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 regression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나라 성인 여성의 항산화비타민 섭취량과 비만의 연관성 : 2007 ~ 2016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 between antioxidant vitamin intake and obesity among Korean women: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 ~ 2016)

  • 함동우;김성아;전신영;강민숙;정효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5호
    • /
    • pp.400-41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07 ~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검진 조사와 식품섭취조사를 완료한 만 19세 이상의 성인 여성 30,425명을 대상으로 항산화비타민 섭취량과 비만 및 복부비만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체질량지수가 $25kg/m^2$ 이상이거나 허리둘레가 85 cm 이상인 대상자를 각각 비만과 복부비만으로 판정하였고, 개인별 일일 항산화비타민 섭취량은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한 식사자료와 한국인 상용식품의 항산화비타민 함량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추정하였다. 항산화비타민에는 카로티노이드 6종, 레티놀, 비타민 A (레티놀 활성 당량), 비타민 C, 토코페롤 4종, 비타민 E (${\alpha}$-토코페롤 당량)이 포함되었다. 정상군과 비만군의 열량 1,000 kcal당 일일 항산화비타민 섭취량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비만군은 ${\alpha}$-카로틴, 레티놀, 비타민 E, ${\alpha}$-토코페롤, ${\gamma}$-토코페롤을 정상군보다 적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비타민 섭취수준에 따라 대상자를 삼분위로 구분했을 때, 라이코펜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군은 가장 적게 섭취하는 군에 비해 비만 (OR = 0.89, 95% CI: 0.83-0.96)과 복부비만 (OR = 0.88, 95% CI: 0.81-0.95) 유병률이 유의하게 낮았다. 총 카로티노이드, ${\alpha}$-카로틴, 비타민 A, ${\gamma}$-토코페롤 섭취량 또한 복부비만의 오즈비와 음의 연관성을 나타냈다. 식품군별 항산화비타민 섭취량을 비교했을 때, 비만군은 정상군에 비해 난류, 우유류, 조미료류, 곡류를 통한 항산화비타민 섭취량이 적었다. 추후 전향적 설계를 이용한 후속연구를 수행하여 항산화비타민 섭취량과 비만 간의 인과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계학적 감마 확률과정을 이용한 경사제의 기대 잔류유효수명 예측 (Prediction of Expected Residual Useful Life of Rubble-Mound Breakwaters Using Stochastic Gamma Process)

  • 이철응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158-169
    • /
    • 2019
  • 추계학적 확률과정의 하나인 감마 확률과정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잔류유효수명을 확률론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모형을 수립하였다. 수립된 모형은 과거부터 현재 시점까지 관측된 피해자료와 관련된 표본의 불확실성과 장래 시간 진행에 따른 누적피해의 불확실성을 올바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최소자승법과 모멘트법을 함께 사용하여 경사제의 재령, 운용환경 그리고 피해이력을 고려할 수 있는 모수 추정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현재 재령의 단일 피해 자료를 갖는 임의의 조건에서 모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잔류유효수명과 관련된 여러가지 거동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잔류유효수명 예측모형을 경사제에 적용하였다. 경사제 피복재의 피해 이력에 대한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감마 확률과정의 모수를 추정하였는데 실험자료와 매우 잘 일치하였다. 해석 결과에 의하면 현재 시점으로부터 상당히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파괴한계를 초과할 확률이 일정한 값으로 수렴해야 하는 제약 조건을 잘 만족하였다. 한편 기대 잔류유효수명은 피해 이력의 거동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르게 산정되었다. 특히 피해의 변동계수가 크면 추계학적으로 산정된 기대 잔류유효수명은 결정론적 회기모형의 해석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인다. 이는 해석과정에 포함된 불확실성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변동계수가 크면 파괴한계에 도달하는 시간의 분포가 넓게 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립된 추계학적 잔류유효수명 예측모형은 현재 재령에서 경사제의 피해에 대한 확률적 평가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래 시간의 진행에 따른 누적피해의 불확실성을 올바로 고려할 수 있다.

