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 oryzanol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초

상업적 ${\gamma}$-Oryzanol 과 ${\alpha}$-Tocopherol 첨가에 따른 냉장 조리 돼지고기의 Warmed-over flcvor(WOF)와 7-Ketocholesterol 제어 효과 (Inhibition of Warmed-Over Flavor (WOF) and 7-Ketocholesterol in Refrigerated Precooked Pork Patties containing Commercial ${\gamma}$-Oryzanol and ${\alpha}$-Tocopherol)

  • 김주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5-89
    • /
    • 2008
  • 가열 조리된 냉장 돼지고기 패티에 사용된 상업용 유통 ${\gamma}$-oryzanol과 ${\alpha}$-tocopherol의 항산화 효과가 돼지고기 육질 내의 지질 산화로부터 기인되는 warmed-over flavor(WOF) 값과 콜레스테롤 산화로부터 기인되는 이차 산화물인 7-ketocholesterol의 생성 추이 변화로 비교 분석되었다. 지질산화로부터 측정된 파라미터는 이화학 데이터인 TBARs 값과 관능 데이터인 WOF 값에 의해 비교 분석되었으며, 콜레스테롤 산화로부터 유래된 측정 파라미터는 산화 유도기간에 따른 가열 조리된 돼지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 변화 정도와 주요 콜레스테롤 산화물인 7-ketocholesterol 생성 정도에 의해 비교 분석 되었다. 콜레스테롤과 롤레스테롤 산화물은 cold saponification 추출 기법과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 (HPLC) 테크닉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측정된 각 파라미터 변수들 간의 통계적 상관관계가 검토되었으며, 가열 조리된 돼지고기 패티의 산화로부터 기인되는 이차 산화물에 대한 ${\gamma}$-oryzanol과 ${\alpha}$-tocopherol의 항 산화력이 비교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모든 파라미터 변수들은 서로 간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gamma}$-oryzanol처리 군에서 유의적인 지질 및 콜레스테롤 항 산화 효과를 보였다.

Changes in Nutritional Components throughout Germination in Paddy Rice and Brown Rice

  • Oh, Sea-Kwan;Hwang, Pil-Seong;Kim, Kee-Jong;Kim, Yeon-Kyu;Lee, Jin-Hw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113-119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7 nutritional components (fatty acid, protein, fat, ash, total dietary fiber (TDF), $\gamma$-aminobutyric acid (GABA), and $\gamma$-oryzanol) of paddy rice (PR) and brown rice (BR) throughout the germination process, as measured at different shoot lengths (10 mm, 20 mm, and 30 mm). With the increase of shoot length, the nutritional components' concentrations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concentrations measured before germination. Moreover, BR exhibited higher GABA, $\gamma$-oryzanol, and protein than PR. Among the components, TDF, GABA, and $\gamma$-oryzanol showed significant concentration differences throughout germination, while the others exhibited only slight variations. In particular, GABA and $\gamma$-oryzanol were predominantly increased in grains of 10 mm shoot length. These compounds might prove to be important factors from germinated rice. Additionally, the germinated cultivar 'Keunnun' might also prove to be a very important food source, owing to its high GABA and $\gamma$-oryzanol cont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ations in nutritional components related to the increase of shoot length may prove to be important when considering the beneficial aspects of rice on human health.

수용성 모델시스템 내에서의 상업적 ${\gamma}$-Oryzanol의 C-7 산화 콜레스테롤 유도체 생성 저해효과 (Commercial ${\gamma}$-Oryzanol Inhibits the Formation of C-7 Oxidized Cholesterol Derivatives (OCDs) in an Aqueous Model System during Cholesterol Autoxidation)

