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DENSITY

검색결과 3,770건 처리시간 0.028초

사육 밀도와 개체 크기에 따른 북방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의 성장과 이동 특성 (Analysis of the Effects of Stocking Density and Individual Size on the Growth and Movement Characteristics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장현석;최미진;오영대;임한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541-548
    • /
    • 2023
  • Behavior serves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stressors on organisms. In this study, one-year-ol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15.1±0.8 mm) were used and each 0.34 m2 tank was stocked with 100, 150, 200, 250, and 300 juvenile abalone. After 328 days, we found that the low stocking density treat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rowth, whereas the high stocking density treatment showed significantly lower growth. In addition, abalone showed a lower rate of movement, distance moved, and velocity at higher stocking densities, but only velocity differed significantly. In contrast, In the Supplied the feed tank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oving distance and velocity. When the two groups of different sizes were mixed in tank, the rate of movement, distance moned, and veloc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ly-sized indivisuals. Our study indicates that breeding abalone at high densitie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ir growth and survival, which is thought to primarily be caused by spatial competition, and secondarily by differences in body size, ultimately affecting growth and productivity.

저밀도 경제 논의와 주변부 지역 산업 성장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Growth in the Peripheral Areas Based on Low-density Economics)

  • 정도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83-599
    • /
    • 2022
  • OECD는 저밀도 경제 논의에서 저밀도 지역의 경제 성장이 금융위기 이 후 회원국들의 국가 경제 회복을 견인했음을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저밀도 경제 논의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주변부 지역의 산업 성장 추이와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농림어업 등 주변부 지역에 입지하는 전통적인 산업 외에도 국가적으로 성장하는 제조업, 서비스업 부문의 성장이 주변부 지역에서 나타났다. 기존 지역 산업의 다각화와 전환을 통해 새롭게 산업이 집적하는 지역도 출현했다. 주변부 지역에 입지한 기업들은 지역의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해 외부 지역, 주로 광역권 단위의 공간 연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변부 지역의 새로운 산업 출현은 농어촌, 인구감소 지역 등 낙후 지역의 자생적 발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주변부 지역의 산업 육성을 위해, 기존 지역산업의 다각화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추진, 유연한 공간 단위 설정, 정책 부문 간 연계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벼 육묘상자를 이용한 돌나물 재배에서 삽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of Sedum sarmentosum as Affected by Planting Density in Cultivation System Using a Rice Nursery Tray)

  • 김효진;이승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96-202
    • /
    • 2008
  • 무가온 하우스에서 벼 육묘상자($30{\times}60{\times}3\;cm$)를 이용한 고품질 돌나물 생산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완주 및 금산지역종을 재료로 육모상자당 40, 60, 80개체씩 9월7일에 삽식한 다음, 월동전후 두 지역종간 생육특성과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삽식후 60일째에 초장과 줄기수는 삽식밀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두 지역종의 잎장과 식물체 당 곁가지 수는 40개체보다 80개체 밀식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월동후 1차 수확시(4월 20일), 금산 지역종의 생육은 삽식밀도간 차이가 없었으나, 완주 지역종의 줄기직경, 줄기당 마디수와 잎수 등은 40개체 삽십보다 80개체 삽식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두 계통 모두 삽식밀도간 차이가 없었으나, 완주지역종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차 수확시(6월 5일)의 생육은 두 지역종 모두 총 줄기수에서만 40개체 삽십보다 80개체 삽식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금산 지역종에서 40개체 삽십보다 60개체 삽식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완주 지역종의 건물중이 금산 지역종보다 높았다. 완주 지역종은 줄기가 두껍고 마디가 짧으며, 잎이 크고 웃자라지 않아, 수량성이 금산 지역종보다 높았다. 따라서 무가온 하우스에서 벼 육묘상자를 이용한 돌나물 재배시 완주 지역종이 금산 지역종보다 적합하였으며, 재식밀도는 상자당 40개체가 적당하였다.

