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S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2초

의식조사를 통한 이용자 중심의 도시공원 조성방안 연구 - 잔디·녹지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r-driven Urban Park Development Plan Awareness Survey - Focusing on Lawns·Grass Area -)

  • 서정영;성현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1-72
    • /
    • 2009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and issues in the structure of urban neighborhood parks and park facility installation in cities in Gyeonggi-do. Then, based on its findings, plans to improve the space structure of the parks were examined and suggested to raise the city environment improvement function and green area base function of urban parks and fully satisfy users' needs for pleasant rest, recreation and cultural activities. The findings showed that, within parks, the area of grass where access was restricted reached about 24.4% in average. In other words, only 75.6% of total park area could be freely used by park visitors. As for an improvement plan, the grass area where access is limited may be converted into a gras area that can be freely used to raise the park use area, which currently stands only at 75.6%, to 100%. The result of cross analysis through Chi-Square Test regarding lawn use as well as regarding (dis)agreement with reduction of lawn,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cognition, showed a significant agreement of park users with reduction of green area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lawn space must be reduced accord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to set up plans for facility space that would meet the desires of users. The analysis of user behaviors revealed that many of them used square spaces and walk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re-structuring of space is necessary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made some policy suggestion. urban parks must be a base of city green areas to counter climate changes. When developing a park creation plan, a user demand survey must be conducted in advance. In addition. grass construction methods should be improved to tolerate foot pressure.

당 섭취와 대사증후군 (Sugar Intakes and Metabokic Syndrome)

  • 조성수;김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sup권
    • /
    • pp.39-49
    • /
    • 2007
  • 본 논문은 미국 의학연구소(US Institute of Medicine, IOM)와 미국 농무성의 식이지침 자문위원회(USDA Advisory Committee on Dietary Guidelines, DG)에서 발표한 권위 있는 종설 들과 미국 영양사협회 학술지를 포함하여 여러 학술지에 발표된 의미 있는 종설 들의 내용을 종합한 것으로 일부의 내용은 그들의 의견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당은 단당류와 이당류를 말하며 당에는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즈, 맥아당, 서당과 유당이 포함된다. 당의 식품급원으로는 고과당 옥수수시럽, 사탕수수, 꿀, 사탕수수, 맥아시럽 등이 있다. 당은 미국 식약청에서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되고 있다. 당은 에너지를 공급하며, 정신적인 만족감을 부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과일과 유제품은 당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건강한 식사를 구성하는 식품으로 섭취되고 있다. 당은 또한 조리와 가공과정에서 식품의 맛과 기능적인 면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기도 한다. 당은 영양밀도가 높은 식품/음료의 기호성(palatability)를 향상시키므로, 감미료들은 건강한 식사가 되도록 도와줄 수 있다. 그러나 첨가당의 섭취가 증가되면 식사의 영양밀도가 감소하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여러 연구에 의하면 첨가당의 섭취가 총 열량 섭취의 25% 이상이 되면 식품의 영양밀도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국에서 추정된 당의 섭취량은 이것보다는 매우 낮은 수준이다. 선진국들에서 당의 섭취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적절한 양을 섭취하는 범위에서 당의 섭취 자체만으로는 비만, 당뇨병, 대사증후군과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위험이 증가되지 않는다는 과학적인 연구보고들이 있다. 그러므로 IOM은 "여러 자료에 근거하여, 충치, 행동적인 문제, 암, 비만의 위험성과 고지혈증의 위험성에 있어서 총 당과 첨가당에 대한 상한섭취량(tolerable upper limit)을 설정하는 것에 대한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인공지반에서 금잔디의 증발산량 예측에 관한 연구 -퍼라이트 배합토에서 Makkink의 일사법을 이용하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Zoysia matrella's Evaporation Using Makkink Model)

