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in threshold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34초

Improved Resource Allocation Model for Reducing Interference among Secondary Users in TV White Space for Broadband Services

  • Marco P. Mwaimu;Mike Majham;Ronoh Kennedy;Kisangiri Michael;Ramadhani Sind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4호
    • /
    • pp.55-68
    • /
    • 2023
  • In recent years, the Television White Space (TVWS) has attracted the interest of many researchers due to its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btainable between 470MHz and 790MHz spectrum bands. The plenty of unused channels in the TV spectrum allows the secondary users (SUs) to use the channels for broadband services especially in rural areas. However, when the number of SUs increases in the TVWS wireless network the aggregate interference also increases. Aggregate interferences are the combined harmful interferences that can include both co-channel and adjacent interferences. The aggregate interference on the side of Primary Users (PUs) has been extensively scrutinized. Therefore, resource allocation (power and spectrum) is crucial when designing the TVWS network to avoid interferences from Secondary Users (SUs) to PUs and among SUs themselves. This paper proposes a model to improve the resource allocation for reducing the aggregate interface among SUs for broadband services in rural areas. The proposed model uses joint power and spectrum hybrid Firefly algorithm (FA), Genetic algorithm (GA), an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algorithm (PSO) which is considered the Co-channel interference (CCI) and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ACI). The algorithm is integrated with the admission control algorithm so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o remove some of the SUs in the TVWS network whenever the SINR threshold for SUs and PU are not met. We considered the infeasible system whereby all SUs and PU may not be supported simultaneously. Therefore, we proposed a joint spectrum and power allocation with an admission control algorithm whose better complexity and performance than the ones which have been proposed in the existing algorithms in the literatu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ared using the metrics such as sum throughput, PU SINR, algorithm running time and SU SINR less than threshol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PSOFAGA with ELGR admission control algorithm has best performance compared to GA, PSO, FA, and FAGAPSO algorithms.

UHF 대역 장거리용 RFID 태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ng Range RFID Tag in the UHF Band)

  • 정재영;염경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50-459
    • /
    • 2009
  • RFID 기술은 각 사물에 전자 태그를 부착하고, 사물의 고유 ID를 무선으로 인식하여, 해당 정보를 수집, 저장, 가공, 추적하는 기술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있어 리더가 태그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인식 거리는 중요한 파라미터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UHF 대역 RFID 시스템의 장거리 인식 거리에 요구되는 태그를 설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 따른 태그는 순방향 인식 거리를 확장하기 위해 전지 지원형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역방향 인식 거리를 확장하기 위해 역산란 변조 신호를 증폭하였다. 제작된 태그의 최소 문턱 전력은 -23 dBm, 역산란 증폭 이득은 28 dB임을 측정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이는 시뮬레이션 결과와 일치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태그의 인식 거리는 상용 태그와 비교하여 2배 이상 향상되었다.

중계기 선택 기법이 적용된 증분 협력 통신의 중계기 배치에 따른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ncremental Cooperative Communication with Relay Selection Based on The Relays Arrangement)

  • 김렴;공형윤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941-95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중계기 선택 기법이 적용된 증분 협력 통신의 단-대-단 성능을 분석한다. 일반적인 협력 통신은 1 phase에 송신단(S)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단(D)이 한 번 수신하고, 2 phase에 중계기(R)로부터 S에서 전송한 신호를 재 전송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D는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음으로써 수신 성능이 향상되지만, 두 번에 걸친 전송은 스펙트럼 효율성을 감소시킨다. 하지만 증분형 중계 기법을 적용한 협력 통신에서 D는 1 phase에 수신한 신호만으로 복호에 성공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두 번째 전송을 생략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증분형 중계 기법에서 D는 ACK/NACK 메시지를 전송하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 기법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D가 첫 번째 시간 슬롯에 수신한 신호를 복호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임계 SNR을 이용한 ARQ 기법과 채널 부호화를 이용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기법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을 고려한 시스템에 참여하는 중계기 배치에 따른 성능을 분석하고, 중계기 배치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다.

FM 라디오 수신을 위한 차량용 다이버시티 안테나 설계 (Design of Diversity Vehicle Antennas for FM Radio Reception)

