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eunsa Temple Sit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3초

감은사지(感恩寺址) 동탑(東塔) 사리용기(舍利容器) 양식(樣式)에 반영된 복두형(覆斗形) 천장(天障)에 대하여 (About the Ceiling with Bokdu(覆斗) Design Reflected on the Sarira Casket Discovered from a East Pagoda in Gameunsa Temple Site)

  • 이난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3권
    • /
    • pp.136-161
    • /
    • 2000
  •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gilt-bronze sarira caskets discovered in 1959 and 1996, from a east and a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in Gameunsa Temple site which was built in 682. One of the most interesting discoveries is the ceiling with Bokdu(覆斗) design which can be seen in Dun-Huang grotto of China, reflected upon the ceiling structure of the cover (outer casket) and the square box (inner casket). The structure of these sarira caskets, as art crafts, directly represents architectural structure of Dun-Huang grotto that was made during the early T'ang period of China. Moreover, the sarira caskets are decorated with ornate designs and these designs also can be seen on the murals of Dun-Huang grotto. Accordingly, those sarira caskets tell us creative ability and international taste of Silla's craftsmen. By tracing the origin of structure and design pattern of the sarira caskets to Central Asian and Chinese architectures, it is able to understand international style of the sarira caskets of Gameunsa Temple site.

해수와 대기오염물질이 석조문화재에 미치는 영향: 감은사지 삼층석탑을 중심으로 (Effects of Seawater and Air Pollutants on Stone Cultural Properties: Three-Story Stone Pagodas in Gameunsa Temple Site)

  • 정종현;손병현;정민호;임헌호;김경원;김현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5-337
    • /
    • 2007
  • The effect of seawater and air pollutants on the three-story stone pagodas on Gameunsa Temple Site have been studied in order to establish conservation basic plan. Also, an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eawater salt and air pollutants on the weathering of granite.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Because the three-story stone pagodas on Gameunsa Temple Site are located outdoors, the external appearance has been largely deteriorated due to natural and artificial factors such as typhoon, wind, microorganisms, moisture, extreme change in temperature, air pollutants, and seawater, etc. When G.J fresh granite was dipped into the seawater, dissolution rate of three minerals (Mg, Ca, and K) are increased linearly until about 40 days and then increased abruptly. After seawater dipping experiments, the mineral compositions of the granite surface were lower then that of the G.J fresh granite but Poisson's ratio and absorption ratio were slightly increased. Therefore, from these results we can say that stone cultural properties could be weathered by seawater and air pollutants and it's considered being a meaningful experiment to study the conservation method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from seawater.

신라감은사건축의 계획이념과 설계기술 고찰 (Study on the Design Ideas and Planning Method of the Gameunsa Temple Architecture in Silla)

  • 이정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1호
    • /
    • pp.238-259
    • /
    • 2021
  • 감은사는 문무왕대에 시창하여 신문왕 2년(682)에 완공된 신라중대의 불교사원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감은사지 발굴조사 성과를 기초로 하고, 역사학 분야 등에서의 문헌연구 성과를 참고로 하여, 신라감은사건축의 조영계획 양상 및 특질, 그리고 그것과 당시의 정치·사회적, 종교적 환경 간의 관계에 대한 구명을 시도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은사 중심곽 내 당탑 및 회랑, 중문과 강당 등 모든 건축물은, 기단부를 기준하여, 방(方)216척(尺)(고구려척, 추정단 위치수 353.30mm)의 윤곽에 남거나 부족함 없이 정확하게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사실은, '만파식적설화'와 유교예악사상과의 관계, '이견대'의 명칭과 『주역』과의 관계, '감은사지출토 태극무늬장대석'과 『주역』과의 관계 등으로부터 확인되는, 동해구 유적(대왕암·이견대·감은사)에 서린 신라중대왕실의 '유교정치이념의 표방' 의지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판단되며, 감은사가람의 설계초기단계에 있어서, 잠재하는 규모계획의 기준으로부터 이차적 조정으로서, 『주역』 계사상의 '건지책 216'으로부터 수를 취해 가람중심곽규모의 결정기준으로 삼은 결과로 추정된다. 감은사 당탑 등의 배치계획은, 방(方)216척(尺)의 윤곽 내,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로, 즉 가람중축선상 중문·강당의 배치 및 금당 남북위치의 결정, (중문·강당·금당 측면에 각각) 남회랑·강당동서편건물·익랑 배치, 동서회랑의 배치, 동서 석탑 중심위치 결정의 순으로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찰된다. (2) 감은사건축에 있어서의 유불공존적 양상은, 『금광명경(金光明經)』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이며, 왕의 화신인 용이 용혈(龍穴)을 통해 금당기단 내에 들어 선요(旋繞) 즉, 공경·숭봉(崇奉)을 행함으로써 "음양조화시부월서(陰陽調和時不越序) 일월성숙부실상도(日月星宿不失常度) 풍우수시무제재횡(風雨隨時無諸災横)" 등의 무량공덕이 얻어지기를, 그리고 일월에 비유되는 부처의 광명이, 새로이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삼아 운영해 나갈 국가, 신라의 사방 천하(천(天)=건(乾), 건지책 216척(尺) 규모의 가람중심곽)에 길이 두루 비춰지기를 염원한 문무왕의 뜻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찰된다. 그리고 그 구상 및 실현에 있어서는 유불습합적 사상 경향을 가졌던, 그리고 문무왕이 유언으로서 국사로 삼기를 당부했고 신문왕 즉위 후 국로로 임명되었던, 경흥(憬興)이 깊이 관여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감은사지 삼층석탑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Gameunsa Temple site.)