집 토끼의 Blood Cholesterol Level에 미치는 몇가지 식물성(植物性) 식용유(食用油)의 영향 (The Effects of Dietary Vegetable Oils on the Blood Cholesterol Level of Rabbit)

  • 남현근;이용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7-81
    • /
    • 1980
  • 집토끼를 일정한 조건 하에서 기본 식이에 식물성 식용유를 첨가하여 콜레스테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조사하였다. 1. 체중 변화에 있어서 실험군의 평균 체중의 변화는 대조군(對照群)이 16.3g/day 이었고 들깨기름 급여군은 18.2g/day로 가장 성장률이 좋았다. 2. 간장의 무게는 대조군(對照群)이 30.35g이고 들깨 기름 및 미강유 급여군의 무게는 각각 38.25과 39.54g으로 나타났다. 3. 혈청 콜레스테롤 값은 대조군(對照群)이 71.55mg/100 ml 이었고 참깨기름 급여군은 112.0mg/100 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간장 콜레스테롤 값은 대조군(對照群)과 들깨 기름 급여군이 각각 255.0 mg/100 ml 이었고 콩기름 급여군이 317.5 mg/100 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혈청 단백질에 있어서 총(總) 단백질(蛋白質)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alpha-1-globulin에 있어서 대조군(對照群)은 0.60%인데 콩기름 및 미강유 급여군은 각각 0.35와 0.32%로 상당히 낮게 나타났고 alpha-2-globulin에 있어서는 대조군(對照群)이 0.68%인데 미강유 급여균이 0.26%로 나타났다. 6. 혈당은 대조군(對照群)이 40.34mg/100 ml인데 들깨 기름 급여군만이 77.0mg/100ml 로서 가장 높았고 다른군은 모두 낮았다. 7. 혈청(血淸) 콜레스테롤 값과 alpha-1-globulin 및 간(刊) 콜레스테롤 값 과 gamma-globulin 사이에 정 상관성을 보였고 혈당과는 별 상관이 없게 나타났다.

  • PDF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Metastatic Brain Tumors with Exophytic Hemorrhage

  • Park, Eun Suk;Lee, Eun Jung;Yun, Jung-Ho;Cho, Young Hyun;Kim, Jeong Hoon;Kwon, Do 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5호
    • /
    • pp.592-599
    • /
    • 2018
  • Objective : Metastatic brain tumors (MBTs) often present with intracerebral hemorrhage. Although Gamma Knife surgery (GKS) is a valid treatment option for hemorrhagic MBTs, its efficacy is unclear. To achieve oncologic control and reduce radiation toxicity, we used a radiosurgical targeting technique that confines the tumor core within the hematoma when performing GKS in patients with such tumors. We reviewed our experience in this endeavor, focusing on local tumor control and treatment-associated morbidities. Methods : From 2007 to 2014, 13 patients with hemorrhagic MBTs were treated via GKS using our targeting technique. The median marginal dose prescribed was 23 Gy (range, 20-25). GKS was performed approximately 2 weeks after tumor bleeding to allow the patient's condition to stabilize. Results : The primary sites of the MBTs included the liver (n=7), lung (n=2), kidney (n=1), and stomach (n=1); in two cases, the primary tumor was a melanoma. The mean tumor volume was $4.00cm^3$ (range, 0.74-11.0). The mean overall survival duration after GKS was 12.5 months (range, 3-29), and three patients are still alive at the time of the review. The local tumor control rate was 92% (tumor disappearance 23%, tumor regression 46%, and stable disease 23%). There was one (8%) instance of local recurrence, which occurred 11 months after GKS in the solid portion of the tumor. No GKS-related complications were observed. Conclusion : Our experience shows that GK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our targeting technique safely and effectively treats hemorrhagic MBTs. The success of this technique may reflect the presence of scattered metastatic tumor cells in the hematoma that do not proliferate owing to the inadequate microenvironment of the hematoma. We suggest that GKS can be a useful treatment option for patients with hemorrhagic MBTs that are not amenable to surgery.

천마 유효성분의 에탄올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thanol Extraction Conditions for Effective Components from Gastrodia elata Blume)