Growth characteristics comparison per planting density on the waxy corn early-planting culture for the paddy field in the southern province

  • Kim, Yong-Soon;Choi, Jin-Gyung;Kim, Dong-Kwan;Park, Heung-Gyu;Kim, Myeong-Seok;Kim, Hyun-Woo;Kim, Sung-IL;Kim, Sang-Yeol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88-88
    • /
    • 2017
  •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growth characteristics comparison per planting density on the waxy corn early-planting culture for the paddy field in the southern province of south Korea. The cultivation period of early-planting culture for the paddy farming of the waxy corn are sown on February 15, 2016years, transplanting March 15 and harvest June 20. And it grew 126 days. The weather change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period of unheated plastic house early-planting culture, it was average temperature $14.6^{\circ}C$ and humidity 62.5%. And the temperature was 5.6 degrees Celsius warmer compared with the outsid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was 0.7 percent higher tendency. At the growth per planting density of waxy corn, culm length was average 224cm, the more it is high density culture the more was high trend. Stem diameter and ear length the more it is high density culture the more was lowed trend. The node number of $60{\times}20Cm$ was 12 nodes, fruit seting 5.7 nodes, tasseling number 94 days and silking number 96 days. In the ear characteristics per planting density, the size of ear length, seed setting length, ear width and ear weight the more planting density is high the more lowed that trend. The commodity percentage of planting density $60{\times}35Cm$ was the highest among other treatment as 69.1%. But, marketable yield was the highest planting density of $60{\times}20Cm$ as 4,543 ears/10a, and appeared in order $60{\times}25Cm$ 95%> $60{\times}30Cm$ 93%> $60{\times}35Cm$ 92%. The planting density on the waxy corn early-planting culture for the paddy farming in the southern province, the planting density analyzed to be effective planting of over 25% than normal season culture.

  • PDF

강원도 석탄 폐광지 주변 폐석더미에서 복토와 식생기반재 처리가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와 참싸리(Lespedeza cyrtobotrya Miq.)의 경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Covering Depth and Vegetation Base Materials on the Competition between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and Lespedeza cyrtobotrya Miq. at Abandoned Coal Mine Land in Gangwon, Korea)

  • 이궁;임주훈;김정환;이임균;정용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9-107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oil covering depth and vegetation base materials on the competition between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and Lespedeza cyrtobotrya Miq., which were grown in an abandoned coal mine land for three years after seeding, by comparing their growth and stem density. The study site was consisted of sub-plots with four different soil covering depths (0cm, 10cm, 20cm, and 30cm) and four different compounds of vegetation base materials (peat moss (control), soil conditioner+peat moss (S+P), erosion control material+peat moss (E+P), and soil conditioner+erosion control material+peat moss (S+E+P)).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opposite pattern between P. densiflora and L. cyrtobotrya with different soil covering depth and compounds of vegetation base materials in general. P. densiflora showed the highest growth and stem density in plots with 10cm and 0cm depths of soil covering, respectively, while the lowest was shown in plots with 20cm depth of soil covering. In contrast, L. cyrtobotrya showed the highest growth and stem density in plots with 20cm depth of soil covering, while the lowest was shown in plots with 0cm depth of soil covering. In case of vegetation base materials, P. densiflora showed the highest growth and stem density in control plots and plots treated with S+P, respectively, while the lowest was shown in plots with S+E+P treatment. On the other hand, L. cyrtobotrya showed the highest growth and stem density in plots treated with S+E+P, while the lowest was shown in control plots. These results suggested the competition between two plants as a major cause of opposite patterns, which is induced by the suppressed growth and stem density of P. densiflora by fast growing L. cyrtobotrya. Despite the suppression of L. cyrtobotrya on P. densiflora, L. cyrtobotrya can play a positive role in improving soil quality, and thus it would be more desirable for restoring abandoned coal mine land to manage the growth of L. cyrtobotrya periodically, rather than eliminate them.

황점볼락, Sebastes oblongus의 자·치어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수온, 사육밀도와 먹이공급 횟수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tocking Density and Feeding Frequency on Survival and Growth in the Oblong Rockfish Sebastes oblongus Larvae)