  • 김주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
    • /
    • 2008
  • 미강 추출 상업용 유통 감마오리자놀의 콜레스테롤 자동산화에 의한 C-7 산화 콜레스테롤 유도체 생성 저해 효과가 수용성 모델 시스템을 이용하여 검토되었다. C-7 콜레스테롤 산화 유도체 (C-7 oxidized cholesterol derivatives: C-7 OCDs) 생성을 위해 콜레스테롤과 감마오리자놀이 분산된 수용성 모델시스템은 구리이온을 촉매로 pH 5.5와 $80^{\circ}C$의 가혹 조건에서 20시간 동안 반응되었다. 산화 유도 기간에 따른 C-7콜레스테롤 산화 유도체 (7-ketocholesterol, 7{\alpha}$-hydroxy-cholesterol과 7b-hydroxycholesterol)의 생성 정도와 감마오리자놀 및 콜레스테롤 변화 추이 정도가 핵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과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프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테크닉을 이용 정량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콜레스테롤 산화 유도 기간에 따른 7-ketocholesterol 생성비율은 7-hydroxycholesterol 이성체 (${\alpha}$-형:${\beta}$-형) 대비 약 2:1의 비율로 생성되었으며, 7-hyoxycholesterol 이성체에 있어서는 ${\alpha}$-형 대비 ${\beta}$-형의 생성 정도가 약 1:2의 비율로 나타났고, 총 C-7 산화콜레스테롤의 생성은 상대적인 고농도(300 ppm) 감마오리자놀 처리 모델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다.

Variation of γ-Oryzanol by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 Crops in Korean Rice Cultivars

  • Kim, Heon-Woong;Lee, Sung-Hyeon;Lee, Young-Min;Jang, Hwan-Hee;Hwang, Kyung-A;Cho, Hyun-Suk;Lee, Jeong-Tae;Jeon, Weon-Tai;Kim, Jung-B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75-283
    • /
    • 2014
  • The ${\gamma}$-oryzanol, ferulic acid esters, which are well-known for their function on cholesterol lowering and prevention of inflammation, diabetes and cancer, are found in the seeds of cereal crops such as rice, corn, wheat and rye. Among them, rice has been reported to contain the highest ferulic acid esters. Since rice cultivation with green manure as a N source is an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practic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quantify as well as evaluate the variations in these compounds in rice samples as affected by different green manure conditions. A total of ten components of ${\gamma}$-oryzanol were isolated and cycloartenyl ferulate, 24-methylenecycloartanyl ferulate, campesteryl ferulate and sitosteryl ferulate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components in Korean rice cultivars, 'Unkwang' and 'Hopum'. Comparing the ${\gamma}$-oryzanol contents of these varieties, 'Unkwang' showed clearly similar pattern with conventional type. With the PLS-DA (partial least squares of discriminant analysis) using SIMCA 11.0 ver., the specific pattern and cluster of ${\gamma}$-oryzanol scores with green manure conditions were confirmed, and thus distinguishing green manure effects were possible.

Variation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Oryza sativa L.) During Storage

  • Lee, Jin-Hwan;Oh, Sea-Kwan;Cho, Kye-Man;Seo, Woo-Duck;Choung, Myoung-G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398-1403
    • /
    • 2009
  • Present study deals with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s includin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gamma$-oryzanol, free sugar, lipoxygenase activity, fat acidity, and germination rate from Korean brown rice cultivars. With increase of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GABA, $\gamma$-oryzanol, lipoxygenase activity, and fat acidity increased, whereas free sugar and germination rate was reduced. Among cultivars, 'Gopumbyeo' exhibited the highest contents in GABA and $\gamma$-oryzanol during 12 weeks storage at $25^{\circ}C$ (GABA: $28.6{\pm}5.6{\rightarrow}170.4{\pm}4.6\;mg/100\;g$, $\gamma$-oryzanol: $6.1{\pm}0.7{\rightarrow}6.7{\pm}0.4\;mg/g$) and 'Ilpumbyeo' significantly decreased in free sugar during 12 weeks storage at $10^{\circ}C$ ($1,423.7{\rightarrow}1,058.4\;mg/100\;g$). Moreover, 'Taebongbyeo' exhibited the highest quality owing to low lipoxygenase activity, low fat acidity, and high germination rate. In free sugar compositions, sucrose exhibited the highest content (>70%), followed by fructose (>7%), raffinose (>5%), glucose (>3%), and maltose (>2%) during storage. Based on our results, changes of physicochemicals in stored brown rice may be important information in processing food and functional properties.

