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S System

검색결과 3,463건 처리시간 0.032초

효율적인 GIS 감리를 위한 감리 점검항목 (Audit Checking Items for the Efficient GIS Audit)

  • 조영주;김동오;김동수;한기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3-228
    • /
    • 2012
  • The construction of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is continuously in progress, and with the diversification and complication of the system, the importance of its audit is further deepened. At this point in time,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has been obligatory as it has been stipulated in law, and the GIS audit has come to follow the criterion of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since it belongs to the information system audit categor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information system audit standard and the former GIS audit standard, and the audit checking items for the efficient GIS audit is necessary. For this reason, this paper surveyed the characteristics of GIS in accordance with this necessity, analyzed the GIS audit checking items found in the audit performance guideline of the GIS audit standard, and studied the GIS development methodology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In addition, this paper also elicited and proposed the audit checking items for the efficient GIS audi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paper. Finally, this paper confirmed the efficiency of the GIS audit checking items proposed her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actual cases of GIS audits.

NGIS 기반하의 Business GIS 발전방안 (Development Strategies for Business GIS Based on NGIS)

  • 이봉규;송지영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14
    • /
    • 2005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Business GIS 발전을 위한 국가GIS(NGIS)의 역할과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위치기반 환경에서의 GIS 활용 현황 및 정보통신기술 환경과 GIS 기술수준을 분석하였다. 또한, GML(Geography Markup Language)과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같은 국제표준을 준수하는 GIS 콘텐츠 개발과 GIS의 killer application 분야로서의 LBS(Location-Based Service), 텔레매틱스,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gCRM(geographic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u(ubiquitous)-City, u-Town 등 다양한 신규 정보통신분야의 접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Business GIS의 QoS, 표준화, 연구 및 개발, GIS 교육, 보안등을 위한 국가GIS 기반의 개념적 수익모델을 정립하였다.

  • PDF

국가GIS사업 평가체계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for NGIS)

  • 정문섭;김동한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05-115
    • /
    • 2003
  • 현재 1995년 제1차 국가GIS계획이 본격화된 이후 국가GIS사업이 활발히 추진되어 국토공간정보 기반조성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이에 힘입어 GIS산업은 급속한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국가GIS 정책관련 투자가 의도한 목표를 제대로 달성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국가GIS정책 목표와 긴밀한 연계성을 가지는 체계적인 평가모형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논문은 국가 GIS평가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국내외 정보화평가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후, 이를 기반으로 국가GIS평가체계를 정립하고 구체적인 평가지표 도출을 시도하였다. 이 논문은 국가GIS사업 평가를 위한 기본틀을 제시함으로써 국가GIS사업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도모하고, 이를 통해 GIS사업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중복투자를 방지함으로써 국가GIS정책의 성공적 수행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GIS 예방진단시스템을 위한 TMO 응용 데이터 수집 시스템 (Data Acquisition System Applying TMO for GIS Preventive Diagnostic System)

  • 김태완;김윤관;장천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6A권6호
    • /
    • pp.481-488
    • /
    • 2009
  • 가스절연개폐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GIS)는 SF6가스를 절연 매체로 하는 대용량 전력 차단기기이다. GIS는 단순한 구조로 고장이 적고 신뢰성이 높은 편이지만 내부를 볼 수 없어 고장 확인이 어렵고 고장이 발생하면 파급 효과가 크고 복구가 어렵다. 따라서 GIS 내부의 이상 징후를 초기에 찾아낼 수 있도록 GIS 예방진단시스템이 도입되었다. GIS 예방진단시스템은 센서에서 수집, 분석한 정보로 이상 징후를 판 단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과 적시성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시스템은 중앙 집중 데이터 수집 방식으로 효율이 낮고 신뢰성과 적시성의 보장이 어렵다. 이러한 신뢰성과 적시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GIS 예방진단시스템은 실시간성을 보장하는 미들웨어를 탑재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IS 예방진단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실시간 분산 컴퓨팅의 적시성 보장을 위해 제안된 TMO를 적용한 미들웨어를 사용한 다. 그리고 TMO를 적용한 데이터 수집 및 감시, 제어 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GIS 예방진단 시스템을 제안한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TMO의 실시간 기능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분산 처리가 가능한 통신제어장치를 개발하여 사용한다. 통신제어장치는 TMO를 통해 실시간 데이 터 수집 및 처리 과정의 적시성을 보장하고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여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기존의 서버의 데이터 수집 및 처 리 과정을 통신제어장치가 부담하여 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향후 분산 환경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통신제 어장치의 적시성 보장을 통해 GIS 예방진단시스템의 신뢰성과 성능을 향상시키고 GIS의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할 수 있다.

