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VM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Mobile Game Programming based on GVM (GVM기반의 모바일게임 프로그래밍)

  • 백현옥;김재훈;남윤성;이재욱;조태경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5 no.4
    • /
    • pp.292-297
    • /
    • 2004
  • This paper is demonstrated about VM that means a circumstance where a application is no dependence of hardware and GVM which is selected by SKT as flatform, thus we developted portris-mobile game based on GVM. this game was embodied(actualized or given to actualized form) by Mobile C and process procedure of Event Drivnen type game that is a characteristic of Mobile C is showed by flowchart.

  • PDF

A transformation process of GVM application program based on from Mobile C to Java (Mobile C 기반의 GVM 응용프로그램을 Java 기반으로 변환하는 Process)

  • 신수원;최윤석;정기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103-10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Mobile C 언어 기반으로 만들어진 GVM 응용프로그램을 자바 기반의 모바일 응용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절차를 제안한다. 자바 기반으로 변환된 모바일 프로그램은 높은 확장성 및 새로운 기능 추가의 용이함을 기대할 수 있다. GVM에서 자바 기반으로의 변환을 위해 필요한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구조로 응용프로그램을 변환하기 위한 6개의 단계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변환절차는 GVM 코드의 재사용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재사용을 통해 개발시간과 변환시간을 단축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Mobile Chinese Dictionary Using GVM and MobileC (GVM과 MobileC를 이용한 모바일 옥편의 구현)

  • 김필진;윤성림;오세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658-660
    • /
    • 2002
  •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컴퓨터뿐만 아니라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한 인터넷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l]. 이에 웹상에서 제공받던 교육용 컨텐츠를 모바일상에서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교육용 모바일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2]. 본 논문에서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하여 다운로드 솔루션을 채택한 GVM(General Virtual Machine)상에서 실행되는 교육용 모바일 옥편을 설계하고 MoibleC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제작 과정을 통해 단말기의 제한적 환경에서 교육용 컨텐츠의 효과적인 개발 모델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Mobile Game Programming Using GVM and MobileC (GVM과 MobileC를 이용한 모바일 게임 프로그래밍)

  • Kim, Pil-Jin;Nam, Dong-Geun;Oh, Se-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63-166
    • /
    • 2002
  • 컴퓨터 게임의 발달은 오프라인 PC 게임에서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온라인 게임으로 발전하였다. 그 후 인터넷 환경은 유선 환경뿐만 아니라 무선 환경에서도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 서비스가 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다. 그러나 적은 메모리와 낮은 수준의 처리능력을 가지고 있는 제한적인 모바일 환경의 특성으로 유선 인터넷에서와 같이 멀티미디어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제공 및 인터렉티브한 모바일 게임이 어려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기반으로 하여 다운로드 솔루션을 채택한 GVM(General Virtual Machine)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모바일 게임을 설계하고 MobileC 언어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모바일 게임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서 단말기의 제한적인 실행환경에서 최대한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개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GVM은 무선 단말기 상에서 동적인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기계 플랫폼이다.

  • PDF

Han fling the Language Dependent Features for Translating Java Bytecode to GVM Code (자바 바이트코드를 GVM 코드로 번역하기 위한 언어적 특성 처리)

  • 고영관;고석훈;오세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337-339
    • /
    • 2002
  • 휴대용 무선기기의 성능 향상과 동적인 응용프로그램 실행의 필요성에 따라 모바일 응용프로그램은 기존의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제작 방법에서 가상기계(Virtual Machine)를 탑재하여 실행하는 가상기계애플리케이션 제작 방법으로 변환하였다. 가상기계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은 플랫폼 독립적인 실행이 가능하며 또한 효과적인 다운로드 솔루션을 통한 동적인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배경으로 KVM과 CVM(General Virtual Machine)등의 가상기계가 출현하였다. 그러나 각 플랫폼에서 맞는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호환되지 않으므로 가상기계 언어간의 번역을 통해 목적 가상기계에서의 실행이 요구되며 자바 바이트코드를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GVM 코드로 번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KVM에서 실행가능한 자바 바이트코드를 CVM에서 실행하기 위해 바이트코드를 GVM코드인 SAL(Sinji Assembly Language)로 번역하는 번역기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위해 자바의 언어 독립적 특성 외에 언어 의존적인 특성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며 언어 의존적인 특성을 배열과 문자열, 클래스와 객체, 예외, 스레드로 분류하여 처리한다.

  • PDF

A Study on Mobile Game Programing based on GVM (GVM기반의 모바일게임 프로그래밍)

  • Pack Hyun-Ok;Kim Jae-Hun;Nam Yun-Sung;Lee Jae-Wook;Cho Tae-Ky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06a
    • /
    • pp.189-19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하드웨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실행될 수 있게 한 환경을 의미하는 VM(Virtual Machine)과 SKT에서 채택한 플랫폼인 GVM의 기술내용을 조명하고, GVM을 기반으로 한 포트리스 모바일 게임을 개발하였다. 게임은 모바일 C로 구현하였으며, 모바일 C의 특징인 Event Driven방식 게임의 실행과정을 flowchart로 나타냈다.

