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NADOSOMATIC INDEX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35초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HCG) 처리에 의한 독가시치, Siganus canaliculatus의 배란유도 (Induced Ovulation in rabbitfish, siganus canaliculatus, with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 황형규;이정의;양상근;노섬;강용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7-204
    • /
    • 1999
  • Successful produciton of seedlings for marine fish species are highly influenced by the aquisiton of sufficient number of good-quality eggs on required time.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as been used to induce successful ovulation for the purpose. Rabbitfish, siganus canaliculatus, is inhabited along the coast of Cheju Province and treated valuably for raw fish and fish roasted with seasoning. Female wild-captured rabbitfish (314 to 279 g in body weigth) were injected into intraperitoneal space with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of 5,00,1,000, and 1,500 IU/kg body weight during spawning season of July 14 (trial 1), and July 27 (trial 2). Test fish in trial 1 were injected two times, first on July 14 and second on July 21 with one weekinterval because of no ovulation symptoms, but just one time in trial 2. All females injected both 1,000 and 1,500 IU/kg body weight ovulated in all trials. Among 500 IU/kg injection treatments, just one female ovulated in trial 1 showing 25% of ovulation rate, but none ovulated in trial 2. Ovulation was not occurred in control goups during test period. Time to reach ovulation after injection was 172 to 270 hours in trial 1 and 77 to 132 hours in trial 2, showing shorter as spawning season approached. Generally, ovulation of smaller females were late than that of larger ones. Gonadosomatic index (GSI) and pseudo-gonadosomatic index (Pseudo-GSI) were ranged 22 to 33% and 19 to 28%, respectively. One female spawned 406,200 to 1,032,000 eggs, and obtainable eggs per 100g of body weight were calculated by 130,000 to 190,000. Spawning rates were comparatively high by 96.0 to 98.4%. Rates to reach embryo-formation and hatching were higher in 500 high by 96.0 to 98.4%. Rates to reach embryo-formation and hatching were higher in 500 and 1,000 IU/kg treatments than in 1,500 IU/kg treatment. The result of present study demontrates that HCG treatment during spawning season could become very useful for ovulation of rabbitfish and the suitable dosage was suggested as 1,000 IU/kg of body weight.

  • PDF

갯장어 Muraenesox cinereus의 난소 발달에 따른 혈중 Estradiol-17β 변동 (Profile of Plasma Estradiol-17β According to Ovarian Development of the Pike Eel, Muraenesox cinereus)

  • 김대중;김이청;손맹현;이정의;손상규;한창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851-1854
    • /
    • 2009
  • 본 연구는 통영 해역에서 채집되어진 갯장어, Muraenesox cinereus의 생식년주기에 있어서 난소 발달과 생식소중량지수 (gonadosomatic index; GSI) 변화에 따른 혈중 estradiol- $17{\beta}$ ($E_2$) 농도 변화를 서로 연관시켜 조사하였다. 난소 성숙도는 조직학적 관찰을 기초로 주변인기(11월-2월), 유구기(3월-4월), 초기 난황형성기(4월-5월) 및 후기 난황형성기(6월-10월)로 나 눌 수 있었다. GSI의 계절적 변화는 수온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난소의 성숙 정도에 영향을 미쳤다. 혈중 $E_2$ 농도는 GSI 변화와 관련이 있어 4월에 증가하여 7월에 년중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10월까지 비교적 높은 농도로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GSI와 혈중 $E_2$ 농도 변화는 갯장어 난소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산란기의 암컷 갯장어를 채집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산란기의 개체는 외해의 심해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Adverse Reproductive Effects on Plasma Vitellogenin and Sex Steroid Levels, and Gonadosomatic Index in Juvenile Common Carps (Cyprinus carpio) Exposed to 17$\beta$-Estradiol and D-2-Ethylhexyl Phthalate