  • 남시진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3호
    • /
    • pp.7-21
    • /
    • 2008
  • Three-story Stone pagodas in Gameunsa Temple site, one of the early staged stone pagodas, has been known as a standard of Silla stone pagodas. A stone pagoda is not only a stone art work and but also a stone architecture. In understanding the stone pagoda it is very important to be approached with technological side in which we can investigate the stone pagoda deeply and as well as to have been approached with art historical view. Also it needs that we should see the stone pagoda in view of structural safety. We can get many high technique from our ancestors who made Gameunsajiseoktap. 1. To reduce any deformation such as relaxation and sinking of members which is caused by a heavy load the members such as the lower tier of the base is made up of the foundation stone and side stone in each, comprising one stone. 2. A special construction method for connection between wall stone and column stone in stereobates was invented. It is to make column stone projected partially and wall stone be caved in that two members should be jointed well. This unique method is not used any longer after the three-story Stone pagodas in Gameunsa Temple Site. 3. In each side upper and lower member are not engaged as the size of roof stones and support stones of roof stones are different. It can be done for a distribution of perpendicular load and a prevention for relaxation of members. 4. It makes sure that to make upper ends of support stones 10mm lower was to be avoid upper loads to it judging from survey in disassemblying east pagoda. It proves that ancestors who made this stone pagoda had a technique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matters to make small members as big as possible, not to engage in joint, to avoid in ends of members from upper load.

  • PDF

석탑 기단부 적심구성방법에 대한 특성 고찰 - $7{\sim}8$세기 석탑 중 해체 수리한 석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mposition method of inner foundation in stone stupa)

  • 정해두;장석하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5호
    • /
    • pp.55-66
    • /
    • 2007
  • Through analysing on construction cases of stupa built in A.D. 7,8th, I have researched about these : constructive methods of inner soil of stupa, spatial compositions, characteristics of structures, arrangements of inner soil and etc. And cases analysed are six ; Mireuksajiseoktap(stone pagoda of Mireuksa Temple site), Gameunsajisamcheumgseoktap(three storied stone pagoda of Gameunsa Temple site), Goseonsajisamcheungseoktap(three storied stone pagoda of Goseonsa Temple site), Wolseong nawolliocheungseoktap(five storied stone pagoda in Nawonri, Wolseong), Guksagokseoktap(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Guksa valley), Giamgokseoktap(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Giam valley). Additionally we researched about inner soil of Sacheonwangsaji tapji(basement of stone stupa site in Sacheonwang Temple site) to speculate on composition of Synthetically, the foundation could be divided as core space and outer space. ; the former as structural function and the latter as ornamental function. And the core area could be divided again as center column space and buffer spac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paces and its formation are as belows; First, according to the area of foundation and scale of stone pagoda, formations of core are differed. As the scale of stone pagoda goes bigger, and the area of foundation goes larger, the structure of stone pagoda comprised by center column type and layered-core which endure upper load independently. On the contrary, as the scale of stone pagoda goes smaller, and the area of foundation goes lesser, the structure of stone pagoda tend to use only center column to endure upper part. Second, spatial composition of core area is comprised as two spaces, one which endure upper load and buffer space which absorb side pressure and upper pressure. The buffer space tend to be used in case of those structures which could not endure side pressure or have lots of joint. In some cases, it was located below the cover stone of foundation and gained upper load. And in case that have not gained pressure from side stone, the buffer space are comprised by smalle stone or roof tile to get structural supplement.

