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PD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초

로그-정규분포와 파레토 합성 분포의 임계점 추정 (Threshold estimation for the composite lognormal-GPD models)

  • 김보배;노지숙;백창룡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5호
    • /
    • pp.807-822
    • /
    • 2016
  • LN-GPD 합성 분포는 몸통부분은 로그-정규분포를 두터운 꼬리에 대해서는 GPD분포를 따르도록 합성한 분포로 두터운 몸통과 꼬리를 동시에 가지는 자료를 절삭없이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분포이다. 하지만 임계점을 포함하고 있기에 최대우도추정량은 매우 불안정함이 잘 알려져 있어 본 논문이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임계점을 먼저 추정하고 나머지 모수들에 대해서 따로 추정하는 2단계 추정 방법들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 성능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동시 추정하는 최대우도추정량의 경우 불안정한 추정이 GPD 분포의 꼬리 지수에서 두드러 졌으며 임계점에 대해서는 비교적 잘 추정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반대로 여러 비모수적인 방법들은 꼬리 지수는 만족스럽게 잘 추정하였으나 임계점의 경우 편의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증자료 분석을 위해 2단계 추정법을 이스라엘 은행의 콜센터에서 수집한 서비스 시간에 대한 자료에 적합해 보았으며 그 결과 LN-GPD 합성 분포를 사용하는 것이 로그-정규분포 혹은 GPD 분포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자료의 손실도 없이 더 좋은 적합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로그-정규분포와 파레토 합성 분포의 모형 추정 (Time-varying modeling of the composite LN-GPD)

  • 박소진;백창룡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1호
    • /
    • pp.109-122
    • /
    • 2018
  • 임계값을 기준으로 그 보다 작은 값은 로그정규분포(lognormal distribution; LN)를, 큰 값은 일반화파레토분포(generalized Pareto distribution; GPD)를 따르는 합성 분포를 LN-GPD 합성분포라 한다. Scollnik (2007)은 LN-GPD 합성분포가 로그정규분포와 GPD를 합성 시킴으로써 자료의 손실 없이 꼬리가 두꺼운 분포에서 좋은 적합력을 가진다고 밝혔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LN-GPD 평균모형을 다루었으며 방법론으로는 국소 다항최대우도법을 기반으로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시간에 따라 변하는 분포를 추정함으로써 자료에 대한 훨씬 자세한 이해가 가능하며 이는 곧 상담원 배치나 자원배분과 같은 운영관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GPD 분포만을 고려한 Beirlant와 Goegebeur (2004)를 확장하여 절삭한 로그정규분포를 추가하여 자료의 손실 없이 자료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는데도 의의가 있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론의 적절함을 살펴 보았고 실증 자료 분석으로 이스라엘 은행의 콜센터 서비스 시간에 대해 분석하여 상담원 배치와 관련된 흥미로운 결과를 찾을 수 있었다.

재무비율의 극단치에 대한 통계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Extreme Values of Financial Ratios)

  • 주지환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2호
    • /
    • pp.247-268
    • /
    • 2021
  • 투자자들은 기업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재무비율을 활용하는데 특히 PER과 PBR은 적정 기업가치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수치로 알려져 있다. 금융자료는 꼬리가 매우 두터운 형태의 분포를 따르는 경우가 많은데, PER과 PBR은 첨도가 매우 높으며 해당 재무비율의 극단치들은 기업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 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학의 극단치이론에서 주로 활용되는 GPD와 최근 새롭게 제안된 분포인 exGPD를 도입하고, 두 분포 간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적합도를 살펴본 후 우측 꼬리에 속하는 90, 95, 99% 퍼센타일 값을 추정하여 실제 값과 비교한다. 다음으로 국내 증권시장에 상장된 정보기술군(IT) 기업들의 PER, PBR 자료에 근거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한다. 분석 결과 특히 PBR에서 exGPD가 GPD에 비해 자료의 우측 꼬리 영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재무비율에 기반한 기업가치평가 또는 위험관리 시 극단치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exGPD와 같은 분포를 활용한다면 꼬리 영역에 담긴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는 기업 내부 위험관리자의 효과적인 지식경영을 돕고, 투자자를 비롯하여 다양한 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지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인삼 PD 사포닌으로 배양한 고양이 말초혈액 단핵구세포 배양상층액중의 interleukin 8 양 유주활성 (Interleukin 8-like Chemotactic Activity in the Culture Supernatanl from Felin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Exposed to Ginseng PD Saponin)

