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P5+/6+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산 파프리카의 색상별 phytochemical 및 항산화능 비교 (Comparison of Phytochem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Different Color Stages and Varieties of Paprika Harvested in Korea)

  • 김지선;안지윤;하태열;이한철;김선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64-56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Capsicum annuum L.)의 색상별, 품종별 phytochemical들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Phytochemical은 carotenoids, L-ascorbic acid, ${\alpha}$, ${\gamma}$-tocopherol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ABTS와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파프리카에서 7종의 carotenoids를 정성 및 정량 분석한 결과, lutein은 녹색과의 Special품종과 황색과의 Fiesta 품종이 각각 4.65${\pm}$0.84, 5.19${\pm}$0.05 mg/kg fw로 다른 파프리카에 비해 그 함량이 높았다. 적색과의 Special 품종의 capsanthin 함량이 53.70${\pm}$6.23 mg/kg fw로 다른 파프리카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총 carotenoids의 함량도 다른 파프리카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L-Ascorbic acid는 녹색과에서 적색과로 갈수록 그 함량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Tocopherol의 함량은 10.48-35.17 mg/kg fw으로 나타났으며, 녹색과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gamma}$-Tocopherol의 함량은 녹색과의 Cupra와 Special에서 각각 29.31${\pm}$1.56, 23.34${\pm}$2.26 mg/kg fw로 다른 두 색상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alpha}$-tocopherol은 적색과 Cupra 품종에서 26.02${\pm}$2.89 mg/kg fw로 그 함량이 가장 높았다. 파프리카의 색상별 ABTS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살펴본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모든 색상의 파프리카 추출물이 ${\beta}$-carotene보다 그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적색과가 다른 색상의 파프리카에 비해 항산화능이 높았는데, 이는 적색과에 다량의 capsanthin, L-ascorbic acid, ${\alpha}$-tocopherol과 같은 phytochemical들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능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MDR1 C3435T and C1236T Polymorphisms: Association with High-risk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 Pongstaporn, Wanida;Pakakasama, Samart;Chaksangchaichote, Panee;Pongtheerat, Tanett;Hongeng, Suradej;Permitr, Songsa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7호
    • /
    • pp.2839-2843
    • /
    • 2015
  • Background: MDR1, one of the most important drug-transporter genes, encodes P- glycoprotein (P-gp)-a transporter involved in protecting against xenobiotics and multi-drug resistance. The significance of the genetic background in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is not well understood. Materials and Methods: To evaluate whether C3435T and C1236T MDR1 polymorphisms are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and outcome of ALL, 208 children with ALL (median age 5.0 yr) and 101 healthy Thai children were stud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length polymorphism (PCR-RFLP) assay. Results: C3435T and C1236T MDR1 polymorphism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risk group (OR= 2.6, 95%CI =1.164-5.808; P=0.028 and OR= 2.231, 95%CI =1.068-4.659; p=0.047,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both may be candidates for molecular markers in the high-risk group of ALL.

Study on diuretic activity and electrolytes excretion of methanol extract of Lippia nodiflora (Verbenaceae) in rats

  • D., Ashok Kumar;GP, Senthilkumar;V., Thamil selvan;UK, Mazumder;M., Gupta;SK, Ray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39-46
    • /
    • 2008
  • In the Indian traditional medicine, Lippia nodiflora (Verbenaceae) whole plant is claimed to possess powerful diuretic activity. However, the diuretic potential of this plant is not yet investig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uretic potential of methanol extract of Lippia nodiflora (MELN) in rats. Control (0.9% saline solution, 25 ml/kg, b.w) or urea (1 g/kg b.w) or frusemide (5 mg/kg b.w) and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ELN (200 and 400 mg/kg b.w) were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n = 6 per each treatment group) to hydrated rats and their urine output was monitored over a period of 5 h and 24 h after drug administration. The diuretic responses with its electrolyte excretion potency of the extract were highly remarkable in comparison with control animals. The extract at doses of 200 and 400 mg/kg shows a significant increase in volume of urine with increase in $Na^{+}$, $Ca^{2+}$ and $Cl^{-}$ excretion accompanied by the excretion of $K^{+}$ in dose dependent mann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ctive component(s) in MELN had similar diuretic effect to that of frusemide. These results validate the traditional use of Lippia nodiflora as a diuretic agent.

