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llbladder, pancrea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8초

원발성 기관지 반지세포암 1예 (A Case of Primary Signet Ring Cell Carcinoma of the Lung)

  • 최원일;손정호;권오영;허정숙;황재석;한승범;송홍석;전영훈;권건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5호
    • /
    • pp.562-567
    • /
    • 1994
  • 반지세포암은 과거에 여러 장기에서 보고되어졌으며 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드물게 대장, 직장, 담낭, 췌장, 유방, 전립선, 방광 그리고 요관 등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에서 특히 작은 조직검사에서 반지세포가 나올 경우 일반적으로 전이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믿어져 왔다. 저자들의 경우 기관지경직시하 조직생검상 반지세포암으로 진단되었으며 다른 여러장기를 비침습적으로 조사한 결과 정상소견이어서, 원발성 폐의 반지세포암으로 추정되어 cisplatin과 etoposide의 복합 항암화학요법과 국소방사선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진단 후 176일째 급성호흡부전으로 사망하였다.

  • PDF

Role of radiotherapy for pancreatobiliary neuroendocrine tumors

  • Lee, Jeongshim;Choi, Jinhyun;Choi, Chihwan;Seong, Jinsi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1권3호
    • /
    • pp.125-130
    • /
    • 2013
  • Purpose: We investigated the role of radiotherapy (RT) for pancreatobiliary neuroendocrine tumors (PB-NETs). Materials and Methods: We identified 9 patients with PB-NETs who received RT between January 2005 and March 2012. Of these 9 patients, 4 were diagnosed with NETs in the pancreas and 5 were diagnosed with NETs in the gallbladder. All patients received RT to the primary tumor or resection bed with a median total irradiation dose of 50.4 Gy,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Results: The tumor response rate and tumor control rate in the RT field were 60% and 100 %, respectively. All 4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had no evidence of disease in the RT field. Of the 5 patients who received RT to the primary gross tumor, 1 had complete response, 2 had partial response, and 2 had stable disease in the RT field. The median time to progression was 11 months. Of the 9 patients, four patients had no progression, and 5 patients had progression of disease (locoregional, 2; distant, 2; locoregional/distant, 1). Of the 4 patients without progression, 3 were treated with RT in adjuvant or neoadjuvant setting, and one received RT to primary tumor. One patient experienced radiation-induced duodenitis at 3 months after concurrent chemoradiation without treatment-related mortality. Conclusion: RT can yield local control for advanced PB-NETs. RT should be considered an essential part of multimodality treatment in management of advanced PB-NETs.

전산화 단층촬영 유도하 복강신경총 차단이 암성통증관리에 미치는 영향 (CT-guided Celiac Plexus Block Using Anterior Approach)

  • 이정구;이주영;정정길;이창수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2권1호
    • /
    • pp.87-94
    • /
    • 1999
  • Backgroud: We have performed the CT-guided celiac plexus block (CPB) using anterior approach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procedure and to determine the role of CT. Methods: CPB were done in 10 patients (5 men and 5 women: mean age, 58.1 years) with intractable upper abdominal pain due to terminal malignancy of the stomach (n=3), pancreas (n=4), gallbladder (n=2), and liver (n=1). To permit an anterior approach, patients lay supine on the CT scan table during the procedure. One 21-guage Chiba needle was placed just anterior to the diaphragmatic crus between the celiac and superior mesenteric arteries and 10~12 ml of dehydrated alcohol was injected. Degree of pain relief following the procedure was assessed and pain was graded on a numeric rating scale (NRS) from 0 to 10. Results: The results suggest a direct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celiac invasion and the response to the CPB. With CT guidance, it is possible for us to direct the needle into more accurate region, allowing alcohol to be deposited in specific ganglion area. Conclusions: CT-guided CPB using an anterior approach was an easy and effective way of reducing intractable upper abdominal pain due to terminal malignancies. CT-guidance allowed precise needle placement and safe procedure. Careful classification of cases is important to predict the degree of pain relief using the grading system based on the degree of involvement of the celiac plexus.

