 오염물질의 이송특성 분석 - 낙동강을 중심으로 (Transportation Modeling of Conservative Pollutant in a River with Weirs - The Nakdong River Case)

  • 이정우;배순임;이동률;서동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821-827
    • /
    • 2014
  • 4대강 사업에 따른 수중보의 건설로 인해 낙동강을 포함한 우리 나라의 주요 하천들의 물리적 특성에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따라서 오염물질의 이동 특성 또한 변화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에서 칠곡보와 강정보를 대상으로 임의의 오염물질 유출 사고에 대비하여 대책을 수립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3차원 수리 수질모델,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을 활용하여 보존성 오염물질의 이동 확산 특성을 분석하였다. 가상적인 시나리오를 구성하며 구미공단에서 독성물질의 유출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하였을 때 칠곡보 및 강정보 지점에 오염물질이 도달하는 시간은 각각 약 2.22일과 9.83로서 4대강 사업 전에 비해 약 12배 이상 오염물질의 이동 시간이 지연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구광역시의 취수장을 구미시상류로 이전하였을 경우에 대한 모의 결과, 구미 상류의 유량의 감소에 따른 수위 및 유속의 감소에 의한 확산 현상의 증가로 인해, 독성물질의 하류 도달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성물질의 최대 검출 농도는 약 2% 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한과류의 인지도와 대중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a Method to Popularize Korean Traditional Sweets)

  • 김선경;장순옥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58-71
    • /
    • 2016
  • 본 연구는 한과류의 문화적인 가치와 우수성을 제대로 인식시킴과 동시에 현대사회에서의 한과류산업이 직면한 문제점과 대중화 방안을 살펴보았으며, 한과류에 대한 인지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한과류에 대한 가장 높은 인지도를 나타낸 한과는 남녀 모두에서 약과였으며, 인지도가 가장 낮은 한과류는 차수과가 가장 낮았다. 인지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한과류는 여자가 남자보다 오색다식, 흑임자다식, 도라지정과, 인삼정과 등에 높은 인지도를 나타내었다(p<0.05~p<0.001). 주로 성장한 지역에 따른 인지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한과류는 매작과, 오색다식, 쌀다식, 흑임자다식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호두강정은 농어촌지역이 다른 지역(대도시, 중소도시)보다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p<0.001). 한과류 산업이 직면한 문제점으로는 남 여 모두 보편화가 되지 않았으며, 판매가격이 비싼 것이 문제점이었다. 한과류의 이용횟수가 줄어드는 이유로는 남 여 모두 양과류보다 쉽게 접할 수 없어 구매가 어렵고, 맛이 덜하다, 가격이 비싸서 이용횟수가 줄어든다고 하였다. 한과류의 대중화를 위한 시급한 과제로는 남 여 모두 모양과 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하여야 하며, 여러 가지 맛을 개발하여 가격을 싸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과류의 산업화를 위한 시급한 과제에서는 남, 여 모두 제품의 다양화와 마케팅 강화가 시급한 과제라고 높게 응답하였다. 따라서 한과류산업이 직면한 문제점으로는 보편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양과류보다 쉽게 접할 수 없어 구매가 어렵다고 하였으며, 한과류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모양과 재료를 다양하게 사용함과 동시에 현대인의 입맛에 맞는 맛을 새롭게 개발하여 저렴한 가격과 함께 포장에도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통음식의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Traditional Food)

