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PS L2C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1초

AMPS, GPS, US-PCS 대역용 Triplexer 설계 (Design of a Triplexer for Mobile Communication)

  • 이재선;윤태순;김기병;이종철;박재영;고영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27-334
    • /
    • 2004
  •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이동통신 서비스는 보다 만족스럽고 보다 우수한 성능의 무선 통신용 필터나 다이플렉서 혹은 트리플렉서와 같은 멀티플렉서를 요구하고 있다. 다이플렉서는 수신된 신호를 고주파와 저주파신호로 각각 분리하여 주는 소자로서 듀얼모드 단말기에 쓰이는 것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트리플렉서는 수신된 신호를 각각 세 개의 대역 즉 AMPS, GPS, US-PCS 등으로 구분하여 주는 소자로서 최근 서비스를 시작한 GPS 기능을 추가시키기 위한 triple-mode 소자라 할 수 있다. 하지만 GPS 대역(1.575 ㎓)과 US-PCS(1.85 ㎓∼l.91 ㎓) 대역이 서로 간섭을 일으킬 만큼 가깝기 때문에 각 출력단간의 Isolation 특성을 강화하는데 주력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트리플렉서는 무라타 사의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사용하였고, Agilent 사의 ADS를 이용하여 설계하였으며, 측정시 Agilent사의 VNA 8510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A Comparison of Broadcast and Final Orbits on GPS Delays in GPS-VLBI Hybrid Observation

  • Kwak, Younghee;Cho, Jungho;Kondo, Tetsuro;Takiguchi, Hiroshi;Amagai, Jun;Gotoh, Tadahiro;Sekido, Mamoru;Ichikawa, Ryuichi;Kim, Tuhwan;Sasao, Tetsuo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권1호
    • /
    • pp.65-75
    • /
    • 2012
  • We carry out an error analysis of 24-hour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VLBI) (GV) hybrid observation data.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impacts of broadcast and final orbits on the GPS delays of the GV hybrid observation by analyzing the residuals, observed - calculated (O-C) values. The residuals show apparent and consistent biases for L1 and L2 signals, respectively. The scatters of the residuals are around a few nanoseconds. The main cause of those observation errors is the absence of the GPS phase and delay calibration system. Most of the satellites show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lays, to which broadcast and final orbits are applied, are about 100 times smaller than the current GV hybrid observation errors. We conclude that GPS delays are not greatly affected by orbit accuracies.

위성항법 시스템 간 간섭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ference between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 김정빈;김재길;이성윤;이제원;김갑진;송기원;안재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6C호
    • /
    • pp.512-519
    • /
    • 2012
  • 새로운 위성항법 시스템 신호를 설계함에 있어 기존에 연구되고 서비스되고 있는 위성항법 시스템과의 간섭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동일한 대역을 사용하는 GPS, GALILEO, Compass 등 다양한 위성항법 시스템 간에는 스펙트럼이 중첩되는 영향으로 상호 간 간섭이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포화되어 진입이 어려운 L1 대역을 배제하고 새로운 위성항법 시스템이 사용할 수 있는 무선항행위성 주파수 대역으로 L2밴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GPS L2 시스템 신호와 스펙트럼 분할 계수가 가장 작은 BOCcos(15,2.5) 신호를 대입하고, 한반도 상공에 정지한 위성을 가정하여 그 영향을 모의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L1밴드의 다양한 서비스 간의 간섭 영향과 비교해 상호 간 간섭에 의한 수신신호 전력의 감소가 매우 작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QZSS-CLAS의 Compact SSR을 이용한 다중 위성항법 기반의 Code-PPP 개발 (Development of Code-PPP Based on Multi-GNSS Using Compact SSR of QZSS-CLAS)