  • PDF

Endoscopic Ultrasonography in Pediatric Patients with Pancreatobiliary Disease: Single-Center Trial

  • Demirbas, Fatma;Kaymazli, Mustafa;Caltepe, Gonul;Abbasguliyev, Hasan;Kalayci, Ayhan Gazi;Bektas, Ahmet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4권2호
    • /
    • pp.164-172
    • /
    • 2021
  • Purpose: The use of Endoscopic ultrasonography (EUS) in pediatric patients is not as common as in adul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ole of EUS in the diagnosis of pancreatobiliary disease in childhood. Methods: Between December 2016 and January 2018, the findings of patients who underwent EU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Results: Of the 41 patients included in the study 25 were girls (61.0%), mean age was 12.2±4.2 years. EUS was performed for biliary colic in 21 (51.2%), for recurrent pancreatitis in 12 (29.2%), for cholecystitis/cholangitis in 5 (12.2%), and for acute pancreatitis in 3 (7.4%) patients. EUS had a significant clinical effect in the decision of treatment and follow-up of 6/21 biliary colic cases, in diagnosis and follow-up of 6/12 recurrent pancreatitis cases, in decision-making and monitoring of invasive procedures (ERCP/surgery) of 3/5 acute cholecystitis/cholangitis and 2/3 of acute pancreatitis cases as well as in follow-up of the other cases. The effectiveness of EUS in determining direct treatment and invasive intervention was 43.9%. None of the patients had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EUS procedure. Conclusion: Although current guidelines show that EUS can be used in pediatric patients, this is limited to a few published studies.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EUS is a safe method for the diagnosis, follow-up and treatment of common pancreatobiliary pathologies in childhood.

복부 림프절의 명명법 및 림프 배액 패턴 (Nomenclature and Lymphatic Drainage Patterns of Abdominal Lymph Nodes)

  • 조현석;안지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6호
    • /
    • pp.1240-1258
    • /
    • 2022
  • 림프계는 염증 및 악성 세포의 확산 경로를 제공한다. 종양이 확산되는 림프절의 위치와 림프 배액 경로를 인지하는 것은 종양의 병기 결정, 치료 방법 선택 및 환자의 예후 예측에 중요하다. 복강 내 악성 종양에서 림프절 전이는 흔하기 때문에 림프절 전이를 발견하고 질병의 확산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영상의학과 의사에게 필수적이다. 이 임상화보에서는 도식적인 그림들과 림프절을 색으로 표시한 CT 영상을 사용하여, 상부 및 하부 위장관, 간, 담낭, 담관 및 췌장의 림프절 위치와 이름, 그리고 림프 배수 경로에 관해 기술하였다. 또한 각 장기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의 국소 림프절의 종류에 대해 기술하고 몇몇 증례의 영상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 2부: 복부 초음파 및 MRI 급여 확대 (A New Health Care Policy in Korea Part 2: Expansion of Coverage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on the Abdominal Ultrasound and MRI)

  • 장민재;박성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5호
    • /
    • pp.1069-1082
    • /
    • 2020
  • 복부 영상 영역에서는 새로운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으로 인하여 2018년 4월 1일 상복부 초음파, 2019년 2월 1일 하복부 초음파와 2019년 11월 1일 복부 MRI가 순서대로 급여 확대되었다. 많은 환자들이 건강보험 급여 혜택을 보게 되었으며 간경화, 담낭용종, 간선종, 이형성 결절, 췌장 낭종과 자가면역성 췌장염, 담석 등이 건강보험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급여화로 인해 각 검사의 적응증, 추적검사 가능 질환과 적용 횟수 등이 보다 복잡해졌으며 획득하여야 할 표준영상과 판독소견서의 양식이 지정되었으며, 따라서 외래나 병실에서 검사를 처방하고 검사실에서 검사를 시행할 때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복부와 골반의 다양한 장기에서 발생한 황색육아종성 염증 질환의 영상 및 임상 소견: 임상화보 (Imaging and Clinical Findings of Xanthogranulomatous Inflammatory Disease of Various Abdominal and Pelvic Organs: A Pictorial Essay)