질소치환포장 및 ${\gamma}-Oryzanol$ 첨가가 유과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Gas Packing and ${\gamma}-Oryzanol$ Treatment on the Shelf Life of Yukwa(Korean Traditional Snack))

  • 박윤정;전향숙;김상숙;이종미;김규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17-322
    • /
    • 2000
  • 전통 유과의 저장성을 증진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써 Al증착필름 질소치환포장(AN포장군), PE필름 함기포장(PE포장군) 및 ${\gamma}-oryzanol$첨가 질소치환포장(ANA포장군)을 적용하여 $60^{\circ}C$에 20일 동안 저장하면서 유과의 품질 변화를 살펴보았다. 과산화물가, 산가 및 공액이중결합지방산 함량의 경우, PE포장군과 AN포장군은 저장일수가 늘어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고, 세 포장군 가운데 ANA포장군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hexanal 함량은 AN포장군이 PE포장군보다 높았고, 색도에 있어서도 AN포장군이 PE포장군보다 황색도, 적색도가 더 높았다. 유과의 색도 결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저장 중 수분함량은 AN포장군이 PE포장군보다 약 3배 정도 높았다. 유과의 질소치환포장시 완전탈기할 경우 제품의 변형 또는 파손이 일어났고 형태를 유지할 경우 잔존 산소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포장지내 잔존 산소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유과의 경우 질소치환포장의 적용은 완전 탈기가 어려워 일반 유탕스낵에 비해 효과가 낮으며, 유과의 저장성 증진을 위해서는 항산화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미강의 $\gamma$-oryzanol 및 생리활성물질의 에탄올 추출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Ethanol Extraction of $\gamma$-oryzanol and Other Functional Components from Rice Bran)

  • 조인희;최용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81-28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미강의 지용성 생리활성 물질인 $\gamma$-oryzanol과 그 모핵인 ferulic acid를 ethanol을 용매로 효율적으로 추출하고자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 추출 조건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추출조건의 독립변수를 시료에 대한 용매비($X_1$), 추출 온도($X_2$), 추출 시간($X_3$)으로 하고 이에 따라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로 추출 수율($Y_1$), 총페놀 함량($Y_2$), 전자공여능($Y_3$), 미강의 지용성 생리활성물질인 ferulic acid 함량($Y_4$)과 $\gamma$-oryzanol 함량($Y_5$)을 설정하였다. 추출 수율은 추출조건이 시료에 대한 용매비 22.56 mL/g ($X_1$), 추출 온도 $78.19^{\circ}C$ ($X_2$), 추출 시간 522.15 min ($X_3$)일 때 최대값 42.03%를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의 최대값은 90.78 mg GAE/100 g이었으며, 이때의 추출 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1.26 mL/g, 추출온도 $94.65^{\circ}C$, 추출시간 567.97 min이었고, 전자공여능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0.20 mL/g, 추출온도 $81.89^{\circ}C$, 추출 시간 701.87 min일 때 최대값 54.72%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ferulic acid 함량의 최대값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5.22 mL/g, 추출 온도 $79.66^{\circ}C$, 추출 시간 575.24 min일 때 210.47 mg/100g이었고 $\gamma$-oryzanol 함량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5.10 mL/g, 추출온도 $81.83^{\circ}C$, 추출시간 587.39 min에서 최대값 660.39 mg/100g를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모든 종속변수들은 시간보다는 시료에 대한 용매비와 추출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 미강의 지용성 생리활성물질인 ferulic acid와 $\gamma$-oryzanol은 온도가 약 $80^{\circ}C$보다 높아지면 추출함량이 감소하는데 이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추출용매의 증발과 같은 손실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들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적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10.45 mL/g, 추출온도 $80^{\circ}C$, 추출시간 535 min으로 예측되었다. Ethanol 역시 isopropanol 과 같이 hexane의 대체용매로서 미강의 추출 용매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감마오리자놀 함유 칼슘-펙틴 미세 및 나노캡슐의 제조와 입자 크기에 따른 캡슐특성 (Preparation of γ-oryzanol-loaded pectin micro and nanocapsul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article size)

