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S 맵핑

Search Result 3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study related to the meta data for the attribute mapping from IFC to CityGML (IFC에서 CityGML로 속성 맵핑을 위한 메타 데이터에 관한 연구)

  • Kang, Tae Wook;Choi, Hyun Sang;Hwang, Jung Rae;Hong, Chang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6_1
    • /
    • pp.559-565
    • /
    • 201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uggest the meta data of the attribute mapping for interoperability from IFC to CityGML. For this, we analyzed the interoperability issue including the neutral information model structure such as IFC, CityGML. To solve the interoperability problem between IFC and CityGML model which is the neutral GIS format, We proposed the meta data including the mapping rule. The meta data is consists of the connection information between BIM and GIS model, the mapping rul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use-case, the operator and the attribute. By using this, XML to represent the meta data is defined and the information mapping system is developed.

The External BIM Reference Model Suggestion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BIM and GIS (BIM과 GIS간 정보상호운용을 위한 외부 BIM 참조 모델 제안)

  • Kang, Tae Wook;Hong, Chang Hee;Hwang, Jung Rae;Choi, Hyun Sa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5
    • /
    • pp.91-98
    • /
    • 201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uggest the extern BIM reference model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BIM and GIS. After we surveyed the research progress and usecases related to the interoperability to do this, we analyzed the architecture of the neutral model such as IFC, CityGML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and expand CityGML model. By using this result, we proposed the external BIM reference model including the metadata which defines mapping rules from IFC to CityGML.

Derivation of Consideration Factors for Fine Dust Measurement through GIS Mapping (단지조성공사의 미세먼지 측정 및 GIS Mapping을 통한 미세먼지 측정 고려요소 도출)

  • Kim, Young Hyun;Han, Jae 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63-164
    • /
    • 2020
  • When measuring fine dust at a large-scale site such as complex construction, the change in the value of fine dust measurement is larg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time, location, wind speed, wind direction, and humidity.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sults of measuring fine dust in an actual construction site and inferring the changes.

  • PDF

Preliminary Study on GIS Mapping-based Fine Dust Measurement in Complex Construction Site (단지조성공사 내 드론을 활용한 GIS 맵핑 기반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기초 연구)

  • Lee, Jaeho;Han, Jae Goo;Kim, Young 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2
    • /
    • pp.319-325
    • /
    • 2021
  • A fine dust measurement using drones is becoming an increasingly common technology, and air pollutants can be identified through dust monitoring in partial industrial areas. A station for measuring fine dust provides information at large construction site offices. On the other hand, it was difficult to check the fine dust in the pollutant source accurately. Therefore, the drone took measurements directly after been placed at the site. While measuring fine dust, monitoring noise occurr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drone's down-wind during landing, but the measurements were similar to the numerical value of the grounded pollution source on the height of 30 m. The field applicability to the study area has limitations in periodic updates using satellite images because the terrain was constantly changing due to considerable flattening fieldwork. Therefore, this study implemented a system that can reflect real-time field information through GIS mapping using drones.

A Geographic Modeling System Using GIS and Real Images (GIS와 실영상을 이용한 지리 모델링 시스템)

  • 안현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2 no.2
    • /
    • pp.137-149
    • /
    • 2004
  • For 3D modelling artificial objects with computers, we have to draw frames and paint the facet images on each side. In this paper, a geographic modelling system building automatically 3D geographic spaces using GIS data and real images of buildings is proposed. First, the 3D model of terrain is constructed by using TIN and DEM algorithms. The images of buildings are acquired with a camera and its position is estimated using vertical lines of the image and the GIS data. The height of the building is computed with the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camera, which used for making up the frames of buildings. The 3D model of the building is obtained by detecting the facet iamges of the building and texture mapping them on the 3D frame. The proposed geographical modeling system is applied to real area and shows its effectiveness.