  • 이영남;신민자;김복남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1-81
    • /
    • 1991
  • This study was surveyed the Preference for the Korean Traditional Food. 500 wives residing in Seoul, Kyngkee, Kangwon region, and 150 cookers of Korean Restaurants in Kyugin region were sampled random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ncept of the traditional food was 53.5% in more ${\ulcorner}$excellent than that of overseas${\lrcorner}$, 59.8% in ${\ulcorner}$excellent and delicious${\lrcorner}$, 78% in ${\ulcorner}$the need for the partial development of fastfood${\lrcorner}$. 2. The present viewpoint of traditional food was 78.7% in preference for korean food, 81.3% in preference for boiled rice and podrridge at breakfast, Soy-Sauce and Kimchi of home-making was highly marked in 65.9, 96.1% respectively. The kinds of traditional food descended to home were rice cake (dduk), shikke, kimchi, stuffed bun (mandu), fruit punch in the order named. Korean kookies and beverage were preferred, but they were very difficult in making at home. Therefore 50.8% of the answered bought them at market. The preferred korean kookies and beverage were shikke, yakgwa, sujunggwa, gangjung, fruit Punch in the order named. 3. When dined out, 65.6% of the people made much of ${\ulcorner}preference{\lrcorner}$. In the case of few side dishes, 34.1% answered using fast food. 4. ${\ulcorner}Preferrence{\lrcorner}$ for boild rice and podrridge was generally high, but ${\ulcorner}frequency{\lrcorner}$ was low. Both ${\ulcorner}preference{\lrcorner}$ and ${\ulcorner}frequency{\lrcorner}$ of sauce and stew were high. ${\ulcorner}Preference{\lrcorner}$ for traditional beverage was low on the whole. Therefore we must activate the unknown kinds of traditional beverage earnestly. 5. The need of education about the traditional food at home & school was very high. 6. The answers of the cookers in Korean Restaurants could be summarized as; 1) The Korean traditional food was relatively excellent (54.3%). 2) The taste of food ought to be shown food stuffs property (65.8%). 3) In order to cultivate the professionals, the systematic education should be enforced.

  • PDF

낙동강 본류에 서식하는 붕어에서의 총수은 및 유기수은 함량 (Contents of Total and Organic Mercury in Bone, Muscle and Fin of Carassius carassius Middle Steam of Nakdong River, Korea)

  • 최영;김두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8권2호
    • /
    • pp.131-140
    • /
    • 1993
  • 낙동강 담수어 중 붕어에서의 총수은 및 유기수은 함량을 지역별, 크기별, 부위별로 조사하기 위해 1993년 2월부터 3월 사이에 낙동강 본류의 5개 지점을 택하여 각 지점마다 크기군별로 붕어를 채집한 후 근육부, 뼈, 지느러미로 분류 혼합하고, 수은분석기(Model SP-3A)를 이용한 선택적 환원기화법과 가열기화 금아말감법 총수은 및 유기수은 함량을 분석하였다. 선택적 환원기화법에 의한 5개 전지역에서 붕어의 부위별 총수은, 유기수은 함량은 뼈에서 각각 $0.399{\pm}0.4419$, $0.265{\pm}0.2967$ ppm으로 가장 높았고, 근육부에서 가장 낮았다(p<0.01). 총수은에 대한 유기수은의 분율은 근육부에서 $69.0{\pm}3.50%$로 가장 높았다(p<0.01). 근육부에서의 지역별 총수은, 유기수은 및 총수은에 대한 유기수은의 분율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총수은, 유기수은 함량은 왜관지역이 $0.130{\pm}0.619$ ppm, $0.089{\pm}0.0408$ ppm으로 가장 높았고, 상주가 $0.091{\pm}0.0154$ ppm, $0.060{\pm}0.0128$ ppm으로 가장 낮았으며, 총수은에 대한 유기수은의 분율은 안동이 $70.8{\pm}4.22%$로 가장 높았다. 뼈와 지느러미에서는 총수은, 유기수은 모두 안동이 가장 높았고, 강정이 가장 낮았다(p<0.01), 총수은에 대한 유기수은의 분율은 뼈에서는 왜관(p<0.01)이, 지느러미에서는 상주지역에서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붕어의 서식지역을 고려하지 않은 크기에 따라 부위별 함량은 근육부에서는 총수은 및 유기수은 함량이 모두 15-19cm 군이 가장 높았고, 25-29cm 군이 가장 낮았으며(p<0.05), 총수은에 대한 유기수은의 비는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20-24cm 군이 $70.6{\pm}3.30%$로 가장 높았고, 뼈에서는 10-14cm 군이 가장 높았고, 25-29cm군이 가장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지느러미에서는 20-24 cm군이 가장 높았고, 25-29cm 군이 가장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낙동강 하류로 내려오면서 붕어의 수능 함량에는 특정 분포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류의 성장에 따른 체내 수은 축적 변화는 크기가 작을수록 함량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 성장해 갈수록 상대적으로 희석되어 근육중 수은함량이 낮아진 것이 아닌가 생각되며 앞으로 좀 더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