  • 김도경;황지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61-16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Zoysia matrella's evaporation in between 100 percent soil and mixed soil with 50 percent of perlite to create green spaces on the artificial ground. It is believed that the weight against the artificial ground will be reduced, provided the vegetation is possible in the circumstance of the mixed sol with 50 percent of perlite. The study employed a modified Makkink's model by Iwasa who had developed the model for estimating Zoysia matrella's evaporation in the natural ground using the Makkink's formula in 1997 at Chiba University, Japan. The parameter of Makkink's formula is the solar radiation. For that reason, the Makkink's formula is simple and easy to measure the parameter and has a high utility. If the outcomes from mixed soil are close to modified Makkinks formula, the modified Makkink's formula will be applied to estimate in the artificial ground with mixed soil with 50 percent of perlite. Weather observation and actual amount of evaporation of Zoysia matrella have been measured, and the relation between weather condition and actual amount of evaporation had been also investigated. In line with this, we found out that there is a relevant relationship between daily average temperature, the modified Makkink's model by Iwasa, and the actual amount of evaporation. A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outcomes from mixed soil with 50 percent of perlite have very high relation to 100 percent soil. In addition, mixed soil has more adhesion with water than natural soil. However, it needs to be adequately maintained in terms of fertilization and damage from disease and harmful insects until the gras fastens its roots into the soil. By using mixed soil with 50 percent of perlite, the load from soil on the artificial ground can be reduced. The study on the growth of the grass throughout the plant vegetation and the actual amount of evaporation in the mixed soil with 50 percent of perlite should be performed in the future.

  • PDF

격자기반의 일 증발산량 추정모형 개발 (GRID-based Daily Evapotranspiration Prediction Model (GRIDET))

  • 채효석;김성준;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721-73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Morton(1983)의 보완관계식을 이용하여 증발산량의 시.공간적 분포 양상을 계산할 수 있는 격자기반의 일 증발산량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은 C 언어로 개발되었으며, ASCII 형태의 수치표고자료와 토지피복도가 입력자료로 이용되어 유역에 대한 일 증발산량을 계산하게 된다. 또한, 증발산량에 대한 시간적 변화 양상과 공간적 분포 양상을 GRASS에서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모형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서 대청댐 상류지역에 위치한 보청천의 일부 지역(76.5$\textrm{km}^2$)에 대해서 적용하였다. 적용결과, 보청천 유역의 이평교 지점에서 1995년도 증발산랑은 766.1mm로 나타났으며, 경사면과 면적에 대한 일사량 보정 후 약22%가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식생대 특성에 따른 유출토사 저감 효율 : 식생의 종류와 높이 (Trapping Efficiency of Vegetative Filter Strip: Effect of Type and Height)

  • 장문정;손민우;변지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6-206
    • /
    • 2019
  • 이 연구는 유출토사량의 저감을 위해 설치되는 식생대의 특성에 따른 효율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검토하는 식생대의 특성으로는 식생의 종류와 식생대의 높이가 포함된다. 식생대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VFSMOD-W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식생대가 적용되는 대상지역은 금강의 지류인 금마천이다. 금마천 유역은 나지를 다수 포함하고 있어 식생대의 설치에 따른 변화를 잘 살펴볼 수 있는 지역으로 판단된다. 해당 지역에서의 강우량은 시간당 최대강우량이다. 식생대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보정되는 매개변수는 조고이며 VFSMOD-W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식생의 종류를 입력하였다. 사용된 프로그램에서는 식생대의 간격, 규모 등을 고려할 수 있므려 총 36개 종류의 식생대가 검토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가장 먼저 나타나는 점은 식생대의 설치간격이 좁아질 때 보다 많은 양의 토사를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천으로 유출되는 유역토사의 저감을 식생대를 좁게 설치하는 과정을 통해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된다. 식생대의 조도계수 역시 토사저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지의 경우 0.012, Bermuda Grass의 경우 0.41로 조도계수를 설정하고 수치실험을 시행한 결과 조도계수의 증가가 유출 토사량 감소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이 확인된다. 식생대의 최대 높이가 주는 영향을 살피기 위해서 1 cm에서부터 100 cm까지의 식생대 높이를 적용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식생대의 특성 및 설치방식을 고정된 조건으로 두고 식생대의 높이에 따른 영향만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식생대의 최대높이는 유출 토사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출 토사량 저감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할 때 식생의 높이보다는 식생의 종류와 조고 등에 보다 집중하여 식생대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PDF

국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개발 현황 (Trends in probiotics product)

  • 성영제;박명수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2권3호
    • /
    • pp.229-240
    • /
    • 2019
  • 2002년 FAO와 WHO에 의하여 "적절한 양을 섭취했을 때 숙주(사람)의 건강에 이로운 작용을 하는 생균"으로 정의된 이래 프로바이오틱스는 연구적인 측면뿐 아니라 제품화를 통한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여 기능성 식품의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힘입어 프로바이오틱스가 장 건강뿐 아니라 전신의 건강과 관련되어 다양한 역할이 밝혀지고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형태 및 기능을 갖는 제품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아울러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가지고 유통되기 위해서는 글로벌 기준에 맞는 품질관리를 통한 인증 등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의 새로운 정의, 프로바이오틱스의 국내외 관리기준, 효능의 균주 특이성, 마이크로바이옴과의 연관성, 시장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Overexpression of Capsular Polysaccharide Biosynthesis Protein in Lactobacillus plantarum P1 to Enhance Capsular Polysaccharide Production for Di-n-butyl Phthalate Adsorption