  • Seo, Jinwon;Park, Kyung-Seo;Moon, Woon-Gi;Lee, Sung-Kyu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
    • /
    • pp.141-144
    • /
    • 2002
  • Environmental estrogens are natural or synthetic substances present in the aquatic environment, especially in effluent from sewage treatment. However, the adverse effects of these estrogenic substances on fish reproduction are unknown.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is the most common phthalate, which Ps used as a plasticizer in polyvinylchloride (PVC), and it is widespread in the environment and has been found in aquatic organisms and sediments. Therefore, juvenile common carps (Cyprinus carpio) were exposed to nominal concentrations of 17$\beta$-estradiol (E2) (0.5, 5, 50 $\mu\textrm{g}$/L) and DEHP (10, 100, 500 $\mu\textrm{g}$/L) for 21 days, to determine the adverse reproductive effects of these compounds on plasma vitellogenin (VTG) induction, sex steroid level, and gonad weight. Electrophoresis (SDS-PAGE) revealed that much of VTG was induced in fish exposed to 5 and 50 E$_2$ $\mu\textrm{g}$/L, but none of DEHP exposure showed inductio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vealed that VTG was significantly induced in fish exposed to 5 and 50 E$_2$ $\mu\textrm{g}$/L, and combination of 50 E$_2$ $\mu\textrm{g}$/L with 10 and 500 DEHP $\mu\textrm{g}$/L, but none of DEHP exposure showed induction. Analysis of sex steroid levels in some fish revealed that testosterone (T) was detected in both male and female fish of the control and DEHP exposures, but none of fish exposed to 22 concentrations had detectable testosterone level. On the other hand, E$_2$ exposure induced 17$\beta$-estradiol in plasma of male fish, but there was no induction of 17$\beta$-estradiol in plasma of male fish exposed to DEHP. Comparison of gonadosomatic index (GSI) revealed that maximal E$_2$ exposure inhibited ovarian growth, but maximal DEHP exposure stimulated testicular growth.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ose comparisons can be a useful bio-indicator for determining adverse reproductive effect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 PDF

한국 서해안 해삼, Stichopus japonicus의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Stichopus japonicus in the West Coast of Korea)

  • 박광재;박영제;김수경;최상덕;김용구;최낙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6-30
    • /
    • 2007
  • 2004년 10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서해안 안면도 해역에서 채집한 해삼(Stichopus japonicus)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에 관하여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해삼은 자웅이체이며, 생식소는 암 수 모두 다수의 배우자형성소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생식소지수(GSI)는 암 수 모두 각각 6월(7.91, 7.21)에 가장 높았으며, 10월(0.42, 0.53)에 가장 낮았다. 서해안 해삼의주 산란기는 $6{\sim}8$월이며,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1{\sim}3$월), 성장기($3{\sim}4$월), 성숙기($4{\sim}7$월), 산란기($6{\sim}8$월) 및 퇴화 및 휴지기($8{\sim}1$월)로 구분할 수 있었다.

육상수조에서 계대사육한 시마연어, Oncorhynchus masou (Brevoort)의 종묘생산 (Seed Production from Pond Cultured Cherry Salmon, Oncorhynchus masou (Brevoort))

  • 성기백;김경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18
    • /
    • 2007
  • 계대사육한 시마연어(Oncorhynchus masou)의 인공종묘생산시험에 관해 조사하였다. 1997년산과 1998년산 시마연어의 발안율은 각각 76.7%, 66.3%이고, 부화율은 24.3%, 20.2%였고, 부상율은 12.8%, 10.4%였다. 치어는 부화 후 22개월 만에 가랑이체장과 체중이 각각 27.4 cm, 체중 249.6 g, 28.1 cm, 체중 288.2 g으로 성장하였으며, 생존율은 21.2, 48.6%였다. 1997년산, 1998년산, 산천어의 상대성장식은 각각 $BW=0.0088FL^{3.0893}$, $BW=0.0076FL^{3.1248}$, $BW=0.0093FL^{3.0652}$로 나타났다. $0^+$어의 암수별 평균 가랑이체장과 체중을 보면, 체장은 각각 $9.32{\pm}1.19\;cm$, $9.07{\pm}1.02\;cm$이었고, 체중은 각각 $9.36{\pm}3.50\;g$, $8.57{\pm}3.04\;g$으로 나타났고 성비는 암컷이 34%를 차지하였다. $1^+$어의 smolt 된 암수의 평균 가랑이체장은 각각 $19.85{\pm}1.14\;cm$, $19.95{\pm}2.62\;cm$이고, 평균체중은 각각 $84.09{\pm}18.1\;g$, $86.33{\pm}41.2\;g$으로 나타났으며 성비는 암컷이 91.3%를 차지한 반면, parr의 암수 평균 가랑이체장은 각각 $19.60{\pm}3.79\;cm$, $19.81{\pm}2.74\;cm$, 평균 체중은 각각 $101.88{\pm}60.9\;g$, $98.38{\pm}39.6\;g$으로 나타났고, 성비는 암컷이 21.3%를 차지하였다. 생식선 숙도 지수는 10월에 최대값인 10.99를 나타냈으며, 수컷은 9월에 6.56으로 최대값을 나타내 암수의 성숙 시기가 달랐다.

