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TH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17초

고강도 시멘트 복합체의 배합조건에 따른 압축강도 발현 특성 (Characteristics of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of High Strength Cement Composites Depending on Its Mix Design)

  • 정연웅;오성우;조영근;정상화;김주형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585-59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시멘트 복합체의 배합조건에 따른 압축강도 발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물/결합재비, OPC 대비 실리카 흄의 함량 및 단위 결합재량을 변수로 총 64개의 배합조건과 2종류의 양생 조건으로 배합실험 및 압축강도 측정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인 OPC 콘크리트와 유사하게 물/결합재비의 증가는 고강도 시멘트 복합체의 압축강도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온 양생 시편의 경우 재령일에 따른 압축강도 증가가 뚜렷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고온 양생을 실시하는 경우 재령일에 따른 압축강도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OPC 대비 실리카 흄의 함량이 25%에서 15%로 낮아지는 경우 강도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15%에서 0% 감소하는 경우 뚜렷한 강도 감소가 식별되며, 물/결합재비가 낮은 경우 이러한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위 결합재량의 840kg/m3인 경우 압축강도 발현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리카 흄 함량이 낮은 경우 단위 결합재량 감소에 따른 압축강도 저하가 뚜렷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번식주기에 있어서 자성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 뇌하수체의 생식소자극호르몬 분비세포와 난형성에 특이하게 작용하는 내분비물질 및 혈장성분의 연중변화 (Annually Reproductive Cycles of Gonadotropic Cells, Endocrine Materials and Plasma Components in Special Relation to Oogenesis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윤종만;김계웅;박관하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1호
    • /
    • pp.19-35
    • /
    • 2001
  • 계절성 번식기 동안에 자성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의 혈장내 $estradiol-17\beta$, 혈장성분, 전기영동상 그리고 미세구조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정상적인 자연조건에서 혈장내 $estradiol-17\beta$는 난황형성기(vitellogenic season)말인 9월에 peak를 나타내었고, 산란이 이루어진 시기 이후인 12월에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난소의 재형성 초기인 2월과 3월에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estradiol-17\beta$의 변화 추이를 볼 때 이 호르몬은 자성 무지개송어에서 혈장내 calcium, phosphorus, glucose, albumin및 total protein수준의 증가에 의해서 증명된 것과 같이 난황전구물질(vitellogenin)의 생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tematuring단계 혹은 산란중인 난모세포의 전기영동상(분자량이 각각 약 70,000과 200,000 Da)은 late perinucleolus단계의 난모세포의 전기명동상보다 훨씬 두껍고 진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단백질 2개의 전기영동상은 $estradiol-17\beta$ 호르몬 peak와 일치하는 추이를 나타내면서 SDS-PAGE에서 확인되었다. 생식소 숙도지수 일명 성성숙지수, [gonadosomatic indices(GSI)]는 10월로부터 그 이듬해 1월까지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성숙난자의 급격한 수적인 증가와 일치하면서 1월에 가장 높은 peak를 나타내었다. 산란 전단계에서 estradiol-17 수준과 CSI간에는 정 (+)의 상관관계 (r=0.701, p<0.01)를 나타내었고, 간숙도지수 [hepatosomatic index (HSI)]는 번식시기인 12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번식시기 (12월)에 생식소 자극호르몬 분비세포(gonadotropes)는 granules와 globules와 같은 생식소자극호르몬을 포함한 봉입체로 가득찬 상태를 나타내었다. 난황형성기에는 late perinucleolus 난모세포가 난황의 축적을 통해서 early maturing난모세포로 변형되는 과정이며, 이 시기의 난모세포는 late maturing단계로 되면서 난황으로 완전히 가득찬 상태로 확인되었다. 핵이주 단계에 있는 난모세포의 과립막세포의 미세구조를 살펴보면 팽창된 조면 내형질세망과 tubular cristae가 있는 간상의 미토콘드리아로 구성되어 있었다. 방사대 (zona radials)와 난황막 사이에 있는 미세융모(finger-like projections)는 각각 성장하면서 난황형성기에 pore canals을 이루면서 서로 연결되나, 난성숙기에 방사대가 더욱더 치밀하게 되면 수축되어 봉쇄되면서 위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방사대는 외측에 않은 homogeneous layer와 내측에 2개의 두꺼운 helicoidal layers (zona radiata interna and zona radials externa)총 3개의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정상적인 환경조건에서 볼 때 난포는 난형성과 생식소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흐르몬의 생성에 충분할 만큼 조직의 발달과 호르몬의 주기적인 분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재미 한국 유배우 부인의 재생산주기 (초경-재경)에 관한 연구

