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I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43초

Analysis of Reduction Factors to Creep Deformation of Reinforced Geosynthetics

  • Jeon, Han-Yong;Yuu, Jung-Jo;Mok, Mun-Sung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The Korea-Japan Joint Symposium
    • /
    • pp.104-104
    • /
    • 2003
  • Geosynthetic Reinforcements - membrane drawn type, warp/knitted type, junction bonded type and composite type geogrids, strip type reinforcement - were used to compare the long-term perfor-mance by total factor of safety with reduction factors during service periods. To evaluate the reduction factors, wide-width tensile property, installation damage, creep deformation, chemical and biological degradation tests were performed. Long-term design strengths of geosynthetic reinforcements were calculated by using GRI standard Test Method GG4.

  • PDF

Effect of hydrogen on adsorption of hydrocarbon fragments on graphene

  • Cho, Sangmo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3회(2014년)
    • /
    • pp.464-466
    • /
    • 2014
  •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hydrogen on adsorption of hydrocarbon molecules on graphene with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calculations. In this study, we calculate the binding energies of hydrogen molecule, carbon atom and other hydrocarbon fragments such as CHx (x=1, 2, 3, 4) on graphene to find the most stable adsorption site. Then, to study the effect of hydrogen, we investigate the adsorption of hydrocarbon fragments in the presence of hydrogen atoms on graphene.

  • PDF

Adsorption of carbon atoms on graphene/MgO(111)

  • Min, Kyung-Ah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2회(2013년)
    • /
    • pp.228-231
    • /
    • 201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lectronic and atomic structure of graphene on O-terminated MgO(111) using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calculations. To suggest a possible direction for future band gap engineering of graphene on MgO(111), adsorption of carbon atoms on graphene/MgO(111) is studied by considering the several adsorption sites. Details in adsorption properties of carbon atoms on graphene/MgO(111) are analyzed in terms of energy band structure.

  • PDF

제트 혼합 반응기 내 희박 예혼합 메탄-공기 연소의 NO 생성 예측을 위한 화학 반응기 모델링 (A Chemical Reactor Modeling for Prediction of NO Formation of Methane-Air Lean Premixed Combustion in Jet Stirred Reactor)

  • 이보람;박정규;이도용;이민철;박원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4호
    • /
    • pp.365-373
    • /
    • 2010
  • 제트 혼합 반응기(JSR) 내의 NOx와 같은 배출물질을 예측하기 위해서 화학반응기 모델을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JSR에 대한 화학반응기 모델로서 two-PSR 모델이 채택되었다. CHEMKIN 코드와 4가지 NO 생성 메커니즘을 포함한 GRI 3.0 메탄-공기 연소 메커니즘을 이용해서 JSR내의 희박 예혼합 메탄-공기 연소의 NO 생성예측을 실시하였다. 모델의 검증을 위해서 계산된 결과를 Rutar의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NO 생성의 중요 파라미터와 4 가지 NO 경로의 기여도를 조사하였다. 화염 영역에서는 prompt 메커니즘이 주된 경로이고, 화염후영역에서는 Zeldovich 메커니즘이 주된 경로이다. 희박 예혼합 조건에서는 N2O 메카니즘이가 화염 및 화염후 영역 모두에서 중요한 경로이다.

보강용 지오컴포지트의 장기변형거동 해석 (Analysis of Long-Term Deformation Behaviors of Geocomposites for Reinforcement)

  • 전한용;허대영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39-45
    • /
    • 2004
  • 단계 등온법에 의한 장기 크리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직포형 지오텍스타일과 부직포형 지오텍스타일을 기계적으로 결합시킨 지오컴퍼지트를 사용하였다. 단계 등온법의 경우 온도구간은 $26^{\circ}C$, $40^{\circ}C$, $54^{\circ}C$, $68^{\circ}C$, $82^{\circ}C$이었으며, 하중구간은 설계강도의 40%, 50%, 60%이었다. GRI GS 10에 의한 10,000시간 크리프 시험결과 10%미만의 변형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크리프 변형률에 대한 위사 위입밀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위사 위입밀도가 0%, 50%, 100%인 경우 모두 크리프 변형률이 10% 미만이었으며, 크리프 변형률은 위사 위입밀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 PDF

CO튜브 삽입에 따른 오염 물질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ission Characteristics of Inserting CO Tube)

  • 이재박;김종민;이승로;이창언
    • 에너지공학
    • /
    • 제19권3호
    • /
    • pp.182-187
    • /
    • 2010
  • 본 연구는 컴팩트 연소실내 CO 튜브 삽입에 따른 $NO_x$ 및 CO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로써, CO 튜브 삽입에 따른 연소기와 CO튜브 사이의 거리와, CO튜브와 주열교환기 사이의 거리에 따른 배출 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상용프로그램인 Fluent와 GRI 2.11 상세 반응 기구를 이용하여 수치해석과 상용 열교환기 실험을 통해 CO튜브 삽입에 관한 CO 및 $NO_x$ 배출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연소기와 주열교환기 사이에 CO 튜브를 삽입하여 CO 튜브가 연소기에 근접하고 CO 튜브와 주열교환기 사이를 넓어짐으로써 $NO_x$ 및 CO 저감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CO 튜브 삽입에 따른 $NO_x$ 및 CO를 동시 저감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회 및 출연연구기관의 새로운 경영모형