  • 양만표;박세헝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0-115
    • /
    • 1998
  • 인삼 PD saponin(GPD)으로 배양한 고양이 말초혈액 단핵구세포(afNC) 배양상충 액에서 말초혈액 다형핵백혈구(PMNC)에 대한 interleukin(IL) 8 양 유주활성에 잔하여 검토 하였다. PMNC의 유주활성은 Hoyden chamber 변법으로 측정하였다. GPD를 첨가하여 배양 한 MNC배양상층액중에는 rMNC에 대한유주활성이 인정되었다. PMNC에 대하여 GPD 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중에 존재하는 유주활성이 IL 8 양 물질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human recombinant IL 8을 이용하여 고양이 PMNC에 대해 유주팔성을 측정한 결과, GPD 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의 경우와 동등한 활성이 나타났다. Human IL 8 mAb를 사용하 여 GPD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중의 유주활성에 대한 중화반응을 살펴본 결과, GPD로 배양잔 MNC 배양상충액 및 human IL 8에 의해 증가되었던 PMNC의 유주활성은 IL 8 cAb의 첨가농토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또한 GPD로 배양한 고양이 MNC 배양상충액중의 유주활성은 열처리(4, 30, 37, 60 및 $100{\circ}C$) 및 산(pH 3.0)과 알카리 (pH 9.0)처리에도 안정성을 보여 human IL 8의 물리화학적 성상과 매우 유사하였다. 따라서 GPD로 배양한 MNC 배양상충액중에 존재하는 고양이 PMNC에 대한 유주활성은 feline IL 8 양 물질임을 강하게 시사하였다.

  • PDF

Aspergillus oryzae에서의 이종 Promoter들의 발현 (Expression of Heterologous Promoters in Aspersillus oryzae)

  • 함영태;김희정
    • KSBB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38-45
    • /
    • 1995
  • Aspergillus oryzae에서 A. nidulans의 glyceral d 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pdA)와 trpC, prmoter의 발현 능력 을 E. coli lacZ gene fusion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A. oryzae 내에서 발현된 E. coli $\beta$galactosidase의 specific activIty를 조사하여 본 결과, gpdA promoter를 가지는 transformant들 에서는 2,000unit/ug of protem 정도의 activity를 보이는 반면, trpC, promater를 가지고 있는 transformant들에서는 10.5~52.3unit/ug of protein 정도의 activity를 보였다. 이 결과로부터 A. oryzae 내에서 A. nidulans의 gpdA promoter가 trpC, promoter에 비해 70 배 정도 더 강한 발현 능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Western blot 분석에서도 gpdA promoter를 가지고 있는 transf ormant에서 더 많은 E. coli $\beta$-galactosidase가 발현된 것 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southern blot 분석에서는 이러한 강한 발현이 transform된 plasmid의 copy number와 상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점과정 기법을 이용한 VaR추정의 성과 (Performance of VaR Estimation Using Point Process Approach)

  • 여성칠;문성주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3호
    • /
    • pp.471-485
    • /
    • 2010
  • 금융위험의 위험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현재 VaR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VaR의 측정은 사용의 편리상 정규분포를 가정하여 이루어져 왔으나 좀 더 정확한 VaR의 산출을 위해 최근 극단치이론을 이용한 추정방법이 관심을 끌고 있다. 지금까지 극단치이론을 이용하여 VaR의 추정을 위한 확률모형에는 주로 GEV모형과 GPD모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EV모형이 갖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좀 더 정확한 VaR를 측정하기위한 노력으로 PP모형을 제시하였다. PP모형은 확률과정의 관점에서 GEV모형과 GPD모형을 포괄하는 모형으로서 기존의 EV모형을 일반화시키는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PP모형이 기존의 정규분포와 두 EV모형에 비해 VaR추정의 성과가 우수함을 실증분석을 통해 보여주었다.