  • PDF

GVM SAL Code Optimization (GVM SAL 코드 최적화)

  • Kim, Eun-Kyoung;Yun, Sung-Lim;Oh, Se-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25-628
    • /
    • 2004
  • GVM(General Virtual Machine)은 무선 단말기 상에서 동적인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가상 기계(Virtual Machine) 플랫폼이다. 가상 기계를 이용한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은 플랫폼 독립적인 실행이 가능하며 또한 효과적인 다운로드 솔루션을 통한 동적인 실행이 가능하다. GVM은 SGS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되는 시스템이므로, 성능의 저하없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최적화와 실행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SGS 파일이 시스템 리소스의 제한이 큰 무선 단말기 상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 SAL 코드에 대한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SAL 코드 최적화 단계를 수행한 GS 파일은 부분적으로 SGS 파일의 최적화를 가져와 전체 SGS 파일의 크기를 줄이고, 실행될 때 수행 속도 면에서 좀 더 빠른 실행 속도를 가지게 된다. 존재하는 최적화 방법론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SAL 코드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화 방법론을 제시하고, 최적화된 SAL 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 최적화기에 관하여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Novel Graphene Volatile Memory Using Hysteresis Controlled by Gate Bias

  • Lee, Dae-Yeong;Zang, Gang;Ra, Chang-Ho;Shen, Tian-Zi;Lee, Seung-Hwan;Lim, Yeong-Dae;Li, Hua-Min;Yoo, Won-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120-120
    • /
    • 2011
  • Graphene is a carbon based material and it has great potential of being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lectronics, optics, and mechanics. In order to develop graphene-based logic systems, graphene field-effect transistor (GFET) has been extensively explored. GFET requires supporting devices, such as volatile memory, to function in an embedded logic system. As far as we understand, graphene has not been studied for volatile memory application, although several graphene non-volatile memories (GNVMs) have been reported. However, we think that these GNVM are unable to serve the logic system properly due to the very slow program/read speed. In this study, a GVM based on the GFET structure and using an engineered graphene channel is proposed. By manipulating the deposition condition, charge traps are introduced to graphene channel, which store charges temporarily, so as to enable volatile data storage for GFET. The proposed GVM shows satisfying performance in fast program/erase (P/E) and read speed. Moreover, this GVM has good compatibility with GFET in device fabrication process. This GVM can be designed to be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in serving the logic systems application. We demonstrated GVM with the structure of FET. By manipulating the graphene synthesis process, we could engineer the charge trap density of graphene layer. In the range that our measurement system can support, we achieved a high performance of GVM in refresh (>10 ${\mu}s$) and retention time (~100 s). Because of high speed, when compared with other graphene based memory devices, GVM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a strong contender for future electrical system applications.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VM C-to-WIPI Java Converter for a Mobile Contents Reuse (모바일 콘텐츠의 재사용을 위한 GVM C-to-WIPI Java 변환기의 설계 및 구현)

  • Park, Sang-Hoon;Kwon, Hyeok-Ju;Kim, Young-Koun;Lee, Ya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717-720
    • /
    • 2006
  • 한국 국내에는 GVM(GNFX), WIPI, BREW, MIDP 등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이 존재하고 있으며, 각 이동통신사별로 서로 다른 플랫폼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발자는 하나의 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각 이동통신사들의 플랫폼에 맞추어서 다양한 버전의 콘텐츠를 개발하거나, 개발된 콘텐츠를 다른 플랫폼에 이식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변환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콘텐츠 서비스를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있으며, 모바일 사용자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텐츠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변환해주는 콘텐츠 자동 변환기 시스템을 연구하였고, GVM 콘텐츠를 WIPI Java 콘텐츠로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GVMC-to-WIPI Java 변환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변환기는 한번 개발한 콘텐츠를 단기간 내에 다른 플랫폼의 콘텐츠로 변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콘텐츠를 다른 플랫폼으로 이식하기 위한 개발 기간 및 비용을 단축시켜 준다. 또한, 모바일 사용자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Protocol for Mobile On-line Conents in GVM Development Environment (GVM 개발환경에서 모바일 온라인 컨텐츠를 위한 프로토콜)

  • 김승훈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7 no.2
    • /
    • pp.241-250
    • /
    • 2004
  • In this paper, an application layer protocol between sewer and client is proposed for mobile on-line contents in heterogeneous distributed environments. The proposed protocol guarantees the global state consistency in the distributed environments and controls the flow of communication. The protocol reduces the overhead of handsets for flow control and does not need to maintain state information for contents. CPs, by using the proposed sealable protocol, can easily develop their contents as application proces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