  • 윤성종;김대현;황형규;송기철;김영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4-159
    • /
    • 2007
  • 수온 내성에서 적정 수온과 고수온 노출시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적정 수온에서 황점볼락 치어 사육 시 수온에 따른 성장 시험은 사육수온 $16^{\circ}C$에서 성장이 좋게 나타났으며(P<0.05), 고수온 노출 실험에서 먹이섭취반응은 $28^{\circ}C$ 실험구에서 먹이섭취반응이 미약하였으나, $27^{\circ}C$ 이하의 실험구에서는 비교적 활발한 경향을 보여 주었다. 밀도별 실험에서 성장은 실험개시 후 30일째부터 성장 차이를 보이기 시작하여, 실험종료 시에는 L당 1마리 수용한 실험구가 가장 성장이 빨랐으며, 반면 가장 고밀도인 250마리 실험구가 성장이 가장 늦게 나타났다(P<0.05). 생존율은 사육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 공급 횟수는 1일 2회 (10:00, 19:00) 사료를 공급한 실험구에서 가장 좋은 성장을 보였고(P<0.05), 생존율도 다른 실험구보다 좋은 72.5%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Growth and Yield of Forage Rice Cultivar 'Yeongwoo' according to Nitrogen Application Amount in Reclaimed Paddy Field

  • Eun-Ji Song;Sun-Woong Yun;Ji-Hyeon Mun;In-Ha Lee;Su-Hwan Lee;Nam-Jin Chu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4호
    • /
    • pp.326-334
    • /
    • 202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al nitrogen concentration level suitable for forage rice growth by hydroponic cultivation in the salinity concentration of 0.1~0.3% which is similar to that of Muan reclaimed paddy field, and based on this results, to estimate optimal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by field experiment in Muan reclaimed paddy for maximum forage production by cultivation of Yeongwoo rice. As a result of the growth response to the salt and nitrogen concentrations in the hydroponic cultivation experiment, the growth amount increased as the nitrogen concentration increased in the range of 0~24 me/L in the absence of salt stress. However, at a salt concentration of 0.1~0.3%, the growth amount was the highest at a nitrogen concentration of 12 me/L, and at higher nitrogen concentrations of that, the rice growth decreased as the nitrogen concentration increased. Therefore, nitrogen concentration of 12 me/L was judged to be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for forage rice growth at salt concentration of 0.1~0.3%, and a nitrogen fertilization amount level corresponding to a nitrogen concentration of 12 me/L was actually applied to the Muan reclaimed paddy field for forage rice cultivation during two years. The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was tested with three treatments, which are 18 kg/10a considered appropriate, and 1.5 times and 2 times of the appropriate amount, and the planting density was tested with 2 treatments of 15 hills/m2 and 26 hills/m2. As a result of the reclaimed paddy field experiment, the yield was the highest when nitrogen fertilizer was applied at 18 kg/10a in the planting density of both treatments. Looking at the yield according to planting density, the high planting density plot yielded higher than the low planting density plot. In other words, when the planting density was 26 hills/m2 and the nitrogen fertilization amount was 18 kg/10,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of 1,763 kg/10a was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hydroponics and reclaimed field experiments, we could conclude that the productivity of forage rice decreased more as the nitrogen concentration increased when the nitrogen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the optimal level under salt stress.

먹이영양과 물만들기에 따른 붉은쏨뱅이(Sebastiscus tertius) 자어의 성장과 생존 (Effects of Feed Nutrition and Green Water on Growth and Survival of Red Marbled Rockfish(Sebastiscus tertius) Larvae)

  • 김철원;정달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3권1호
    • /
    • pp.115-129
    • /
    • 2011
  • 붉은쏨뱅이의 인공종묘생산을 위하여 자어의 성장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먹이생물의 영양학적인 측면과 수질안정을 위한 첨가물들의 농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영양가치가 다른 먹이생물로 rotifer를 배양하여 자어에게 공급하였을 때 농축 Chlorella로 배양된 rotifer를 공급하였을 때 전장의 성장이 11.90 mm로 가장 좋았으며 생존율은 유지효모로 배양한 rotifer를 공급한 실험구가 47.0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Rotifer를 영양강화 시킨 후 먹이로 공급하였을 때의 super selco로 영양강화시킨 실험구에서 전장과 체중이 각각 13.0 mm, 12.7 mg로 가장 좋은 성장을 보였으며 생존율도 48.0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rtemia의 경우는 다른 실험구와 성장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생존율에서는 super selco로 영양강화한 실험구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먹이종류에 따른 자어의 성장은 rotifer+Artemia+배합사료를 공급한 실험구에서 전장과 체중이 각각 18.4 mm와 18.1 mg으로 가장 좋았고, 생존율에 있어서는 rotifer+Artemia 실험구가 5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물만들기는 Chlorella 농도가 10×105 cells/ml인 실험구에서 전장과 체중 성장이 각각 11.83mm와 14.3mg로 나타나 가장 효과적이였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존율은 20×105 cells/ml 실험구에서 5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SB의 첨가 효과는 PSB 농도가 15×105 cells/ml 실험구에서 전장과 체중이 각각 13.98mm와 13.15mg으로 가장 좋았으며 생존율은 PSB 농도 10×105 cells/ml 실험구에서 61.0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적(無機的) 환경요인(環境要因) 잣나무 유묘(幼苗)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IX) -이식상(移植床)에서의 묘중(苗重) 생장(生長) 및 T/R율(率)- (Effect of Inorganic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Pinus koraiensis Seedlings(IX) -The Influence of Seedling Weight Growth and T/R Ratio of Seedlings in Transplanting Bed-)