  • 이슬;김은서;이지수;이현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10-116
    • /
    • 2017
  • 감마오리자놀의 산화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천연 다당류인 펙틴과 칼슘이온의 이온결합을 이용한 펙틴 겔 미세캡슐과 나노캡슐을 제조하였다. 캡슐의 입자특성은 펙틴, 염화칼슘, 감마오리자놀 농도와 경화시간 변화에 영향을 받았으며, 포집 효율과 방출 조절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던 펙틴 2%, 염화칼슘 4%, 경화시간 60분에서 제조한 미세캡슐과 펙틴 0.05%, 염화칼슘 4%, 감마오리자놀 5%에서 제조한 나노캡슐을 선정하였다. 입자 크기에 따른 두 캡슐 제형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감마오리자놀 포집 효율은 입자 크기 증가로 인한 내부 포집공간 증가로 미세캡슐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효량 섭취의 효율측면에서 경구투여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마오리자놀 함유 펙틴 캡슐 모두가 산성에서 방출이 억제되고 중성으로 갈수록 방출이 촉진되어 체내 소화환경에서 효과적인 전달체의 특성을 보였으며, 미세캡슐에 비해 나노캡슐의 방출 조절이 더 효과적으로 나타나 감마오리자놀의 장기 저장과 활성유지에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FTC법을 통한 지질산화 저해능 평가에서는 저장 5일 이후 유리 감마오리자놀의 산화방지 활성이 감소한 데 반해 감마오리자놀 함유 미세와 나노캡슐은 지속적인 지방산화 억제활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세와 나노캡슐화는 감마오리자놀의 안정성 및 지질산화 활성 증대에 효과적이며, 제형 특성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정에 따른 쌀과 보리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in the Functional Ingredient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and Barley according to the Milling Process)

  • 신희윤;최용민;최정민;김영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1-89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and barley according to the milling process used. A considerable amount of γ-oryzanol was observed in unmilled rice and barley. However, γ-oryzanol was not detected in the rice and barley after the milling process. The highest content of γ-aminobutyric acid (GABA) was observed in the unmilled Keunalbori-1-ho barley. The contents of biotin in all samples also decreased in the milled grains compared to the unmilled grains.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was observed in the Heuksujeongchal barley, and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also found in this grain. The milling process led to a decrease in the content of functional components, including γ-oryzanol, GABA, biotin, polyphenols, and flavonoids in both rice and barley. These results may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using cereal grains.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 Lee, Youn-Ri;Kim, Ja-Young;Woo, Koan-Sik;Hwang, In-Guk;Kim, Kyong-Ho;Kim, Kee-Jong;Kim, Jae-Hyun;Jeong, Heon-S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1006-1010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germinated rough rice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The chemical components that were determined for 'Ilpum', 'Goami2', 'Keunnun', and 'Heugkwang' rough rice cultivars included dietary fiber,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and functional components such as tocopherols and ${\gamma}$-oryzanol. The crude protein, fat, total dietary fiber, and free sugar contents of the rough ric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germination. Th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particularly increased. After the germination of the 'Ilpum', 'Goami2', 'Keunnun', and 'Heugkwang' varieties, the following increases were found: ${\gamma}$-aminobutyric acid increased 2.4, 2.5, 6.1, and 3.4 times, respectively; ${\alpha}$-tocopherol, ${\alpha}$-tocotrienols, and ${\gamma}$-tocotrienol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gamma}$-oryzanol content increased 0.8, 1.1, 1.5, and 1.2 times, respectively. Thus, germinated rough rice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healthy and functional food ingred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