광주기와 수온에 의한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교미 및 출산 조절 (Regulation of Copulation and Parturition in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by Photoperiod and Temperature)

  • 박무억;노섬;변수철;이치훈;백혜자;이영돈;김형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3-180
    • /
    • 2001
  • 광주기와 수온의 인위제어에 따른 조피볼락, S. schlegeli의 교미 및 출산 조절을 번식생물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어미의 출산유도 사육실험은 자연조건의 대조구와 광.수온 조절의 실험구로 나누어 사육하였다. 실험구에 있어서 광주기 조절은 교미시기에 9L:15D, 출산시기에는 14L:10D로 조절하였다. 수온 조절은 교미시기 12~13$^{\circ}C$, 출산시기에 14~15$^{\circ}C$로 조절하였다. 수컷의 GSI는 1996년 4월에서 8월까지 딱 0.12로 낮은 값을 유지하였고, 대조구는 11월에 1.36$\pm$0.10, 실험구에서는 10월에 1.27$\pm$0.05로 각각 최대값에 달하였다. 암컷의 GSI는 1996년 1월에서 11월까지 약 1.82로 낮은 값을 유지하였고, 대로구는 4월에 46.5$\pm$5.72, 실험구는 1997년 2월에 42.0$\pm$4.24로 각각 최대값을 가졌다. 광주기와 수온을 조절한 실험구는 정소와 난소의발달 양상이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나, 교미와 출산은 2~3개월 앞당길 수 있었다.

  • PDF

웅어, Coilia nasus의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Coilia nasus)

  • 이봉우;정의영;이정열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9-186
    • /
    • 2003
  • 본 연구는 2002년 2월부터 2003년 1월까지 군산 내항과 충청남도의 서천군 장항읍과 전라북도의 군산시를 연계한 금강하구둑 유역에서 채집된 웅어 , Coilia nasus를 대상으로 산란기를 추정하기 위해 생식소중량지수(GSI), 생식소 발달단계에 따른 생식주기를 조직학적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웅어는 자웅이체이고 난소는 한 쌍의 낭상구조를 하고 있으며 수많은 난소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정소는 한 쌍의 엽상 구조를 하고 있으며 수많은 정소소엽으로 이루어져 있고 후부의 저정낭에 연결되어 있다. 암ㆍ수의 생식소중량지수(GSI)의 월별 변화는 4월에 GSI값이 증가되기 시작하여 난소와 정소가 성숙되고 고수온-장일장이 되는 하계의 6월에 최대에 이른다. 생식주기는 암컷의 경우, 초기성장기(2~3월), 후기성장기(3~4월), 성숙기(5~6월), 완숙 및 산란기(6~7월),회복 및 휴지기(7~l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고, 수컷의 경우는 성장기(2~4월), 성숙기(5~7월), 완숙및 방정기(6~7월),회복 및 휴지기(7~l월)의 연속적인 4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산란기 난경 빈도분포에 의하면, 웅어는 연중 한번의 산란기를 가지며 한 개체가 최소한 2~3회를 산란하는 다회산란종으로 추정되었다.

