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C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1초

GC-ECD/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Quintozene의 잔류분석 (Determination of Quintozene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GC-ECD/MS)

  • 안경근;김경하;김기쁨;황영선;홍승범;이영득;정명근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5-20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GC-ECD/MS를 이용하여 농산물 중 aromatic 살균제 quintozene의 잔류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대표 농산물은 사과, 고추, 배추, 현미 및 콩을 선정하였고, acetonitrile을 가하여 추출된 quintozene 성분을 n-hexane 액-액 분배법과 florisil 흡착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여 GC-ECD/MS 분석대상 시료로 사용하였다. Quintozene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최적 GC-ECD 분석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정량한계(LOQ)는 0.004 mg/kg 이었다. 각 대표 농산물에 대해 정량한계, 정량한계의 10배 및 50배 수준에서 회수율을 검토한 결과 모든 처리농도에서 79.9~102.7%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반복 간 변이계수(CV)는 최대 4.3%를 나타내어 잔류분석 기준인 회수율 70~120% 및 분석오차 10% 이내를 충족시키는 만족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GC/MS/SIM을 이용하여 실제 농산물 시료에 적용하여 재확인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신규 quintozene의 GC-ECD/MS 분석법은 검출한계, 회수율 및 분석오차면에서 국제적 분석기준을 만족하는 신뢰성이 확보된 정량 분석법으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MODIS LAI 데이터를 이용한 툰드라-타이가 경계의 식생 공간분포분석 (Vegetation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undra-Taiga Boundary Using MODIS LAI Data)

  • 이민지;한경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27-3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식생의 분포 변화를 관측하였다.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은 인간 활동 혹은 기후 변화에 따른 신호로 나타나는 식생패턴의 이동을 관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극지의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은 조금의 변화에 대해서도 두드러진 반응을 관찰 할 수 있으므로 다른 곳에 비해 기후변화에 대한 반응과 확인이 명확하다. 연구 자료로서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총 10년간 매년 8월을 Terra위성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센서로부터 취득한 LAI(Leaf Area Index) 8-Day 자료를 사용하였고, 보조 자료로서 기후지도와 GLC 2000(Global Land Cover 2000)토지피복 지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엽면적 지수의 10년치 장기간 자료를 이용하여 시 공간 분석과 식생의 밀도가 저조한 지역을 중심으로 위도대 별, 토지피복 별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에 대하여 엽면적 지수의 기준값을 바탕으로 한 분석에서 2000년에서 2009년까지 LAI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툰드라 기후에서 식생의 감소가 일어난 면적($22,372km^2$) 보다 식생의 성장을 보인 면적은 $730,325km^2$ 로서 식생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도대 별 면적 분석을 통해 위도 $62^{\circ}$ N의 주위와 위도 $64^{\circ}$ N~$66^{\circ}$ N을 중심으로 면적 증가가 나타났으며,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의 식생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전반적인 증가 추세가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식생 감소가 일어나는 면적 변화는 다소 적은 것에 비해 식생의 성장과 발달이 일어나는 곳의 면적은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에너지 충돌 탄뎀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올리고당의 연결부위 연구: 금속양이온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 (Linkage Positions of Oligosaccharides by Low Energy Collision Tandem Mass Spectrometry: Effect of the Addition of Metal Cations)