  • 이세진;양달모;김현철;김상원;원규연;박소현;정우경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109-123
    • /
    • 2024
  • 황색육아종성 염증 질환은 담낭, 담관, 췌장, 비장, 위, 소장, 결장, 충수, 신장, 부신, 요막관, 방광, 후복막, 여성 생식기 등 다양한 장기를 침범하는 드문 양성 질환이다. 황색육아종성 염증 질환의 영상학적 소견은 비특이적이고 대개 비균질한 고형 또는 낭성 종괴로 나타나며 인접한 장기를 침범할 수 있다. 황색육아종성 염증 질환은 공격적인 양상으로 인해 때때로 악성 종양으로 오인될 수 있다. 본 임상화보에서는 복부와 골반의 다양한 장기에서 발생한 황색육아종성 염증 질환의 영상 소견 및 임상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속발성 담도부 종양에 의한 담도 폐쇄에서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 (High-Dose-Rate Intraluminal Brachytherapy for Biliary Obstruction by Secondary Malignant Biliary Tumors)

  • 윤원섭;김태현;양대식;최명선;김철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35-43
    • /
    • 2003
  • 목적 : 속발성 담도부 종양에 의한 담도 페쇄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기간, 고식적 치료 효과, 예후인자, 치료에 수반된 부작용을 조사하여 방사선치료의 유용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12월부터 20이년 8월까지 속발성 담도부 종양에 의한 담도 폐쇄가 발생한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35세부터 82세(중앙 연령 58.5세)였다. 대상 환자를 원발 종양 부위에 따라 분류해 보면 위암이 12명, 담낭암이 6명, 간암이 3명, 췌장암이 2명, 대장암이 1명이었다. 환자의 중앙 추적조사기간은 7.2개월(3$\~$76개월)이었다. 외부방사선치료는 24명 중 18명에서 시행하였으며 매일 1.8$\~$2.5 Gy씩 주 5회 분할치료를 하였고 30$\~$61.2 Gy (중앙값 50 Gy)의 방사선량이 조사되었다.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는 주당 2회에서 3회를 치료하였고 16명의 환자는 일일분할선량을 3 Gy로, 8명의 환자에서는 분할선량을 2.5 Gy로 하루 2회 시행하는 방법으로 치료하였다.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의 총조사선량은 9$\~$30 Gy (중앙값 15 Gy)이었다. 결과 : 대상 환자 24명 중 22명은 추적기간 중 사망하였다.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7.3개월이었고 6개월 이상 생존한 환자는 13명(54.2$\%$), 1년 이상 생존한 환자는 5명(20.8$\%$)이었다. 단일변량분석에서 1년 이상 생존에 영향을 준 유의한 인자는 총 방사선량50 Gy 이상)(p=0.0200)이었고 다변량분석에서도 총 방사선량(50 ey 이상)(p=0.0337)이 유의성을 보였다. 추적조사 기간 동안 5명의 환자에서 방사선치료로 인한 담도염이 의심되었다. 1명의 환자에서 치료후 7개월에 혈액담즙증(hemobllla)이 발생하였으나 이는 방사선치료에 의한 후기 합병증보다는 종양의 국소적인 진행에 의한 천공으로 생각되었다 결론 : 담도의 배액술을 시행한 후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를 시행할 경우 기존의 배액술만 시행한 환자에 비해생존기간의 연장이 기대되었고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를 외부방사선치료에 추가할 경우 추가 방사선량은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었고 예후인자인 총 방사선량을 늘릴 수 있었다. 외부방사선치료 및 고선량률 관내 근접치료에 따른 부작용은 대증 요법에 의해 효과적으로 조절되어 안전한 치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