  • 박선화;김응익;최명희;서경만
    • 한국인구학
    • /
    • 제14권1호
    • /
    • pp.55-69
    • /
    • 1991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figure out the status of reproductive health and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maternal health for Korean-Americans living in Los Angeles. We collected data from the married women who wanted no more additional child birth and were attending the Family Planning Clinic of Koryo Health Foundation in Los Angeles during 1988. There were 494 women met the eligibility requirement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1. In the age distribution of the women who desired no more additional child birth, women 30-34 age group constituted the largest proportion at 36.6 percent ; the mean age of women was 35.1915.55. The mean number of child birth was 1.77, and the proportion of the women by number of child birth were 35.2 percent for one children, 50.1 percent for two children 10.5 percent for three children, and 2.6 percent for four children. All of the women experienced pregnancy at least once, and mean number of pregnancy was 3.42. The mean number of total experience of induced abortion was 1.56. and 76.7 percent of these women had experience with induced abortions. To prevent further pregnancies, 90.1 percent of the women were utilizing the contraceptive methods, and the highest proportion by the contraceptive methods was condoms(53.7%), 9.3 percent in spermicides, 8.7 percent in IUDs, 8.7 percent in rhythm method, and 6.9 percent in oral pills. 2. The mean age of women at each stage of reproductive life cycle were 14.74 years at time of menarche, 24.55 years at time of marriage, 26.60 years at time of the first child birth, and 28.75 years at time of the last child birth. In age distribution of the women by birth cohort (Group I : birth cohort 1940-1954, Group H : birth cohort 1955-1970), the mean menar-cheal age of the women was 14.96 years in group I , and 14.53 years in group H . Mean age at time of marriage was 25.01 years in group I and 24.08 years in group H . Mean child birth age of the women by birth cohort was 27.19 years In group I and 26.01 years in Group II for the first child birth and 30.07 years in group I and 27.45 years in group II for the last child birth. The total length of reproductive life cycle from menarche to menopause (presumed to be at 49 of age years) was 34.26 years. The len-gth of phase I (from menarche to marriage) was 9.81 years, while phase H (marriage to first birth) was 2.05 years, and phase Ill (first birth to last birth) was 2. 15 years, and the last phase of reproductive life cycle, phase IV (last birth to menopause) was 20.25 years. The proportion of each phase 10 total length of reproductive life cycle was 28.6 percent, 6.0 percent 6.3 percent, and 59.t percent respectively. In the tendency of each phase in reproductive life cycle by birth cohort (group I , U ), the length of phase I, II , III of birth cohort group II was diminish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birth cohort group I , but the length of phase IV was extended by 2.38 years. 3. Among the women, the mean number of total pregnancy by birth cohort group was 2.01 in group I and 1.10 in Group II, and mean number of child birth was 1.97 in group I and 1.58 in group II. In terms of pregnancy was-tage rate by birth cohort group, among the total pregnancy of birth cohort group I , 51.8 percent of the cases resulted in induced abortions or spontaneous abortions whils 48.2 percent resulted in live births, and 42.2 percent or total pregnancy in group II resulted in pregnancy wastage and 57.8 percent of the cases resulted in live birth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