  • Liu, Wei-Bing;Lin, Zhi-Wei;Zhou, Ying;Ye, Bang-C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1호
    • /
    • pp.1545-1551
    • /
    • 2021
  • Exopolysaccharides (EPSs) such as capsular polysaccharide (CPS) are important bioactive carbohydrate compounds and are often used as bioenrichment agents and bioabsorbers to remove environmental pollutants like di-n-butyl phthalate (DBP). Among the EPS-producing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LAB) have gained the most attention. 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 microorganisms, LAB can produce EPSs having many different structures and no health risks. However, EPS production by LAB does not meet the needs of large-scale application on an industrial scale. Here, the capA gene (encoding CPS biosynthesis protein) was overexpressed in Lactobacillus plantarum P1 to improve the production of EPSs and further enhance the DBP adsorption capability. Compared with P1, the CPS production in capA overexpressed strain was increased by 11.3 mg/l, and the EPS thickness was increased from 0.0786 ± 0.0224 ㎛ in P1 to 0.1160 ± 0.0480 ㎛ in P1-capA. These increases caused the DBP adsorption ratio of P1-capA to be doubled. Overall, the findings in this study provide a safe method for the adsorption and removal of DBP.

Biosynthesis of Apigenin Glucosides in Engineered Corynebacterium glutamicum

  • Obed Jackson Amoah;Samir Bahadur Thapa;Su Yeong Ma;Hue Thi Nguyen;Morshed Md Zakaria;Jae Kyung Soh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5호
    • /
    • pp.1154-1163
    • /
    • 2024
  • Glucosylation is a well-known approach to improve the solubility, pharmacolog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flavonoids, making flavonoid glucosides a target for large-scale biosynthesis. However, the low yield of products coupled with the requirement of expensive UDP-sugars limits the application of enzymatic systems for large-scale. C. glutamicum is a Gram-positive and generally regarded as safe (GRAS) bacteria frequently employed for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amino acids and biofuels. Due to the versatility of its cell factory system and its non-endotoxin producing properties, it has become an attractive system for the industrial-scale biosynthesis of alternate products. Here, we explored the cell factory of C. glutamicum for efficient glucosylation of flavonoids using apigenin as a model flavonoid, with the heterologous expression of a promiscuous glycosyltransferase, Ydh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and the endogenous overexpression of C. glutamicum genes galU1 encoding UDP-glucose pyrophosphorylase and pgm encoding phosphoglucomutase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UDP-glucose to create a C. glutamicum cell factory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glucosylation apigenin with a high yield of glucosides production. Consequently, the production of various apigenin glucosides was controll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yielding almost 4.2 mM of APG1(apigenin-4'-O-β-glucoside) at 25℃, and 0.6 mM of APG2 (apigenin-7-O-β-glucoside), 1.7 mM of APG3 (apigenin-4',7-O-β-diglucoside) and 2.1 mM of APG4 (apigenin- 4',5-O-β-diglucoside) after 40 h of incubation with the supplementation of 5 mM of apigenin and 37℃. The cost-effective developed system could be used to modify a wide range of plant secondary metabolites with increased pharmacokinetic activities on a large scale without the use of expensive UDP-sugars.

국내의 조합향료 사용실태 조사 (Studies on the Usage of Compound Flavorings in Korea)