  • 육은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557-564
    • /
    • 1996
  • 각기 다른 양이온$(Na^+, Li^+, K^+, NH_4^+)$을 구조이성질체인 일련의 합성 올리고당에 첨가함으로써, 양이온의 결합정도가 올리고당의 연결위치에 따라 달라지리라는 것을 FAB CAD MS/MS(Fast Atom Bombardment Collision Activated Dissociation Mass Spectrometry/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안정성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알카리 양이온화된(cationized) 올리고당들은 양성자화(protonated)된 형태보다 더 큰 안정성을 나타내어 -40 eV의 충돌 에너지 수중에서 연결부위와 작용기들이 분절된 스펙트럼형태를 보인 반면, 양성자화된 올리고당은 -10 eV에서 에서 같은 정도의 분절을 보였다. 첨가된 양이온 중, 칼륨 양이온이 첨가된 올리고당이 다른 것에 비해 안정화되어 triple quadrupole기종의 허용에너지 조건하에서는 분절이온을 생성하지 않는다. 다른 양이온화된 올리고당들은 충돌기체인 argon의 압력이 0.8mTorr 상태에서 양이온의 종류에 따라$Nap^+>Li^+>NH_4^+$순으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올리고당과 결합하는 금속양이온들은 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아미노당에 위치하며, 이는 아미노당을 포함하는 분절이온마다 각 양이온에 해당하는 만큼의 질량이 이동된 분절피크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 가능하다. 또한 양이온화된 것이 양성자화된 것보다 더 큰 안정성을 지니는 이유는 금속 양이온과 아미노당의 N-acetyl 작용기 및 fucose의 산소 사이에 크라운에테르 형태의 결합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때 참여한 금속 양이온의 크기 및 연결위치-이성질 부분의 구조적 형태에 따라 결합정도의 차이를 보여 각기 다른 분절스펙트럼의 형태를 나타내며 안정성면에서도 1-6>1-4>1-3 연결위치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신생 쥐 간의 Progesterone $6{\alpha}-Steroid$ Hydroxylase에 대한 연구 (Study on Progesterone $6{\alpha}-Steroid$ Hydroxylase from New-born Rat Liver)

  • 조도현;박연희;유연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2호
    • /
    • pp.100-106
    • /
    • 1984
  • 신생 쥐 간의 subcellular fraction의 특징과 $6{\alpha}$-steroid hydroxylase의 subcellular localization및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0g 30초 침전 fraction은 총 DNA의 95%를 차지하므로써 crude nuclei fraction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5'-nucleotidase의 specific activity가 높은 것은 파괴되지 않은 세포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이 되며, 1450g 10분 침전 fraction은 5'-nucleotidase의 activity가 가장 높으므로 crude plasma membrane fraction으로 동정하였으나 mitochondria가 같이 침전되어 있었으며, 9000g 20분 침전 fraction은 succinate-cytochrome C reductase의 activity가 가장 높아 mitochondria fraction으로 하였고, 105,000g 60분 상등액은 LDH가 가장 높아 cytosol로 하였으며, 105,000g 60분 침전은 남은 부분으로 microsome fraction으로 추정하였다. 각 fraction에 기질인 $3{\beta}$-hydroxy-$5{\alpha}$-pregnan-20-one을 incubation시킨 후의 생성된 steroid를 보면 crude nuclei fraction에서는 pregnadiol($5{\alpha}$-pregnane-$3{\alpha}/{\beta}$, $20{\alpha}$-diol)의 형성으로 $20{\alpha}$-reduction과 $3{\alpha}$-$3{\beta}$ iso${\beta}$merization을 볼 수 있었으며 crude plasma membrane fraction에서는 $20{\alpha}$-reduction과 $6{\alpha}$-hydroxylation을 볼 수 있었으며 crude mitochondria와 cytosol에서는 $20{\alpha}$-reduction만을 crude microsome에서는 $16{\alpha}$-hydroxylation을 볼 수 있었으므로 $6{\alpha}$-hydroxylase는 crude plasma membrane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6{\alpha}$-steroid hydroxylase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6{\alpha}$-steroid hydroxylase의 최대 활성도는 pH 7에서 나타났으며 progesterone은 hydroxylation을 시키지 못한 반면 $3{\alpha}$-hydroxy-$5{\alpha}$-pregnan-20-one은 $6{\alpha}$-hydroxylation이 되었다.