시각장애인용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edestrian Navigation Service System for Visual Disabilities)

  • 장영건;차주현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15-321
    • /
    • 2017
  • 이 연구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써 음성인식을 통한 스마트폰을 입력도구로 사용하였고, 출력도구는 방향 및 음성안내를 하면서도 주변 환경음을 인식할 수 있는 골전도 헤드셋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기존의 길안내용 스마트폰 앱과 달리 보행해야할 방향 정보를 착용한 헤드셋의 좌우 스테레오 음의 크기로 전달하며, 갈림길이나 휘어진 길에 대한 음성안내는 수 미터 전에 안내하여 시각장애인의 보행 속도에 적합하게 안내가 이루어지며, 역방향 보행이나 경로이탈을 즉시 경고하는 장점이 있다. 방향센서로 진행방향에 대한 동적 정밀도가 1.5도인 모션 트랙커를 사용하여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방향 정보를 취득할 수 있었다. GPS의 위치오차를 극복하기 위하여 위치오차에 견고한 경로계획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을 실험한 결과 실험 경로에서 평균 방향각 오차가 6.82도(표준 편차 5.98)로 비교적 안정하게 방향을 유도하여 목적지에 도달하였다.

뽕나무버섯균의 생리적 특성 및 부후특성 (Physiological and degradational characteristics of Armillaria mellea)

  • 채정기;김윤수;이광호;김현주;김현석;최영우;김종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4-30
    • /
    • 2005
  • 뽕나무버섯균의 배양적 특징 및 부후특성을 구명하고자 최적 (액체, 한천)배지 선발, 최적 온도 선정, 최적 pH 선정, 최적 톱밥배지를 선발하고, 세포벽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최적온도는 $20{\sim}27^{\circ}C$, 최적 pH는 고체 배지에서는 pH 5.0~6.5의 약산성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최적 고체배지로는 ME와 PDA로 선발되었고, 최적 액체배지로는 glucose peptone이 선발되었다. 첨가제로는 탄소원인 lactose, mannitol, 질소원인 glutamic acid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뽕나무버섯균의 최적 톱밥배지 선발에 있어서 잣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소나무에서 균사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삼나무에서 생장이 저조하였다. 뽕나무버섯균에 의해 부후된 침엽수재와 활엽수재 모두 전형적인 백색부후의 부후 형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삼나무와 아카시나무의 부후는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소나무류(Pinus sp.)의 톱밥이 뽕나무 버섯균의 재배기질로 적합함을 보여주며 일반적으로 흔히 구할 수 있는 저가의 제재부산물인 경송류의 톱밥을 재배 기질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In vitro and in vivo pharmacokinetic characterization of LMT-28 as a novel small molecular interleukin-6 inhibitor

  • Ahn, Sung-Hoon;Heo, Tae-Hwe;Jun, Hyun-Sik;Choi, Yongseo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4호
    • /
    • pp.670-677
    • /
    • 2020
  • Objective: Interleukin-6 (IL-6) is a T cell-derived B cell stimulating factor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flammatory diseases. In this study, the pharmacokinetic properties of LMT-28 including physicochemical property, in vitro liver microsomal stability and an in vivo pharmacokinetic study using BALB/c mice were characterized. Methods: LMT-28 has been synthesized and is being developed as a novel therapeutic IL-6 inhibito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n vitro pharmacokinetic profiles such as liver microsomal stability and 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cell permeability assay were examined. For in vivo pharmacokinetic studies, pharmacokinetic parameters using BALB/c mice were calculated. Results: The logarithm of the partition coefficient value (LogP; 3.65) and the apparent permeability coefficient values (Papp; 9.7×10-6 cm/s) showed that LMT-28 possesses a moderate-high cell permeability property across MDCK cell monolayers. The plasma protein binding rate of LMT-28 was 92.4% and mostly bound to serum albumin. The metabolic half-life (t1/2) values of LMT-28 were 15.3 min for rat and 21.9 min for human at the concentration 1 μM. The area under the plasma drug concentration-time curve and Cmax after oral administration (5 mg/kg) of LMT-28 were 302±209 h·ng/mL and 137±100 ng/mL,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LMT-28 may have good physicochemical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may be a novel oral drug candidate as the first synthetic IL-6 inhibitor to ameliorate mammalian inflammation.

