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Growth in the Peripheral Areas Based on Low-density Economics

저밀도 경제 논의와 주변부 지역 산업 성장의 특성

  • Received : 2022.12.10
  • Accepted : 2022.12.28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According to the discussion on the low-density economy in OECD industrial growth in remote area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members'economic recovery from the financial crisis in the mid-2000s. Based on the OECD's low-density economy this study examines the phenomena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growth in peripheral areas of Korea. The growth of industries in the peripheral areas shows a similar growth characteristics as cases in the OECD members. Various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s as well as traditional sectors such as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have grown in the peripheral areas since the mid-2000s. Firms in the peripheral areas form various cooperative networks to overcome the unfavorable regional conditions. The growth of new industries shows the possibility of path-dependent development in the peripher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n the policies for supporting the diversification of regional industries, setting flexible regional boundaries for policies, and linking policy sectors are derived.

OECD는 저밀도 경제 논의에서 저밀도 지역의 경제 성장이 금융위기 이 후 회원국들의 국가 경제 회복을 견인했음을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저밀도 경제 논의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주변부 지역의 산업 성장 추이와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농림어업 등 주변부 지역에 입지하는 전통적인 산업 외에도 국가적으로 성장하는 제조업, 서비스업 부문의 성장이 주변부 지역에서 나타났다. 기존 지역 산업의 다각화와 전환을 통해 새롭게 산업이 집적하는 지역도 출현했다. 주변부 지역에 입지한 기업들은 지역의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해 외부 지역, 주로 광역권 단위의 공간 연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변부 지역의 새로운 산업 출현은 농어촌, 인구감소 지역 등 낙후 지역의 자생적 발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주변부 지역의 산업 육성을 위해, 기존 지역산업의 다각화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추진, 유연한 공간 단위 설정, 정책 부문 간 연계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9년 수행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저밀도 경제 기반의 농촌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내용 일부를 요약·보완하여 작성하였다.

References

  1. 강원도, 2019, '헬스케어 힐링 융합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사업'에 대한 지역발전투자협약(안).
  2. 김광선.하인혜, 2021, 농촌의 기업 입지요인과 기업활동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 김광선.허주녕.유은영, 2018, 비즈니스 시스템 구축을 통한 농촌기업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 김동수.이두희.김계횐, 2011, "지역산업 육성정책에 대한 고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4), pp.467-485. https://doi.org/10.23841/EGSK.2011.14.4.467
  5. 김상욱, 2012, "스마트 전문화, 새로운 지역혁신을 위한 전략," 월간 나라경제 2012년 12월호, pp.76-78.
  6. 김선배.이두희.김윤수.하정석, 2016, 스마트특성화기반의 지역맞춤형 지역산업 육성전략과 과제-스마트 지역혁신생태계(Smart RIES) 구축 방안-, 산업연구원.
  7. 김용렬.정도채.이형용, 2017, 지역단위 6차산업화 활성화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김용학, 2016, 사회 연결망 분석 제4판, 서울: 박영사.
  9. 남기범, 2016, "선택과 집중'의 종언: 포스트클러스터 지역산업정책의 논거와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64-781.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764
  10. 박삼옥.정도채, 2012, "산업클러스터와 정책의 진화-구미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7(2), pp.226-244.
  11. 성주인.박대식.정은미.민경찬, 2015,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1/5년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심재헌.송미령.성주인.정도채.정문수.민경찬, 2017, 미래농촌 정주공간 변화에 따른 지역개발정책 추진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이경진, 2011, "지역자원기반산업의 산업집적지 형성과정과 성공요인: 순창 장류산업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3), pp3.42-357.
  14. 이정협, 2011, 스마트전문화의 개념 및 분석틀 정립,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5. 이종호.이철우, 2016, "스마트전문화 전략 및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와 클러스터 정책의 연계를 통한 대안적 지역산업정책의 모색,"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99-811.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799
  16. 전라북도, 2017, 제2차 전라북도 동부권 발전계획(2017-2025).
  17. 전지혜.이철우, 2018,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진화 과정의 특성과 그 동인",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4), pp.303-320. https://doi.org/10.23841/EGSK.2018.21.4.303
  18. 정도채.정유리.김정승.김유나, 2019, 저밀도 경제 기반의 농촌산업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 정도채.심재헌.유은영, 2016, 2016 농어촌의 삶의 질 실태와 주민 만족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 정윤선.변창욱.유이선, 2016, 신생 기업집적지 현황과 성장요인분석, 산업연구원.
  21. 통계청, 각 연도, 전국사업체조사.
  2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9, 지역연고산업육성사업 내부자료.
  23. Foray, D. 2014. "From smart specialisation to smart specialization policy." European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17, pp.492-507. https://doi.org/10.1108/EJIM-09-2014-0096
  24. Giuliani, E. 2007. "The wine industry: persistence of tacit knowledge or increased codification? Some implications for catching-up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Globalisation 3(2-3), pp.138-154. https://doi.org/10.1504/IJTG.2007.014330
  25. Martin, R. 2010. "Roepke Lecture in Economic Geography-Rethinking regional path dependence: beyond lock-in to evolution." Economic Geography 86(1), pp.1-27. https://doi.org/10.1111/j.1944-8287.2009.01056.x
  26. Murdoch, J. 2000. "Networks-a new paradigm of rural development?" Journal of Rural Studies 16(4), pp.407-419. https://doi.org/10.1016/S0743-0167(00)00022-X
  27. OECD, 2019. OECD Regional Outlook 2019: Leveraging Megatrends in Cities and Rural Areas, OECD Publishing.
  28. OECD, 2017. OECD Territorial Reviews: Northern Sparsely Populated Areas. OECD Publishing, Paris.
  29. OECD, 2016. OECD Regional Outlook 2016: Productive Regions for Inclusive Societies, OECD Publishing, Paris.
  30. OECD, 2013. Rural-Urban Partnerships: An Integrated Approach to Economic Development, OECD Publishing.
  31. OECD, 2011. OECD Reviews of Regional Innovation - Regions and Innovation Policy, OECD Innovation Strategy.
  32. Rosa Pires, Artur. 2016. Sharpening Innovation Policy to Unlock the Growth Potencial of Low Density Economies. presented in 2016 Regional Helix Conference.
  33. https://www.istans.or.kr/in/newInTab.do?scode=1101 (최종열람일: 2022년 12월 3일).
  34. http://kosis.kr (최종열람일: 2022년 12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