강원도 철원군 남대천에 서식하는 참종개의 성장과 번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production and Growth of Iksookimia koreensis Kim (Pisces: Cobitidae) in the Namdae Stream, Cheorwon-gun, Gangwon-do Korea)

  • 김도홍;조해영;이호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27
    • /
    • 2008
  • 강원도 철원군 남대천에 서식하는 참종개를 2004년 6월부터 2005년 6월까지 매월 1회 채집을 하여 번식과 성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참종개는 1년에 한 번 산란을 하며, 최대 산란 시기는 5월부터 6월까지이다. 성비는 1 : 0.56으로 암컷의 개체수가 수컷의 개체수보다 더 많으며, 암수 모두 최대 연령은 3세이며, 체장, 체중 모두 암컷이 수컷보다 빠르게 성장한다.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암컷 $L_t=126.30[1-\exp\{-0.576(t+0.940)\}]$, 수컷은 $L_t=100.19[1-\exp\{-1.119(t+0.695)\}]$으로 나타났다. 체장-체중의 관계식은 $W=2.192{\times}10^{-6}L^{3.199}$으로 암수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체중의 성장식은 암컷 $W_t=11.567[1-\exp\{-0.576(t+0.940)\}]^{3.199}$ 수컷은 $W_t=5.514[1-\exp\{-1.119(t+0.695)\}]^{3.199}$으로 나타났다.

소양호에 서식하는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의 성숙과 산란 특성 (Maturity and Spawning of Korean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in Soyangho Lake)

  • 신아리;박희원;이완옥;송미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4-91
    • /
    • 2018
  • 본 논문은 소양호에 서식하는 내수면어업의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쏘가리(Siniperca scherzeri)의 성숙과 산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 사용된 쏘가리는 2014년 4월부터 11월까지 정치망과 자망을 통해 채집하였고, 암컷이 204개체로 전장범위는 113~365 mm이었고, 수컷은 197개체로 전장 범위가 140~342 mm이었다. 산란기가 시작되는 5월의 수온은 $15^{\circ}C$를 나타냈으며, 점진적으로 높아져 7월에 $26^{\circ}C$를 나타내었다. 암컷의 생식소 숙도지수(GSI)는 5월에서 7월까지 각각 2.3%, 4.6%, 3.1%로 나타났고, 수컷의 경우 8.0%, 6.6%, 4.5%로 나타났다. 난소 조직은 5월에 많은 수의 샘플이 중숙으로 관찰되었으며 6월에는 대다수가 성숙, 7월에는 완숙 및 방란으로 관찰되었다. 정소 조직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5월에는 대다수가 중숙, 6월에는 성숙, 7월에는 방중으로 관찰되었다. 월별 성숙도와 생식소 숙도지수 (GSI), 생식소의 조직관찰을 통한 분석결과, 소양호에 서식하는 쏘가리의 산란기는 5월에서 6월로 추정되었다. 또한 군성숙도를 분석한 결과, 암컷 쏘가리의 50% 성숙체장은 245.16 mm로 나타났다.

추령천에 서식하는 가시납지리, Acheilognathus chankaensis (Pisces: Acheilognathinae)의 개체군 생태 (Population Ecology of Acheilognathus chankaensis (Pisces: Acheilognathinae) in the Churyeongcheon (Stream), Korea)

  • 김형수;김수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5-125
    • /
    • 2021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추령천 일대에서 2006년 2월부터 2007년 5월까지 가시납지리의 개체군 생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시납지리는 물의 흐름이 느리고 하상이 주로 모래, 뻘, 잔자갈의 비율이 높은 수역에서 서식하였다. 체장빈도분포법으로 연령을 추정한 결과, 체장 30~46mm 군은 만 1년생, 47~58mm 군은 만 2년생, 59~68mm 군은 만 3년생, 69mm 이상 군은 만 4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생식소성숙도지수(GSI)는 3월(암: 12.9%, 수: 5.0%)에 가장 높았고, 산란관길이/체장(Ovipositor length/Standard length)의 비율(%)은 4월(46.3%)에 가장 높았다. 성숙란인 1.6mm 이상 크기의 난경이 차지하는 비율은 5월(13.2%)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란기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산란기는 3월부터 6월까지로 추정되었고 (수온 11.5~22.5℃) 조사기간 동안 성비는 1:1.13(♀:♂)이었다. 포란수는 318±174.5 (50~583)개, 성숙란수는 220±139.2 (50~406)개, 성숙난의 크기는 장경 2.04±0.110mm, 단경 1.55±0.100mm으로 나타났다. 가시납지리의 주요 먹이생물은 규조류(Bacilariophyceae)의 Fragilaria, Synedra, Navicular, Cymbella 등과 녹조류(Chlorophyceae)의 Cosmarium 같은 식물성플랑크톤이 주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