가자(Terminalia chebula) 추출물이 흰쥐의 간장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inalia chebula Extract on Liver in Rat)

  • 박종옥;이인섭;최종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1-147
    • /
    • 2004
  • 가자 추출물을 흰쥐에 일정량 투여한 후 간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목적으로 여러 가지 효소량의 변동을 검토하였다. 간 손상의 지표로 사용되는 AST, ALT활성을 측정한 결과 AST, ALT모두에서 정상군보다 300 mg/kg의 용량으로 2주 시료 투여한 군의 함량이 2배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자 추출물이 지질과산화물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 300 mg/kg의 용량으로 2주 시료 투여한 군함량이 정상군에 비해 135.43%, 173.9% 정도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물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XO, AO, AD 및 AH활성에 대한 효과를 관찰한 결과 마이크로솜 분획에 존재하는 AD, AH의 활성은 저해 효과가 없었고, 세포질 효소인 XO, AO의 활성은 300 mg/kg의 용량으로 2주 시료 투여한 군 함량이 정상군에 비해 약 2배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가자 추출물에 의한 간 조직중 glutathione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찰한 결과 2주 동안 3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한 군의 glutathione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약 7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자 추출물 투여 후 glutathione의 함량 감소를 경감시키는 기전을 알아볼 목적으로 glutathione 합성에 관여하는 $\gamma$-GCS의 활성과 산화형 glutathione을 환원형 glutathione으로 환원시키는 GR의 활성을 관찰한 결과 정상군에 비해 GR이 56.6%, $\gamma$-GCS가 6.7%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glutathione의 함량 변동은 산화형 glutathione을 환원형 glutathione으로 환원시키는 GR의 활성에 영향을 주어 나타나는 결과로 생각된다. 가자 추출물이 지질과산화의 해독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목적으로 catalase, GP 및 SOD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catalase, GP의 활성은 각각 77.5%, 64.3%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SOD의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약 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수처리 시간에 따른 Ti-6Al-7Nh 합금의 생체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activity of Ti-6Al-7Nb Alloys with Various Hydrothermal Treatment Times)

  • 권오성;최석규;박광범;이민호;배태성;이오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4권12호
    • /
    • pp.876-884
    • /
    • 2004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bioactivity of the anodized and hydrothermally treated Ti-6Al-7Nb alloy were affected by the time of hydrothermal treatment. Anodizing was performed at current density 30 $mA/cm^2$ up to 300 V in electrolyte solutions containing $DL-{\alpha}-glycerophosphate$ disodium salt hydrate $(DL-{\alpha}-GP)$ and calcium acetate (CA). Hydrothermal treatment was done at $300^{\circ}C$ for 30 min, 1 hr, 2 hrs, and 4 hrs to produce a thin film layer of hydroxyapatite (HA). The bioactivity was evaluated from HA formation on the surfaces in a Hanks' solution with pH 7.4 at $36.5^{\circ}C$ for 10, 20, and 30 days. Anodic oxide films were porous with pore size of $1\sim4{\mu}m\;and\;3\sim4{\mu}m$ thickness. The anodic oxide films composed with strong anatase peak with presence of rutile peak, and showed the increase in intensity of anatase peak after hydrothermal treatment. It was shown that the intensity of anatase peak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time of hydrothermal treatment but was no difference in rutile peak. The corrosion voltage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of hydrothermal treatment for 2 hrs (Ecorr: -338.6 mV). The bioactivity in Hank's solution was accelerated with increasing the time of hydrothermal treatment.