  • 유성재;이정원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3년도 제22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5-172
    • /
    • 2003
  •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GRI), together with universities and private research labs, constitute the core of the Korea's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rrent system of GRIs and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s(RC) in Korea, and suggest some policy recommendations conducive to achieving a world class competitive research system.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policy issues, we have conducted interviews (with executives staffs of RCs, GRIs and government ministries) and questionnaire surveys. For benchmarking purposes, we have visited 9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the USA, UK, Germany, and France. From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revealed from the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6 policy variables are identified: three of them, which we call systemware variables, are governance structure, resources allocation system, and management control system; and the other three, which we call humanware variables, are visions and strategic goals, leadership, and research manpower, respectively. We have found that 1;he current GRI/RC systems are inefficient mainly due to the rigid and bureaucratic governance structure and inconsistent resource (i.e., government budgets) allocation systems. We reject the idea of replacing the current RC system with such radical alternatives as 're-governmentization'or 'privatization'. Instead we recommend that the government introduce a better system of governance and national budget allocations, which in turn would help induce a better management control systems, clear research visions and goals, strong leadership on the part of the RC chairman, and more creative and motivated researchers. These recommendations may provide opportunities and rooms for chairmen of RCs and presidents of GRIs to exercise more positive leadership in terms of fitting the visions and goal of GRIs to the national R&D strategy and creating a rational management control system as well as motivating researchers in GRIs to be more creative and productive.

  • PDF

컴팩트 연소실 내 CO튜브 삽입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특성 (Effect of the CO Tube insert for Emission Characteristics in a Compact Combustion Chamber)

  • 이재박;김종민;이승로;장기현;이창언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 발표회
    • /
    • pp.66-71
    • /
    • 2010
  • 본 연구는 컴팩트 연소실내 CO 튜브 삽입에 따른 NOx 및 CO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로써, CO 튜브 삽입에 따른 연소기와 CO튜브 사이의 거리와, CO튜브와 주열교환기 사이의 거리에 따른 배출 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상용프로그램인 Fluent와 GRI 2.11 상세 반응 기구를 이용하여 수치해석과 실용 연소기를 모사한 단순 모델 열교환기의 실험을 통해 CO튜브 삽입에 관한 NOx 및 CO 배출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연소기와 주열교환기 사이에 CO 튜브를 삽입하여 CO 튜브가 연소기에 근접하고 CO 튜브와 주열교환기 사이를 넓어짐으로써 NOx 및 CO 저감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CO 튜브 삽입에 따른 NOx 및 CO를 동시 저감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정부출연연구기관 주요사업 연구기획 강화를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사업 메타분석연구 (A Study on Meta Analysis of Preliminary Feasibility for Government R&D Programs to Improve Planning Project of the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 이종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445-453
    • /
    • 2017
  • 최근 정부 R&D 방향을 보면 정부출연연의 역할은 중장기, 대규모 신규사업발굴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출연연 자체적으로 연구기획에 많은 투자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출연연 주요사업 연구기획에 철저한 준비가 되어야 함에도 기획 전문지식이 체계적으로 축적되지 않았으며 좋은 연구기획 본보기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져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도 있는 사전 검토 절차를 거치는 국가연구개발 예비타당성조사 사업 보고서를 본보기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비타당성조사의 계층구조와 세부평가항목을 고찰하고 주요사업 기획에 도움이 되는 세부평가항목들과 내용을 선별하고자 한다. 우선 현재 공개된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중에서 연구에 해당하는 대상을 선별하고, 보고서의 평가항목들 중에서 메타분석을 통해 출연연 주요사업 기획에 반영될 수 있는 12개 평가항목들을 선별하였다. 아울러, 전문가 회의를 거쳐 분석된 내용들에서 각 세부평가항목별 주요사업 기획관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요사업 기획 연구자들에게 실무적으로 R&D 연구기획과 평가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화학반응기 네트워크을 이용한 희박 예혼합 가스터빈 연소기에서의 오염물질 예측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Pollutant Emissions from Lean Premixed Gas Turbine Combustor Using Chemical Reactor Network)

  • 박정규;누엔후트룩;이민철;정재화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2호
    • /
    • pp.225-232
    • /
    • 2012
  • 희박 예혼합 가스터빈 연소기에서 배출되는 NOx, CO 와 같은 오염물질을 예측하기 위해서 화학반응기 네트워크 모델을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CHEMKIN 코드와 4 가지 NO 생성 메커니즘을 포함한 GRI 3.0 메탄-공기 연소 메커니즘을 이용해서 가스터빈의 부하조건을 변화시키며 NOx 및 CO 배출의 예측을 수행하였다. 모델의 검증을 위해서 계산된 결과를 모사연소기의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여러부하조건에 따른 4 가지 NO 경로의 기여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인젝터의 질량유동 및 당량비의 불균일성이 NOx 배출이 끼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10ppm 이하의 저 NOx 연소기 개발을 위한 저감 방법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