  • PDF

식물세포(植物細胞) 배양(培養)에 의(依)한 이차대사산물(二次代謝産物)의 생성(生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 II. Capsicum annuum L.의 배양세포(培養細胞)에 있어서 Growth Regulator가 Capsaicinoids, Phenylpropanoids 생성(生成) 및 Phenylalanine Amnonia-lyase (PAL)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 - (Formation of Secondary Products by Plant Cell Culture - II.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on the Formation of Capsaicinoide, Phenylpropanoids and PAL Activity in Cultured Cell of Capsicum annuum L. -)

  • 최봉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17
    • /
    • 1987
  • 고추의 배양세포(培養細胞)에 있어서 고추의 신미성분(辛味成分)인 capsaicinoids 생성(生成)에 미치는 growth regulator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며 growth regulator들을 각각 함유한 Linsmaier-Skoog 기본배지에서 배양(培養)한 callus의 capsaicinoids을 GLC에 의하여 조사하고 또한 capsaicinoids의 중간대사 산물인 phenylpropanoids와 phenylalanine ammonia-lyase activity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rowth regulators가 배양세포(培養細胞)의 capsaicinoids 생성(生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growth regulators을 달리한 배지(培地)에서 생성(生成)된 capsaicinoids의 함량(含量)은 $2,4-D\;10^{-6}M$에서 가장 capsaicinoids의 생성량(生成量)이 많았으며 $IAA\;10^{-6}M,\;NAA\;10^{-6}M,\;kinetin\;10^{-6}M$의 배지(培地)에서는 2,4-D에 비(比)하여 각각 65%, 38%, 68%이었다. 2. Growth regulators을 달리한 기본배지에서 생성(生成)된 phenylpropanoids는 cinnamic acid, coumaric acid의 생성(生成)은 5, 15, 25일(日)에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NAA 함유 배지에서는 2,4-D에 비해 약 30%, kinetin, IAA 함유배지에서는 약 70% 생성(生成)되었다. 3. $2,4-B\;10^{-6}M$을 함유한 배양세포(培養細胞)에서 phenylalanine ammonia-lyase activity을 측정한 결과 배양후(培養後) 5, 15, 25일(日) 배양일수에 따라 phenylalanine ammonia-lyase activity는 신선중량 g당 생성된 cinnamate는 각각 52, 81 및 209 % nmole로 증가하였다.

  • PDF

쪽제비싸리종자(種子)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Amorpha Fruticosa Seed)

  • 이영;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84-290
    • /
    • 1977
  • 쪽제비싸리 종자의 일반성분(一般成分)과 diethyl ether로 추출한 조지방질(粗脂肪質)에 대한 몇가지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항수(恒數), 지방질(脂肪質)의 구성(構成) 및 지방산(脂防酸)의 조성(組成)을 분석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쪽제비싸리 종자의 일반성분은 수분(水分) 10.14 %, 조단백질(粗蛋白質) 21.77 %, 조지방질(粗脂肪質) 12.73 %, 탄수화물(炭水化物) 51.75 %, 조회분(粗灰分) 3.61 %였다. 2) 유지(油脂)의 비중(比重)$(15/15^{\circ}C)$은 0.925, 굴절율 $(15^{\circ}C)$은 1,477, 발연점은 $175^{\circ}C$, titer는 $14.8^{\circ}C$였다. 3) 유지(油脂)의 요오드값은 144, 비누화값은, 182, 산값은 2.9, 에스테르값은 179, 비비누화물량은 5.17%였으며 특히 요오드값과 비비화물량이 다른 식물성 유지 보다 높았다. 4) 지방질(脂肪質)의 구성은 다른 식물성 유지와 같이 triglyceride가 주성분으로 약 75% 함유 되어 있으며 esterified sterol이 약 14% 로 그 다음으로 많고, phospholipid, free sterol 및 free fatty acid가 3.08 %, 4.40 %, 3.77 % 각각 함유되어 있었다. 5) 지방산(脂肪酸)의 조성은 linoleic acid가 76.21 %로 주성분이며,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가 9.92 % 및 5.07 %로 그 다음으로 많으며, 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4.45 % 및 2.03 %씩 각각 함유되어 있었고, 그 외에 palmitoleic acid와 arachidic acid는 1 %내외의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참깨에 대한 식품영양학적인 연구 - 제1보 탈피(脫皮)과정이 참기름 및 박(粕)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Chemical and Nutritional Studies on Sesamum indicum - I. Effects on the Quality of Sesame Oil and its Meal by Decortication -)