  • PDF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구의 재보존처리 (Conservation of the Reliquary from the East Pagoda at Gameunsa Temple Site)

  • 박학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3권
    • /
    • pp.59-69
    • /
    • 2012
  •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보물 제1359호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 중 금동전각형사리기의 귀꽃이 2010년 11월에 분리된 것을 계기로, 금동사리기외함을 포함하여 2점의 재보존처리를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보존처리는 과도한 광택과 기포를 가진 코팅부위를 제거하고 인크랄락(Incralac)으로 재코팅 하는 과정과, 균열 부위와 분리된 귀꽃을 재접합 후 직조 유리 섬유로 보강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코팅과 접착제 부위가 가진 광택과 기포를 제거할 수 없는 부위는 소광(消光) 처리와 채색을 통해 광택과 기포가 눈에 적게 띄도록 하였다.

경주 감은사지 삼층석탑(서탑)에 발달한 표면균열에 대한 연구: 2층 탑신과 3층 옥개석의 사례 (A study on the Surface Cracks in the West Stone Pagoda of Gameunsa Temple Site, Gyeongju, Korea: Examples from the second story stone body and the third story capstone)

  • 좌용주;김재환;박성철
    • 암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38-244
    • /
    • 2008
  • 국보 제 112호로 지정되어 있는 감은사지 삼층석탑(서탑)은 표면 풍화로 인한 훼손 상태가 심각하여 빠른 시간 내에 보수되어야 한다. 표면균열에 대한 부분적인 관찰 결과 2층 탑신면에는 수직균열이 발달한다. 이는 상하로 작용하는 강한 주 압축력에 평행하게 발달한 균열이 더욱 더 성장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균열 성장의 원인에는 이미 존재하던 수직균열을 이용한 화학적 풍화작용 및 생물학적 풍화작용이 가세했을 가능성이 높다. 3층 옥개석의 경우 표면균열은 북동방향과 북서방향으로 교차하는 향상으로 발달하고 있다. 3층 옥개석의 동쪽과 남쪽에서 많은 수의 균열이 관찰되며, 중심축에서 바깥쪽으로 잇는 수직균열과 바깥쪽의 수평균열들이 발달하고 있다. 한편, 3층 옥개석의 서쪽과 북쪽은 균열이 많이는 관찰되지 않으며, 대부분 수평균열이 발달하고 있다. 이는 중심축에서의 압축력이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지 않으며, 무게 중심이 동쪽과 남쪽 방향으로 기울어져 이 방향으로 강한 압축력이 제공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감은사지 삼층석탑 구조 (A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Gameunsa Temple site)

  • 남시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8권
    • /
    • pp.329-358
    • /
    • 2005
  • 감은사지 삼층석탑은 신라석탑의 규범을 이루는 시원적인 석탑으로 우리나라 석탑의 대표적인 형식으로 자리 잡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와 같은 석탑은 석조미술품이면서 석구조물이다. 지금까지는 탑을 이해함에 있어서 조탑사상과 미술사적으로는 깊은 연구와 논의가 이루어져서 양식이나 편년 등은 깊이 있게 연구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석조건축물로서의 연구는 아주 미미한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는 많은 석탑전문가들도 대부분이 미술사전공자이고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공학자는 극히 소수임을 보아도 잘 알 수 있다. 앞으로는 석탑을 이해함에 있어서 미술사 못지않게 구조를 포함한 힘의 전달 등 역학 적인 부분도 검토될 수 있도록 공학적인 면으로도 접근하여 탑을 보다 깊이 있게 그리 고 구조체로서 안전하게 이해하고 안전성도 검토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탑을 조성한 우리선조들의 기술적인 부분을 곳곳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첫째 : 지대석과 하층기단면석을 한 돌로 만드는 기단부의 작은 부재를 가급적 크게 만들어서 상부 하중으로 인한 부재의 이완과 침하 등 부재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 한 것이며, 둘째 : 면석과 탱주의 이음에 있어서 탱주에 턱을 두어 면석을 끼워 맞추는 결구방식을 보면 탱주에 끼워지는 면석부분을 살짝 면접기하여 탱주 턱에 쉽게 끼워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면석 결구방식은 감은사석탑 이후 석탑의 면석 결구방식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결구방식이다. 셋째 : 각 면에 옥개석과 옥개받침석의 크기를 각기 다르게 하여 상 하 부재의 이음부를 일치하지 않게 하였다. 이는 수직 하중의 분산과 부재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 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 동탑 해체 시 확인된 사항으로 옥개받침의 상면을 평평하게 다듬지 않고 안쪽을 볼록하게 도드라지게 다듬어서 가능한 부재의 무게중심을 석탑의 중심에 가깝도록 고려하였다. 작은 부재를 가급적 크게 만든 것, 상하부재의 이음부를 어긋나게 한 기법과 무게중심을 되도록 석탑중심으로 오도록 한 수법 등은 당시 조탑인들은 상당한 수준의 공학적인 식견을 가지고 구조를 이해하는 기술력이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