  • 이해창;박관동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21-531
    • /
    • 2020
  • QZSS (Quasi-Zenith Satellite System)는 위성의 L6 밴드를 통해서 CLAS (Centimeter Level Augmentation Service)를 제공한다. CLAS는 현재 GPS (Global Positioing System), Galileo 그리고, QZSS 위성군에 대한 보정정보를 제공하며, 이러한 보정정보를 C-SSR (Compact - Space State Representation)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L6 밴드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수신기인 Septentrio의 AsteRx4를 이용하여 CLAS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C-SSR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GPS, Galileo, QZSS의 코드의사거리 관측치에 Compact SSR을 적용하여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오차를 보정하고, 비선형 최소제곱법으로 수신기의 3차원 위치 및 위성군의 시계오차들을 추정하는 다중 위성항법 기반의 Code-PPP (Precise Point Positioning)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IGS (International GNSS Service) 사이트 중 하나인 TSK2 (Tsukuba)를 대상으로 정지측위를 수행하고, 일본의 가와니시(Kawanishi)시의 이나강(Ina river) 주변을 주행하며 이동측위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정지측위의 경우 모든 데이터셋의 평균 RMSE (Root Mean Squared Error)는 수평방향으로 0.35 m, 수직방향으로 0.57 m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그리고 이동측위의 경우 VRS의 RTK-FIX 값과 비교해 봤을 때 수평방향은 약 0.82 m, 수직방향은 약 3.56 m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GPS를 이용한 선간거리계의 정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Rangefinder between vessels by use of GPS)

  • 김광홍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3호
    • /
    • pp.215-226
    • /
    • 1999
  • The experimented rangefinder consist of sets of V/A-Code GPS and sets of L1 C/A-code & carrier phase receivers connected by two spread spectrum radio modems in order to measure relative range and bearing between two ship antennas by real time, comparing and analyzing accuracy of both GPS receivers at the fix point on the land by means of executing zero baseline test by C/A code and by carrier phase as well as measuring distance range 5m, 10m, 15m between each other receivers. The results from the measurement of relative range and bearing are as follows as ;1.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zero baseline test, the average error by C/A-code receiver is less than 0.1m, which proves theories from published books but when each GPS receivers track different satellites, the range accuracy error becomes up to 100m by means of S/A. Because of this sudden wide range error, rangefinder is not appropriate at relative range measurement without additional modification of the algorism of the GPS receiver itself.2. According to relative range measurement by Carrier Phase and zero baseline test at static condition, the range error is less than 3.5cm in case that it passes more than 5 minutes after GPS sets can track simultaneously more than 6 satellites. Its main reason is understood that the phase center of antenna is bigger than geodetic antenna.3. When range measurement of two receivers from 5m, to 10m to 15m, the each range error is 0.340m, 0.190m, 0.011m and each standard variation is 0.0973m, 0.0884m, 0.0790m. The range error and standard variation are in inverse proportion to distance between two receivers. 4. L1 Carrier Phase GPS generally needs 5 minutes to fix and during this ambiguity search, the relative range and bearing angle is shown to be various.

  • PDF

Robustness Examination of Tracking Performance in the Presence of Ionospheric Scintillation Using Software GPS/SBAS Receiver

  • Kondo, Shun-Ichiro;Kubo, Nobuaki;Yasuda, Akio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2
    • /
    • pp.235-240
    • /
    • 2006
  • Ionospheric scintillation induces a rapid change in the amplitude and phase of radio wave signals. This is due to irregularities of electron density in the F-region of the ionosphere. It reduces the accuracy of both pseudorange and carrier phase measurements in GP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receivers, and can cause loss of lock on the satellite signal. Scintillation is not as strong at mid-latitude regions such that positioning is not affected as much. Severe effects of scintillation occur mainly in a band approximately 20 degrees on either side of the magnetic equator and sometimes in the polar and auroral regions. Most scintillation occurs for a few hours after sunset during the peak years of the solar cycle. This paper focuses on estimation of the effects of ionospheric scintillation on GPS and SBAS signals using a software receiver. Software receivers have the advantage of flexibility over conventional receivers in examining performance. PC based receivers are especially effective in studying errors such as multipath and ionospheric scintillation.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analyze IF signal data stored in host PC by the various processing algorithms. A L1 C/A software GPS receiver was developed consisting of a RF front-end module and a signal processing program on the PC. The RF front-end module consists of a down converter and a general purpose device for acquiring data. The signal processing program written in MATLAB implements signal acquisition, tracking, and pseudorange measurements. The receiver achieves standalone positioning with accuracy between 5 and 10 meters in 2drms. Typical phase locked loop (PLL) designs of GPS/SBAS receivers enable them to handle moderate amounts of scintillation. So the effects of ionospheric scintillation was estimated on the performance of GPS L1 C/A and SBAS receivers in terms of degradation of PLL accuracy considering the effect of various noise sources such as thermal noise jitter, ionospheric phase jitter and dynamic stress error.