  • 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118
    • /
    • 1973
  • 한국산의 참깨를 탈피(脫皮) 한 것과 탈피(脫皮) 하지 않은것, 이들을 각각 채유(採油)한 기름 및 박(粕)에 대하여 일반성분, 기름의 성상(性狀), 지방 조성, 아미노산 조성, 특수 미량성분 및 oxalate 의 함량 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탈피(脫皮)참깨 및 그 박(粕)은 탈피(脫皮)하지 않은 전(全)참깨 및 박(粕)보다 조섬유, 조회분, 산불용성회분의 함량이 더 적었다. 2) 탈피(脫皮)참깨기름은 전(全)참기름 보다 비중, 굴절률, 옥소가, 비검화물, 불용성잡물의 함량이 더 컸었다. 3) 탈피(脫皮)참기름과 전(全)참기름의 지방상 조성은 서로 비슷하였으나 전자는 후자보다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다소 적었다. 4) 탈피(脫皮)참깨박(粕)은 전(全)참깨박(粕)보다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았다. 그리고 아미노산 조성은 서로 거의 비슷하였으며 이들의 박(粕)은 모두 methionine, Cystine, tryptophan 은 풍부하나 lysine 의 함량이 적었다. 5) 탈피(脫皮)참깨기름과 전(全)참깨기름중의 sesamol, sesamolin 및 sesamin 의 함량은 서로 차이점이 없었다. 6) 탈피(脫皮)참깨 및 그박(粕)은 전(全)참깨 및 그박(粕)보다 oxalate 및 calcium 의 함량이 적었다.

  • PDF

느타리, 표고와 양송이버섯의 유기산 및 지방산 조성 (Composition of Organic Acid and Fatty Acid in Pleurotus ostreatus, Lentinus edodes and Agaricus bisporus)

  • 홍재식;김영희;이극로;김명곤;조정익;박건호;최윤희;이종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0-105
    • /
    • 1988
  • 국내에서 인공재배되고 있는 느타리버섯 (Pleurotus ostreatus), 표고버섯 (Lentinus edodes), 양송이버섯 (Agaricus bisporus)의 유기산 및 지방산 조성을 GLC법에 의하여 분석하고 버섯의 종류, 크기, 부위에 따른 성분조성의 차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유기산은 3종의 버섯에서 lactic, oxalic, fumaric, succimic, malic, citric 및 pyroglutamic acid등이 확인되었고 malic, citric, pyroglutamic acid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느타리버섯 $2.4{\sim}4.0%$, 표고버섯 $1.7{\sim}3.6%$, 양송이버섯 $1.9{\sim}3.1%$이었다. 부위별로는 갓부위가 자루부위보다 많았는데 느타리버섯에서는 oxalic과 pyroglutamic acid, 표고버섯은 malic과 citric acid, 양송이버섯은 fumaric acid가 특히 많았으며 크기별로는 크기가 클수록 총유기산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특히 citric acid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지방산은 linoleic, palmitic 및 oleic acid가 주요 지방산이었으며 부위 및 크기별로 비교했을 때는 지방산 조성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 PDF

김치의 휘발성(揮發性) 향미성분(香味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Kimchis)