  • 김성호;김인호;강복희;이상한;이진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06-512
    • /
    • 2006
  • 본 연구는 천마의 광범위한 약리작용과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이용한 새로운 식품소재로서의 개발을 위하여 반응 표면분석법에 의한 천마의 유효 성분의 에탄을 추출특성을 모니터링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에탄을 추출공정에서 주요변수로 에탄올농도($X_1$ ; 20, 40, 60, 80 및 100%), 시료에 대한 용매비($X_2$ ; 5, 10, 15, 20 및 25g/mL) 및 추출시간($X_3$ ; 2, 4, 6, 8 및 10 hr)을 각각 독립 변수로 하여 중심합성계획에 의해 16구간의 추출조건을 설정하고 각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분석하였다. 이 때,추출물의 품질 특성 즉, GABA$(Y_1)$, hydroxybenzyl alcohol$(Y_2)$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Y_3)$등을 반응종속변수로 하여 반응표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수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여 공정인자별 천마 추출물의 각 유효성분들에 대한 최적추출조건을 superimposing한 결과, 에탄올농도 $45\sim65%$, 추출시간 $5\sim7$ hr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5\sim7$ g/mL로 각각 예측되었다. 이때 각 성분의 함량은 각각 GABA 0.593 mg%, hydroxybenzyl alcohol 138.40 mg% 및 가용성 고형분 2.90% 이었다.

Prognostic Significance of Desmoglein 2 and Desmoglein 3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 Fang, Wang-Kai;Gu, Wei;Liao, Lian-Di;Chen, Bo;Wu, Zhi-Yong;Wu, Jian-Yi;Shen, Jian;Xu, Li-Yan;Li, En-M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호
    • /
    • pp.871-876
    • /
    • 2014
  • Objective: Desmogleins (DSGs) are major members among the desmosomal cadherins critically involved in cell-cell adhesion and the maintenance of normal tissue architecture in epithelia. Reports exploring links of DSG family member expression with cancers are few and va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atio of DSG2 and DSG3 mRNA expression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tissue to normal tissue (T/N ratio) and evaluate correlations with clinical parameters. Methods: The mRNA expression of DSGs, as well as ${\gamma}$-catenin and desmoplakin, was detected by real-time quantitative RT-PCR in 85 cases of ESCC tissue specimens. Results: The expression level of DSG3 mRN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SG2 in ESCC specimens (p=0.000). DSG3 mRNA expression highly correlated with histological grade (p=0.009), whereas that of DSG2 did not significantly relate to any clinicopathologic parameter.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only DSG3 expression had an impact on the survival curve, with negative DSG3 expression indicating worse survival (p=0.038).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DSG3 to be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Furthermore, correl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e mRNA level of DSG3 to highly correlate with those of ${\gamma}$-catenin and desmoplakin in ESCC samples (p=0.000), implying that the expression of desmosomal components might be regulated by the same upstream regulatory molecules.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DSG3 may be involved in the progression of ESCC and serve as a prognostic marker, while expression of DSG2 cannot be used as a predictor of ESCC patient outcome.

Exploitation of the Dose/Time-Response Relationship for a New Measure of DNA Repari in the 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Comet) Assay

  • Kim, Byung-Soo;Edler, Lutz;Park, Jin-Joo;Fournier, Dietrich Von;Haase, Wulf;Sautter-Bihl, Mare-Luise;Hagmuller, Egbert;Gotzes, Florian;Thielmann, Heinz Walter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89-100
    • /
    • 2004
  • The comet assay (also called the 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assay) has been widely used for detecting DNA damage and repair in individual cells. Since the conventional methods of evaluating comet assay data using frequency statistics are unsatisfactory we developed a new quantitative measure of DNA damage/repair that is based on all information residing in the dose/time-response curves of a comet experiment.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25 breast cancer patients before undergoing radiotherapy. The comet assay was performed under alkaline conditions using isolated lymphocytes. Tail DNA, tail length, tail moment and tail inertia of the comet were measured for each patient at four doses of $\gamma$-rays (0, 2, 4 and 8 Gy) and at four time points after irradiation (0, 10, 20 and 30 min) using 100 cells each. The resulting three-dimensional dose-time response surface was modeled by multiple regression, and the second derivative, termed 2D, on dose and time was determined. A software module was programmed in SAS/AF to compute 2D values. We applied the new method successfully to data obtained from cancer patients to be assessed for their radiation sensitivity. We computed the 2D values for the four damage measures, i.e., tail moment, tail length, tail DNA and tail inertia, and examined the pairwis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2D both on the log scale and the unlogged scale. 2D values based on tail moment and tail DNA showed a high correlation and, therefore, these two damage measure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as far as DNA repair is concerned. 2D values based on tail inertia have a correlation profile different from the other 2D values which may reflect different facets of DNA damage/repair. Using the dose-time response surface, other statistical models, e.g., the proportional hazards model, become applicable for data analysis. The 2D approach can be applied to all DNA repair measures, Le., tail moment, tail length, tail DNA and tail inertia, and appears to be superior to conventional evaluation methods as it integrates all data of the dose/time-response curves of a comet assay.