  • 안승범;노용호;오정훈;추호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761-76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FM 라디오 수신을 위한 차량용 온-글래스 안테나 간의 채널 용량과 다이버시티 이득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안테나 간의 상관 계수 및 채널 용량은 도심 환경에 해당하는 Rayleigh 채널 환경과 안테나의 시뮬레이션 3차원 복사 패턴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직선형 안테나와 L자형 안테나를 이용하여 채널 용량을 계산하였고 안테나의 급전 위치 및 L자형 안테나의 형상을 변화시켜 채널 용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제 세단에 적용가능한 급전 위치를 가지며 채널 용량이 높은 안테나 형상을 후면 글래스에 인쇄하여 야외 약전계 지역에서 FM 수신 출력을 측정하였으며, 안테나 수신 신호 간의 상관 계수는 0.65로 낮은 값을 보였다 차량용 온-글래스 안테나에서 높은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서는 안테나 간의 급전 위치가 최대한 이격되어야 하며, 급전간 거리가 일정 이상 확보되었을 때에는 안테나의 편파가 달라야 함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자산가격 변동의 기준점 효과 및 전망이론적 해석 가능성 검정 (Dynamics of Asset Returns Considering Asymmetric Volatility Effects: Evidences from Korean Asset Markets)

  • 김윤영;이진수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3권1호
    • /
    • pp.93-124
    • /
    • 2011
  • 본고에서는 Tversky and Kahneman(1974)의 기준점 효과와 Kahneman and Tversky(1979)의 전망이론으로 해석이 가능한 현상이 우리나라 자산시장에 동시에 나타나는지를 주가 및 부동산 가격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전망이론의 경우 위험 회피 성향 투자자가 가격 상승 시 매각을 선호하는 것으로 예측하는데, 본고는 이런 성향이 자산가격 수익의 변동성이 증가하는 경우 더 강화되는 것으로 보았다.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과거 수익률이 양(+)인 경우, 주가수익률은 과거 20 또는 30 영업일 자료(window)를 이용하여 산출한 변동성에, 아파트를 제외한 주택가격 수익률은 과거 24~36개월의 자료를 이용하여 산출한 변동성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UV Radiation on Early Growth of Korean Rice Cultivars(Oryza sativa L.)

  • Choi, Kwan-Sam;In, Jun-Gyo;Kang, Si-Yong;Bae, Chang-Hyu;Lee, Hyo-Ye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96-301
    • /
    • 1999
  • The concerns on the crop damage by ultraviolet (UV) radiations is increasing owing to the decrease of their absorbing stratospheric ozone in the tropospheric. Cultivar differences on early growth of UV radiation among five Korean rice cultivars, four japonica types and one Tongil type (indica-japonica cross hybrid), were studied. Pot-seeded rice plants were grown under four different radiation conditions, i.e., visible radiation only, visible radiation with supplemented with high or low dose of UV-B (280~320 nm in wavelength) and UV-C (less than 280 nm in wavelength). The inhibitory degree on plant height, shoot and root weight and length of leaf blade and leaf sheath were determined at 40 days after seeding. UV-C showed the most severe inhibitory effect on the degree of biomass gain and leaf growth in most cultivars examined, followed by high UV-B and low UV-B. Among the cultivars used, the Kuemobyeo was the most sensitive cultivar and had not repair or showed resistance ability to continued irradiation of UV radiation. However, Janganbyeo and Jaekeon showed different responses that the elongation of leaf blades was promoted on 2nd and 3rd leaves and inhibited on 4th and 5th leaves but this inhibitory degree was reduced on 6 th and 7th leaves. Such tendency on leaf growth means that both cultivars had low sensitivity and most resistant ability to continued irradiation of UV radiation. While Tongil showed different response to enhanced UV radiation, ie., low UV-B promoted leaf growth but the inhibitory was severely increased by continued irradiation of high UV-B and UV-C, which means that Tongil had high threshold of UV radiation for response as an inhibitory light of plant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differences on sensitivity or resistant to the effects of UV radiation were existed among Korean rice cultivars.

  • PDF

Participation of central GABAA receptors in the trigeminal processing of mechanical allodynia in rats

  • Kim, Min Ji;Park, Young Hong;Yang, Kui Ye;Ju, Jin Sook;Bae, Yong Chul;Han, Seong Kyu;Ahn, Dong Kuk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1권1호
    • /
    • pp.65-74
    • /
    • 2017
  • Here we investigated the central processing mechanisms of mechanical allodynia and found a direct excitatory link with low-threshold input to nociceptive neurons.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30-280 g. Subcutaneous injection of interleukin 1 beta ($IL-1{\beta}$) ($1ng/10{\mu}L$) was used to produce mechanical allodynia and thermal hyperalgesia. Intracisternal administration of bicuculline, a gamma aminobutyric acid A ($GABA_A$) receptor antagonist, produced mechanical allodynia in the orofacial area under normal conditions. However, intracisternal administration of bicuculline (50 ng) produced a paradoxical anti-allodynic effect under inflammatory pain conditions. Pretreatment with resiniferatoxin (RTX), which depletes capsaicin receptor protein in primary afferent fibers, did not alter the paradoxical anti-allodynic effects produced by the intracisternal injection of bicuculline. Intracisternal injection of bumetanide, an Na-K-Cl cotransporter (NKCC 1) inhibitor, reversed the $IL-1{\beta}$-induced mechanical allodynia. In the control group, application of GABA ($100{\mu}M$) or muscimol ($3{\mu}M$) led to membrane hyperpolarization in gramicidin perforated current clamp mode. However, in some neurons, application of GABA or muscimol led to membrane depolarization in the $IL-1{\beta}$-treated ra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large myelinated $A{\beta}$ fibers gain access to the nociceptive system and elicit pain sensation via $GABA_A$ receptors under inflammatory pain conditions.