  • 윤진숙;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6-122
    • /
    • 1977
  • 김치의 휘발성(揮發性) 향미성분(香味成分)들에 관해서 확인(確認)하고 염도(鹽度) 및 숙성(熟成)에 따른 차이(差異)를 비교(比較)해 보았다. 김치를 고염(高鹽)김치, 저염(低鹽)김치, 저염(低鹽)날김치로 구분(區分)하고 침전반응(沈澱反應)을 통해 carbonyl화합물(化合物)과 함유황물질(含硫黃物質)의 존재(存在)를 확인(確認)하였다. Vacuum distillation하여 얻은 증류액(蒸溜液)을 ice+salt, dryice-acetone, liquid N trap에 각각 응축시킨 후(後). GC를 이용(利用)하여 분리(分離), 확인(確認)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날김치로부터 acetaldehyde, methylsulfide, propionaldehyde, acetone, methyl ethyl sulfide, methanol, ethyl sulfide, methyl ethyl ketone, ethanol, methyl allyl sulfide, methyl disulfide, allyl alcohol, allyl cyanide, allyl sulfide, allyl disulfide, allyl isothiocyanate, n-hexanol등 17가지를 잠정적으로 추정(推定)할 수 있었고, m.p. IR, UV, TLC, 관능검사(官能檢査)를 통해서 acetaldehyde, acetone, ethanol, ethyl sulfide의 4가지를 동정(同定)하였다. (2) 김치의 휘발성(揮發性) 향미성분(香味成分)으로서 가장 많은 량(量)을 차지하는 것은 ethanol이며 저염(低鹽)김치가 고염(高鹽)김치나 저염(低鹽) 날김치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3) acetaldehyde는 고염(高鹽)날김치에는 상당량이 있었으나 숙성(熟成)된 김치에서는 매우 감소(減少)하였다. (4) 함유황물질(含硫黃物質)은 숙성(熟成)된 김치에서는 그 종류(種類)가 감소(減少)하였으며 이런 경향은 저염(低鹽)김치에서 현저하였다. (5) 김치가 숙성(熟成)되면 함유황물질(含硫黃物質)이나 acetaldehyde는 감소(減少)하고 ethanol과 그밖의 발효산물(醱酵産物)이 증가(增加)하여 김치의 휘발성(揮發性) 향미(香味)를 이룬다고 생각된다.

  • PDF

Chitosan Increases α6 Integrinhigh/CD71high Human Keratinocyte Transit-Amplifying Cell Population

  • Shin, Dong-Wook;Shim, Joong-Hyun;Kim, Yoon-Kyung;Son, Eui-Dong;Yang, Seung-Ha;Jeong, Hye-Jin;Lee, Seok-Yong;Kim, Han-Kon;Park, Soo-Nam;Noh, Min-S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8권3호
    • /
    • pp.280-285
    • /
    • 2010
  • Glycosaminoglycans (GAGs) and chitosan have been used as matrix materials to support the dermal part of skin equivalent which is used for both pharmacological and toxicological evaluations of drugs potentially used for dermatological diseases. However, their biological roles of GAGs and chitosan in the skin equivalent are still unknown.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whether GAGs and chitosan directly affect keratinocyte stem cells (KSCs) and their transit-amplifying cells (TA cells). Among supporting matrix materials, chitosa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alpha}6$ $integrin^{high}/CD71^{high}$ human keratinocyte TA cells by 48.5%. In quantitative real-time RT-PCR analysis, chitosan significantly increased CD71 and CD200 gene transcription whereas not ${\alpha}6$ integrin. In addition, the level of the gene transcription of both keratin 1 (K1) and K10 in the chitosan-treated human keratinocyt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suggesting that chitosan inhibit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We also found that N-acetyl-D-glucosamine (NAG) and $\beta$-(1-4)-linked D-glucosamine (D-glc), two components of chitosan, have no effect on the expression of CD71, K1, and K10, suggesting that each monomer component of chitosan is not enough to regulate the number of epidermal keratinocyte lineage. Conclusively, chitosan increases keratinocyte TA cell population which may contribute to the cellular mass expansion of the epidermal part of a skin equivale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