GPD 모형 산정을 위한 부분시계열 자료의 임계값 산정방법 비교 (Comparison of Methods of Selecting the Threshold of Partial Duration Series for GPD Model)

  • 엄명진;조원철;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5호
    • /
    • pp.527-544
    • /
    • 2008
  • GPD 모형은 수문학 극치확률량 해석에 주로 적용되어 왔다. 극치 통계의 주목적은 드문 사상의 예측이며, 주요 문제점으로는 임계값 또는 임계값 초과치들에 대한 정확한 산정방법이 없어 그 추정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임계값 또는 임계값 초과치들을 산정하기 위하여 4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비교를 위하여 GPD 모형에 적용하여 7개의 지속시간(1, 2, 3, 6, 12, 18 및 24시간)과 10개의 재현기간(2, 3, 5, 10, 20, 30, 50, 70, 80 및 100년)에 대한 매개변수 및 Quantile을 추정하였다. 3변수 GPD의 매개변수 및 Quantile을 추정하기 위하여 MOM, ML과 PWM을 적용하였다. 적합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K-S, CVM 및 A-D 검정을 수행하였고 Monte Carlo 실험으로 상대 제곱근오차를 산정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임계값 산정방법들을 비교하여 최적화된 방법을 추정하였다.

GPD 프로모터를 이용한 항균활성 효모의 활성증진 (Improvement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Bacteriocidal Yeasts Using the GPD Promoter)

  • 장민경;유기환;김남영;이옥희;신재균;장혜지;이승우;이동근;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34-939
    • /
    • 2010
  • 박테리오신의 항균활성 개선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ADH 프로모터에 의해 박테리오신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효모발현 벡터에 GPD 프로모터 단편을 도입하여 강력한 프로모터를 가진 효모발현 재조합 플라스미드DNA를 제작하였다. ADH 프로모터에 의해 박테리오신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기존의 형질전환 효모들에 비해 새롭게 개발된 GPD 프로모터에 의해 박테리오신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형질전환 효모들이 그람양성 대표세균인 고초균(B. subtilis)과 그람음성 장내세균인 대장균(E. coli) 모두에서 보다 높은 생육억제환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GPD 프로모터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박테리오신 생산 효모들을 이용하여 부패하기 쉬운 식품들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존제 대체물질 또는 가축 사료에서 병원균의 생육을 저해하기 위한 항생제 대체물질의 산업적인 생산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Cloning and Sequence Analysis of a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ene from Ganoderma lucidum

  • Fei Xu;Zhao Ming Wen;Li Yu Xia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5호
    • /
    • pp.515-522
    • /
    • 2006
  • A cDNA library of Ganoderma lucidum has been constructed using a Zap Express cloning vector. A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ene (gpd) was isolated from this library by hybridization of the recombinant phage clones with a gpd-specific gene probe generated by PCR. By comparison of the cDNA and the genomic DNA sequences, it was found that the complete nucleotide sequence encodes a putative polypeptide chain of 338 amino acids interrupted by 6 introns. The predicted amino acid sequence of this gene shows a high degree of sequence similarity to the GPD proteins from yeast and filamentous fungi. The promoter region contains a CT-rich stretch, two CAAT boxes, and a consensus TATA box.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gpd promoter in the construction of new transformation vectors is discussed.

GPD 모형 및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한 산악형 강수 해석 (Orographic Precipitation Analysis with GPD Model and Linear Regression)

  • 엄명진;윤혜선;조원철;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53-105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산악형 강수 해석을 위해 제주도내 강우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확률강우량 산정 및 고도와의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주도내 강우관측 자료는 기상관서 4개소 및 AWS(Automatic Weather System, 자동기상관측소) 13개소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확률강우량 산정시 AWS 강우관측 자료는 AMS(Annual Maximum Series, 연 최대치 계열) 모형을 적용하기에는 자료기간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짧은 자료기간에 적합한 PDS(Partial Duration Series, 부분 기간치 계열) 모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DS의 대표적인 분포형인 GPD(Generalized Pareto Distribution)를 적용하여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과 고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확률강우량은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재현기간이 길어질수록 고도에 따른 확률강우량 증가율도 증가하였다. 다만, 재현기간과 관계없이 지속시간이 짧을 경우 확률강우량과 고도와의 선형 관계는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