소나무 수관 부위별 연료량 추정식 개발 및 수관연료밀도 분석 (Allometric Equations of Crown Fuel Biomass and Analysis of Crown Bulk Density for Pinus densiflora)

  • 이병두;원명수;김선영;윤석희;이명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91-396
    • /
    • 2010
  • 수관화 위험성 평가에 필요한 소나무 수관층 연료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관 부위별로 연료량을 추정할 수 있는 상대생장식을 개발하고, 수관연료밀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팔공산의 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10본의 소나무를 벌채하고, 수간, 가지, 잎 부분의 고사여부와 가지의 굵기 별로 구분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대생장식은 흉고직경(D) 또는 흉고직경과 수고(H)를 이용하는 회귀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평균적으로 추정식 lnWt=${\alpha}+{\beta}lnD+{\gamma}lnH$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고(${R^2}_{adj}$=0.835-0.996) 표준추정오차가 가장 낮았지만(SEE=0.074-0.638), 잎과 작은 가지 항목에서는 추정식들간 결정계수 및 표준추정오차의 차이가 미미하였다. 각 부위별 연료량을 수관체적으로 나눈 수관연료 밀도는 잎만을 고려했을 때 0.067 kg/$m^3$, 잎과 직경이 0.5 cm 이하인 가지까지 포함했을 때 0.097 kg/$m^3$로 나타났다. 흉고직경이 증가함에도 잎과 잔가지 부위의 수관연료밀도 증가폭은 미미하였다.

한국인에서의 혼합치열기 공간분석 (The prediction of the tooth size in the mixed dentition for Korean)

  • 문성환;김성오;유형석;최병재;최형준;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3-261
    • /
    • 2006
  • 이번 연구의 목적은 혼합치열기 아동에서 미맹출된 견치와 소구치의 크기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한국인에 맞는 방정식을 만들기 위함이다. 미맹출 치아의 크기를 예측하는 것은 혼합치열기 교정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미맹출된 견치와 소구치 크기를 예측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이 모이어의 예측 표와 다나카와 존스턴의 방정식이 있다. 하지만 그것들은 백인을 위해서 제작된 것이고 치아 크기는 인종에 따라서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치아크기를 측정하여 하악 영구 절치의 크기 합과 견치 및 소구치의 크기 합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하고 회귀방정식을 이용해서 한국인에 맞는 예측표를 만들었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에 재학중인 178명의 한국 학생(남 108명, 여 70명, 평균연령 21.63)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영구치의 근원심 폭경을 석고모형상에서 calipers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성별간의 치아 크기는 차이가 있었다 (p<0.05). Correlation coefficient는 0.57에서 0.64의 범위였고, standard errors of the estimates는 여성에서 0.6으로써 남성보다 우수하였다. ${\gamma}^2$값은 0.27에서 0.4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 PDF

기체 분리막의 투과 특성 예측 모델식 개발 (Predictive Thermodynamic Model for Gas Permeability of Gas Separation Membrane)

  • 김종환;홍성규;박상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619-626
    • /
    • 2007
  • 막을 이용한 분리 공정은 상(phase) 변화가 없고 낮은 에너지 소비, 장치의 간소화, 큰 선택성, 가공의 용이성, 낮은투자 및 운용비용 등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하여 다른 방법들에 비해 분리가 간단하다는 장점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여러 가지 기체 분리 방법 중 막을 이용한 기체 분리는 막 층 내에서의 기체 분자의 투과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기체 분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체 투과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PDMS, ${\gamma}-radiated$ PDMS, PTFE, PTFE-X 기체 분리막을 선택하였다. 네 가지 분리막의 기체 투과 실험의 결과를 이용하여 열역학적으로 고찰, 분석 후 실험데이터의 reduction 및 regression을 통하여 온도, 압력등의 외부 조건과 기체 분자의 열역학적 특성값에 따른 기체 투과특성 예측식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예측식으로 구한 값과 실험데이터를 비교하여 객관적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하여 분리막이 분리 조건과 각각의 기체의 열역학적 특성값($\sigma$, $\varepsilon/k$)으로 기체 투과특성을 알 수 있으므로 예측식을 여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