  • 김영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4호
    • /
    • pp.414-420
    • /
    • 1988
  • 피음처리(被陰處理)된 잣나무 유묘(幼苗)를 이식상(移植床)에 옮겨 광도(光度) 및 식재밀도(植栽密度)의 일부(一部)를 규제(規制)한 조건(條件) 하(下)에서 생육(生育)시킨 묘목(苗木)의 중량생장(重量生長)과 T/R 율등(率等)에 관(關)해 조사(調査) 하였던 바 그 분석(分析)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묘목(苗木)의 중량생장(重量生長)은 광도(光度) 및 식재밀도처리(植栽密度處理) 그리고 시간별(時間別) 생장(生長)의 경우 상대광도(相對光度) 100%구(區)와 식재밀도(植栽密度) $6{\times}6$본(本)(36 본(本)) 구(區)가, 그리고 5월(月) 26일(日)에서 6월(月) 25일간(日間)의 시기(時期)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이들의 생장양상(生長樣狀)은 광도(光度)가 점차(漸次)로 낮아 지거나 밀도(密度)가 높았을 때, 그리고 생유초기(生有初期)는(5월(月) 26일(日)~6월(月) 25일(日))로부터 점차(漸次) 늦어짐에 따라 묘목(苗木)의 중량생장(重量生長)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3. T/R율(率)에 있어서는 광도(光度)의 경우 상대광도(相對光度) 63%구(區)가, 그리고 식재밀도(植栽密度)는 $12{\times}12$본(本)(224본(本)) 구(區)가 가장 높았고 시기별(時期別)로는 7월(月) 26일(日)에서 8월(月) 25일(日) 사이에 가장 높았다.

  • PDF

유기질개량재에서 폴리머,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 성분이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olymer, Calcium, Perlite and Chitosan in Organic Amendment on Growth in Kentucky Bluegrass)

  • 김경남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9-28
    • /
    • 2014
  • 본 연구는 유기질 토양개량재(SOA, soil organic amendment)에서 폴리머(WSP, water-swelling polymer),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 성분이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 공원, 잔디구장 및 골프장 조성 시 이들 소재를 이용한 혼합개량재를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다. 전체 24개 처리구는 SOA 유기질개량재에 WSP 중합체,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을 이용하여 준비하였다. 온실에서 자란 켄터키 블루그래스에서 WSP 중합체,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 성분에 따른 잔디생존력, 피복율, 잔디밀도 및 지상부 생장을 조사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파종후 1주 간격으로 조사한 발아율, 잔디밀도 및 초장은 이들 성분에 따라서 경시적인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SOA 유기물개량재에서 피복율 및 잔디밀도에 대한 폴리머 효과는 WSP 중합체 혼합비율이 0~3% 사이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생존력 및 엽 생장의 경우 WSP 중합체 혼합비율은 0~6% 사이가 적절하였다. 그리고 SOA 유기질개량재에 혼합한 칼슘, 펄라이트 및 키토산 성분 중 칼슘 및 펄라이트가 일반적으로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장에 효과적이었으며, 키토산은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존력에 가장 효과적인 성분은 칼슘이었고, 반면 잔디밀도는 펄라이트 성분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키토산 성분은 생존력 및 잔디밀도에 거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지상부 엽 생장에 대한 효과는 펄라이트 > 칼슘 > 키토산 성분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키토산 성분은 초기 발아효과는 빠르게 나타났지만, 지상부 엽 생장은 파종 3주까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이러한 결과는 향후 실무에서 식재층 지반 조성 시 적용할 수 있는 모래+토양개량재 혼합구 조건에서 추가 생육검정 실험을 통해 이들 성분을 이용한 토양개량재의 개발 및 실무 응용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