  • PDF

DGNSS 기준국 관측환경 분석 (Analysis of GPS signal environment at DGNSS stations)

  • 손동효;박관동;원지혜;최용권;기창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625-629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국토해양부 위성항법중앙사무소가 운영하고 있는 17곳 DGNSS 기준국의 신호수신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관측자료의 TEQC 프로그램 품질평가, 가시성 분석 및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TEQC 프로그램 수행결과 팔미도, 어청도, 거문도, 평창, 성주, 충주 기준국의 일부 지수가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나타났다. 6곳을 제외한 품질평가지수는 평균 98%의 데이터수신율과 0.19m의 L1 의사거리 다중경로 오차, 0.71m의 L2 의사거리 다중경로 오차가 나타났으며, 사이클슬립은 1000회 관측당 평균 1.3회 수준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기준국들은 최적의 환경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팔미도와 어청도의 경우 데이터수신율이 낮았다. 이는 L2C 신호를 송출하는 위성들의 P2 신호를 기록하지 못하여 수신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거문도의 경우 주변 장애물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설치된 관측장비 또는 설비문제로 인하여 품질지수가 저하된 것으로 사료된다. 평창은 남쪽에서 북서쪽으로 이어지는 야산이 폭 넓게 위치하고 있어 데이터 수신율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기준국으로 확인되었다. 4개의 품질평가지수가 모두 좋지 않은 성주와 충주는 주변 환경이 다른 기준국과 큰 차이는 없었으나, 설치된 관측장비에 의해 신호품질이 저하된 것으로 추정되어 비교실험을 통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

SBAS 이동측위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Kinematic SBAS Surveying)

  • 김혜인;손은성;이호석;김현호;박관동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93-504
    • /
    • 2008
  • SBAS(Space-Based Augmentation System)는 광역보정항법시스템(WADGPS, Wide Area DGPS)으로써 지역 보정항법시스템(LADGPS, Local Area DGPS)의 단점을 보완한 위성항법 보정시스템이다. 이 연구에서는 GPS 측위의 대표적인 방법인 실시간 이동측위(RTK; Real-Time Kinematic), DGPS(Differential GPS) 측위, 단독측위(Standalone)와 SBAS 이동측위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측위 정확도 비교를 통해 SBAS 이동측위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정지측위 결과 산출한 좌표를 참값으로 간주하였고, 각각의 측위방법으로 획득한 관측데이터를 참값과 비교하여 계산한 2차원 평균제곱근(RMS: Root Mean Square)오차와 3차원 RMS 오차를 정확도 비교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각 측위방법에 따른 3차원 RMS 오차는 RTK 측위 13.1cm, DGPS 측위 126.0cm, 이중주파수 단독측위 135.7cm, 단일주파수 단독측위 428.9cm, 그리고 SBAS 측위 109.2cm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SBAS 측위의 정확도가 DGPS 측위 정확도와 대등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LAMBDA 기법을 활용한 L1 반송파의 GPS 기선해석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GPS Baseline Analysis Software for L1 Carrier Phase Using LAMBDA Method)

  • 박정현;이용욱;권재현;강준묵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3-180
    • /
    • 2003
  • 세계측지계로의 전환으로 GPS는 측량분야에서 그 효용성이 크게 증가되고있는 현 시점에서, 기준점을 기준으로 이동점에 대한 상대적인 기선벡터를 구하는 기선해석프로그램은 대부분 외국 소프트웨어에 의존하고 있어 보다 폭넓은 활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AMBDA 기법으로 미지정수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을 정립하고, 객체지향언어인 Visual C++ 6.0을 이용하여 Ll 반송파에 대한 기선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15km이하의 단기선에서 상용프로그램과 비교하여 4.9센티미터 이하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소프트웨어 기반의 GPS/WAAS 수신기 설계

  • 임덕원;신미영;김용현;박찬식;황동환;허문범;이상정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2
    • /
    • pp.423-42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GPS와 WAAS를 동시에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는 GPS/WAAS 소프트웨어 수신기를 개발한다. WAAS는 GPS L1과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와 C/A 코드, 데이터로 구성되며, 데이터 포맷이 다르므로 WAAS 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한 블록을 추가하여, 보정 정보와 무결성 정보, WAAS 위성의 위치 정보를 추출 및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정 정보를 처리하는 블록이 추가된 GPS/WAAS 소프트웨어 수신기를 설계하여 수신기의 측위 성능 및 가용성을 높이고, 실제 측정치를 이용한 측위 실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