통합된 이진화 구조를 가진 복합기용 1-Chip 영상처리 프로세서의 개발 (Single chip multi-function peripheral image processor with unified binarization architecture)

  • 박창대;이을환;김재호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6S권11호
    • /
    • pp.34-4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복합기에 사용할 수 있는 고속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된 영상 처리 프로세스는 단일화 된 데이터 경로를 가진 이진화 알고리듬 아키텍쳐를 가진다. 외부 메모리 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화소별 파이프라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쉐이딩 보정, 감마 보정, 자동이득조절과 같은 전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CCD와 CIS를 구동한다. 전처리된 데이터는 확대/축소 과정을 거치고 다양한 이진화 알고리듬에 의해 이진화된다. 내장된 이진화 알고리듬은 단순이진화, 고대역 통과 필터링, 디더링, 오차확산법, 임계값이동 오차확산법이다. 이들 알고리듬의 구현은 임계값 이동 오차확산법에 기반을 두고 동일한 동작을 하는 회로들을 공유하도록 데이터 경로를 설계하였다. 이 구조를 구현함에 의해 제어의 복잡도와 게이트 카운터를 줄일 수 있다.

  • PDF

보통 포틀랜드 콘크리트 기반 교면포장 재료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Bridge Deck Materials based on Ordinary Portland Cement Concrete)

  • 남정희;전성일;권수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29-137
    • /
    • 2017
  •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ridge deck concrete materials based on ordinary Portland cement concrete,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materials through material properties tests. METHODS : For field implementation, raw material (cement, fine aggregate, and coarse aggregate) properties, fresh concrete properties (slump and air content), strength (compressive, flexural and bond strength) gain, and durability (freeze-thaw resistance, scaling resistance, and rapid chloride penetrating resistance) performance were evaluated in the laboratory. RESULTS : For the selected binder content of $410kg/m^3$, W/B = 0.42, and S/a = 0.48, the following material performance results were obtained. Considering the capacity of the deck finisher, a minimum slump of 150 mm was required. At least 6 % of air content was obtained to resist freeze-thaw damage. In terms of strength, 51.28 MPa of compressive strength, 7.41 MPa of flexural strength, and 2.56 MPa of bond strength at 28 days after construction were obtained. A total of 94.9 % of the relative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after 300 cycles of freeze-thaw resistance testing and $0.0056kg/m^2$ of weight loss in a scaling resistance test were measured. However, in a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test, the result of 3,356 Coulomb, which exceeds the threshold value of the standard specification (1000 Coulomb at 56 days) was observed. CONCLUSIONS : Instead of using high-performance modified bridge deck materials such as latex or silica fume, we developed an optimum mix design based on ordinary Portland cement concrete. A test construction was carried out at ramp bridge B (bridge length = 111 m) in Gim Jai City. Immediately after the concrete was poured, the curing compound was applied, and then wet mat curing was applied for 28 days. Considering the fact that cracks did not occur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material is considered to be high.

이미지 센서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제거를 위한 영상의 조도에 따른 적응적 로컬 시그마 필터의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adaptive Local Sigma Filter by the luminance for reducing the Noises created by the Image Sensor)

  • 김병현;곽부동;한학용;강봉순;이기동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89-19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적응적 로컬 시그마 필터 장치를 제안하였다. 이미지 센서에 의해 발생하는 작은 노이즈는 이미지 센서의 아날로그 게인과 노출시간의 증가로 인해 영상 정보와 함께 증폭되며 이러한 노이즈 제거를 목표로 시스템을 설계 하였다. Flatness Index Map 알고리즘을 사용해 영상의 윤곽선을 추출하였으며, 임계치가 영상의 휘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하도록 설계하여 고조도 영상에서는 윤곽선 추출을 수행하지 않으며, 저조도에서만 윤곽선을 추출하도록 하였다. 추출된 윤곽선을 판단하여 그에 해당하는 픽셀에 대해서만 Local Sigma Filte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노이즈 제거를 수행 하였다. 설계된 필터의 성능 검증을 위해 윈도우 테스트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HDL을 사용해 하드웨어로 설계하였으며, FPGA Demonstration board와 $1280{\times}720$ 이미지 사이즈, 30 frame/sec의 성능을 갖는 HD급 CMOS 이미지 센서를 사용해 하드웨어로 설계된 로컬 시그마 필터의 동작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