  • 김희연;윤혜정;홍기형;박성관;최장덕;최우정;김지혜;박희옥;진명식;이철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407-1413
    • /
    • 2004
  • 본 연구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착향료 제조품목허가대장 조사 및 향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합향료를 구성하고 있는 합성화학물질의 국내 사용실태 및 안전성 평가 여부를 파악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착향료 제조품목허가대장을 조사한 결과, 총 8,386개 중 6,434개의 조합향료를 구성하고 있는 합성화학물질은 618개였으며, 에스테르류에 속하는 합성화학물질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케톤류, 지방족알콜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실제 개별품목의 사용빈도 또한 에스테르류가 가장 많았다. 또한 조향 시 부원료로 사용되는 착향료는 용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조사된 개별품목은 isooctyl acetate, tricyclene을 제외하고는 FEMA, JECFA, CoE, JFFMA의 한 목록 이상에 모두 등재되어 관리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을 포함한 총 618품목 중 490품목은 JECFA에 의해 안전성평가가 완료되었고 나머지 128품목 중 106품목은 FEMA에서 관리되어 실질적으로 GRAS 물질로 인정되고 있으며 20품목은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품을 제조하는 52개 업체를 대상으로 착향료 사용실태 및 관리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제품 제조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착향료는 딸기향, 포도향, 오렌지향, 매실향, 레몬향, 바닐라향이었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개별품목은 딸기향은 ethyl butyrate, 포도향은 methyl anthranilate, 오렌지향과 레몬향은 citral, 매실향과 바닐라향은 vanillin이었다. 착향료의 사용수준에 대한 조사 결과, 착향료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업체가 0.5% 미만의 미량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1%이상을 사용한다고 응답한 업체는 9.8%로 사용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종제품에 대한 착향료 사용 표시사항여부는 다류를 생산하는 업체와 어육제품인 게맛살을 제조하는 업체를 제외하고는 원재료 5가지 내에 착향료가 들어가면 표시를 하나 그렇지 않으면 표시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생산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조금씩의 차이는 있었으나 소비자들이 주로 딸기향, 바나나향, 사과향, 초코향을 선호한다고 답하였다.

초지개량에 미치는 가리시비의 효과에 관한 연구 (Sudies on the of $K_2O$Fertilization for the Pasturu Improvement)

  • 권순기;김용국;김문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7-25
    • /
    • 1982
  • 초지개량(草地改良)에 있어서 가리(加里)의 시용수준(施用水準) 및 질소(窒素)와 인산(燐酸)의 시비량(施肥量) 관계(關係)가 목초(牧草)의 생산성(生産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해서 화본과(禾本科) 단파구(單播區), 두과(荳科) 단파구(單播區) 및 혼파구(混播區)로 구분(區分)하여 가리(加里)의 시비수준(施肥水準)을 달리하면서 1977년(年)부터 1980년(年)까지 3년간(年間)에 걸쳐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가리(加里)의 시비수준(施肥水準)이 목초(牧草)의 정착(定着)과는 영향(影響)이 없으나 화본과(禾本科) 단파구(單播區)에서는 월동성(越冬性)에 효과가 있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 목초(牧草)의 수량(收量)은 화본과(禾本科) 단파구(單播區)에서 가리(加里)의 시용(施用)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傾向)이지만 두과(荳科) 단파구(單播區)와 혼파구(混播區)에서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3. 고형물(固形物) 수량(收量)은 두과구(荳科區)의 4처리구(處理區)가 10a 1,152kg으로 가장 많고 혼파구(混播區)에서는 3처리구(處理區) 1,093kg, 화본과(禾本科) 단파구(單播區)는 5처리구(處理區)의 834kg이 가장 많았다. 4. 식생상태(植生狀態)의 변화(變化)는 화본과(禾本科) 단파구(單播區)에서 orchard grass와 tall fescue가 해를 경과할수록 증가(增加)하였으며 두과단파구(荳科單播區)와 혼파구(混播區)에서 alfalfa가 90% 이상(以上)의 우점초(優占草)가 되었는데 특(特)히 orchard grass는 가리(加里)의 증비(增肥) 효과가 큰 것 같다. 5. 초지개량(草地改良)에 있어서 본(本) 실험(實驗)의 결과(結果)로 나타난 적정시비수준(適正施肥水準)은 10a 당(當)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를 화본과(禾本科) 단파구(單播區)에서 20-20-30kg을 시용(施用)할 때 최고(最高)의 수량(收量)을 나타냈으며 두과(荳科) 단파구(單播區)에서는 8-20-20kg을 시용(施用)하였을 때 최고수량(最高收量)을 얻을 수 있었다. 6. 시비수준(施肥水準)에 따르는 비료가격(肥料價格)과 목초(牧草)의 고형물(固形物) 수량(收量)에 의(衣)해서 1kg 생산(生産)에 소요(所要)된 비료가격(肥料價格)을 비교(比較)하면 혼파구(混播區)의 1처리구(處理구) 수익(收益)이 높은데 그 이유(理由)는 인산(燐酸)의 비료가격(肥料價格)에 의(依)한 것이다. 7. 본(本) 실험(實驗)은 종합적(綜合的)으로 고찰(考察)할 때 목초(牧草)의 고형물(固形物) 수량(收量)과 시비가격(施肥價格)으로 보아 화본과(禾本科)는 10a 당(當) 20-20-20kg, 두과(荳科)와 혼파구(混播區)는 8-20-20kg의 시비수준(施肥水準)이 경제적으로 가장 유리(有利)한 것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