Acute Normovolemic Hemodilution Effects on Perioperative Coagulation in Elderly Patients Undergoing Hepatic Carcinectomy

  • Guo, Jian-Rong;Jin, Xiao-Ju;Yu, Jun;Xu, Feng;Zhang, Yi-Wei;Shen, Hua-Chun;Shao, Y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529-4532
    • /
    • 2013
  • Background: Acute normovolemic hemodilution (ANH) has been widely used to prevent the massive blood loss during hepatic carcinoma. The influences of ANH on coagulation function are still controversy, especially in elderly patients. The study observed ANH effects on coagulation function and fibrinolysis in elderly patients undergoing the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elderly patients (aged 60-70 yr) with liver cancer (ASA I or II) taken hepatic carcinectomy from February 2007 to February 2008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H group (n=15) and control group (n=15). After tracheal intubation, patients in ANH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infused with 6% hydroxyethyl starch (130/0.4) and Ringer's solution, respectively. Blood samples were drawn from patients in both groups at five different time points: before anesthesia induction (T1), 30 min after ANH (T2), 1 h after start of operation (T3), immediately after operation (T4), and 24 h after operation (T5). Then coagulation function, soluble fibrin monomer complex (SFMC), prothrombin fragment (F1+2), and platelet membrane glycoprotein (CD62P and activated GP IIb/GP IIIa) were measured. Results: The perioperative blood loss and allogeneic blood transfusion were recorded during the surgery. The perioperative blood lo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0.05), but the volume of allogeneic blood transfusion in ANH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in control group ($350.0{\pm}70.7$) mL vs. ($457.0{\pm}181.3$) mL (p<0.01). Compared with the data of T1, the prothrombin time (PT)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measured after T3 were significantly longer (p<0.05) in both groups, but within normal rang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thrombin time (TT) and D-dimer between two groups at different time points (p>0.05). SFMC and F1+2 increased in both groups, bu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AC-1-positive cells and CD62P expressions in patients of ANH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at T1 (p<0.05) and T2-T5 (p>0.05). Conclusions: ANH has no obvious impact on fibrinolysis and coagulation function in elderly patients undergoing resection of liver cancer. The study suggested that ANH is safe to use in elderly patients and it could reduce allogeneic blood transfusion.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 처리(處理)가 담배의 오존 피해경감(被害輕減)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Minimizing Ozone Injury in Tobacco(Nicotiana tabacum L.))

  • 박금숙;조정환;손재근;이상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4-62
    • /
    • 1998
  • 본 실험은 식물생장조절제인 ABA와 IAA를 처리가 오존에 의한 가시적 피해 경감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항산화물질의 함량 및 항산화효소의 활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담배품종 NC82를 공시하여, 파종후 60일 된 개체에 ABA와 IAA를 각각 $10^{-3}$M 및 $10^{-5}$M의 농도로 엽면처리한 후 0.3ppm의 농도로 하루 6시간씩 7일간 오존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담배에서 ABA와 IAA의 처리는 오존의 가시적 피해증상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오존 처리구에서는 모두 담배의 생육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초장의 경우 IAA $10^{-3}$M의 처리구에서 다소 증가하였다. 2. 엽록소 함량은 오존처리후의 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ABA와 IAA처리는 오존처리구에서 엽록소함량의 감소를 작게 하였다. 3. 오존에 3일간 처리한 담배는 산화형 ascorbate가 환원형 ascorbate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ABA와 IAA를 처리한 구에서는 오존 처리구보다 산화형 ascorbate가 낮게 나타났으나 7일간 오존을 처리한 구에서는 처리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3일간 오존 처리시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증가하였고 ABA 및 IAA $10^{-3}$M에서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증가가 뚜렷하였으며, 7일간 처리에서도 SOD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식물생장조절제의 처리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5. Ascorbate peroxidase와 guaiac이 peroxidase 활성은 오존무처리구에서도 모두 증가하였으나, 7일간 처리시는 두 효소 모두 처리간에는 변화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