Applications of Java Computing Technology to GPS/GIS-based AVL(Automated Vehicle Location) System

  • Kim, Kwang-Soo;Kim, Min-Soo;Lee, Jae-Yeon;Lee, Ki-Won;Lee, Jong-H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49-152
    • /
    • 1998
  • Nowadays, GIS, as multi-discipline information system, is closely linked with GPS application in conjunction with GIS-T or Logistics GIS. With this R&D trend. CPS/GIS application system for AVL is newly developed in this study. This AVL is designed and implemented by using pure Java computing technology towards com ing Car-equipped wireless Internet PC age, and main features of Java are included at this system: Platform independence, Multi-thread processing, and Object-oriented paradigm. While, because core modules of this AVL are based on GIS spatial engine, unlike other commercial AVLs, large spatial database problem handling digital image/spatial inform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and direct access problem of GIS data is easily dealt with. this system can directly access external database by using JDBC: MS Access for desktop version and Oracle for W/S version. Finally, it is thought that Java-based AVL, one of CPS/CIS applications, can be easily extended into other prospective GIS applications: Land surveyor supporting system, Flight tracking system, 3D facility management system with CPS, and so forth.

  • PDF

중장기 국가GIS 활용도 제고방안: GIS활용체계사업을 중심으로 (Enhancing the Usability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cused on the GIS Utilization System)

  • 김정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251-266
    • /
    • 2007
  • 제1, 2차 국가GIS사업이 완료되고 제3차 국가GIS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시점에 국가GIS사업의 활용도는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 1, 2차 국가GIS사업으로 국토공간정보기반이 갖추어졌기 때문에 향후 GIS의 활용도는 지금보다는 훨씬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유비쿼터스 시대를 맞아 GIS에 대한 국가적인 수요의 대폭적인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기 구축된 국가GIS사업의 활용분야가 보다 넓어질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추진해 온 국가GIS사업 중에 우리나라에서만 독특한 형태로 수행되고 있는 GIS활용체계사업에 중점을 두고 그 추진과정 및 실적을 평가하였다. 특히 이를 위해 행정업무에 실제 활용하는 지자체의 GIS 활용실태를 심층 조사하고 지자체 및 국가차원에서 GIS활용을 제고하는데 장애요인을 분석해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향후 수행될 제3차 국가GIS기본계획 수정계획 및 제4차 국가GIS기본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 PDF

인터넷 GIS를 이용한 새주소 관리 및 안내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New Address Management System and a New Address Information System Using Internet GIS)

  • 강영옥;이인성;김경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6권1호
    • /
    • pp.47-63
    • /
    • 1998
  • 인터넷 GIS란 인터넷에 GIS기법을 접목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GIS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인터넷 상에서 구축된GIS를 말한다.인터넷 GIS는 동적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환경에서 웹을 통해 공간 데이터에 대한 검색 및 분석을 가능케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강남구를 사례로 GIS를 이용한 새주소관리시스템 및 인터넷 GIS를 이용한 새주소 안내시스템 개발 사례를 소개한다. 새주소란 우리나라의 지번을 토대로 한 현행 주소체계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로방식에 의해 주소를 새로이 부여하는 것으로서 도로를 중심으로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체계적으로 부여하는 제도이다. 새주소 관리시스템이란 도로의 신설, 건물의 신축, 소멸등에 따른 주소의 변화를 관리하기 위해 GIS를 이용하여 개발한 시스템이다. 새주소 안내시스템이란 새주소 관리시스템을 인터넷 상에서 구축하여 모든 사람에게 지리정보 및 주소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새주소 안내시스템은 GIS데이타의 공유와 통합환경에서 GIS구축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시스템 구축에 따른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견되었다.

  • PDF

GIS 공간 자료 관리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GIS Spatial Data Management System)

  • 박광묵;이구연
    • 산업기술연구
    • /
    • 제29권B호
    • /
    • pp.151-155
    • /
    • 2009
  •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spatial data manage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GIS technology. GIS technology is tightly related with spatial information and will be important method for futur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implemented system collects and manages spatial data. In the implementation, we use PostgreSQL DBMS. We also implement magnification, reduction, movement and search functions in the system.

  • PDF

GIS 정보유통을 위한 보안방안 (The Security Method for GIS Data)

  • 김지홍;이상무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83-90
    • /
    • 2000
  •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GIS 관련 연구분야도 지금까지의 GIS 정보구축분야에서 구축된 정보에 대한 활용을 위한 정보유통분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GIS 유통구조에 대한 표준화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GIS 분야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들을 분류하여 GIS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별 보안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국내에서 진행중인 암호 및 인증을 위한 공개키기반 구축사업과 연계하여 GIS 정보의 안전한 전송과 접근제어를 위한 보안방안을 제시한다.

  • PDF

페탄광GIS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rateg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bandoned Mine GIS)

  • 정문섭;김윤상;최용복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23-138
    • /
    • 2002
  • 폐탄광 지역에서의 광해문제 해결과 재개발 및 경제활성화를 위해서 폐탄광 관련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 ·분석하는 폐탄광GIS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기본개념을 구상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삼척시 고사리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시범시스템 구축을 통해 가장 합리적인 구축방법을 도출하고, 시범시스템 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분석하여 항후 폐탄광GIS 구축사업의 향후 추진방안과 일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