  • PDF

Application Scheme of PostgreSQL-PostGIS Server Engine based on Open Source for GIS Portal Building (GIS 포털 구축을 위한 공개 소스 기반 PostgreSQL-PostGIS 서버 엔진의 응용 설계)

  • Han, Sun-Mook;Lee, Ki-W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134-138
    • /
    • 2009
  • 최근 GIS 포털에 대한 수요자 요구 사항이 증가하고 있고 기존의 웹 GIS 응용 프로그램 개발 기법과의 연계와 통합이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개 소스인 PostgreSQL - PostGIS를 이용하여 GIS 포털 구축을 위한 응용 설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PostgreSQL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하여 공간 질의 및 분석 기능 등 GIS 기능을 연동시키는 PostGIS는 서버 GIS 엔진으로 점점 활용 가치가 증가하고 있으나 GIS 포털에서 이를 적용한 사례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거의 없다. 본 응용 설계는 전체 시스템 설계 보다는 주로 포털에서의 인터페이스 부분을 주로 다루고자 하며 시험 구현 프로그램의 라이브러리는 PostGIS의 C Language Interface(LIBPQ)와 OGC library를 이용하여 공간 데이터에 대한 기본 기능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글, 다음, 네이버 등과 같은 일반 검색 엔진에서 경쟁적으로 제공하는 웹 맵핑 수준에서 위성영상정보와 지도정보 서비스가 보다 체계적으로 웹 GIS 기술과 연계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Location Mapping Techniques of Textual Spatial Information for Spatial Semantic Web (공간 시멘틱 웹을 위한 텍스트 공간정보의 위치 맵핑 기법)

  • Ha, Tae-Seok;Ha, Su-Wook;Nam, Kw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71-73
    • /
    • 2010
  • 웹에서 다양한 웹 지리 지역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웹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키워드로 지역 웹 문서를 검색하고 해당 웹 문서를 지도와 비교하여 공간정보를 취득하며, 다른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검색과 비교를 반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구조화 된 텍스트 웹 자원으로부터 지리정보 온툴로지(geo-ontology)를 확장할 수 있는 통합된 검색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문서의 정보에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공간정보 위치 맵핑 기법을 적용하여 텍스트의 공간정보를 추출한다.

  • PDF

GIS and satellite image development using 3D cultural properties information system (GIS와 위성영상을 활용한 3차원 문화재 정보 시스템 구현)

  • Song, Sang-Hun;Cho, Myu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595-60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위성영상 기반의 3차원 문화재 정보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과정으로 고 해상 위성영상 제작을 위한 DEM(Digital Elevation Model)제작단계와 위성영상 자료를 수집하여 영상이 지니고 있는 왜곡을 보정하는 자료보정 단계, 사용 목적에 맞게 영상을 가공하여 저장하는 영상 생성단계를 통해 위성영상 기반의 3차원 지형정보를 생성하고, 3차원 스캐너를 활용한 대상지역 문화재의 DB 구축과 3차원 복원을 통해 3차원의 문화재 정보를 획득하고 질감 및 재질 사실적인 면을 강조하기 위한 텍스처 맵핑 과정을 통해 3차원 공간적인 조건 및 검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 든 누구나 쉽게 문화재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Web3D를 활용한 3차원 문화재 정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GML 응용스키마를 이용한 공간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모델링

  • 정호영;이민우;전우제;박수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11a
    • /
    • pp.30-39
    • /
    • 2003
  • GML 데이터는 공간 및 비공간 정보를 동시에 갖는 GIS 데이터의 특징과 구조적(structured)인 XML 데이터의 성격을 함께 가지고 있어 일반적인 DBMS에 저장되기 힘들다. XML 저장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는 공간데이터 처리 능력이 부족하고, 공간데이터베이스는 XML 데이터를 저장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GML 데이터가 공간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도록 GML 응용스키마로부터 공간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인 복합 애트리뷰트(composite attribute)와 추상데이터타입(ADT)을 이용한 GML 스키마의 맵핑 규칙을 정하였다. 맵핑 규칙은 OGC SQL 스키마에 적합하도록 GML 데이터의 공간 정보와 비공간 정보를 분리하여 저장시킨다. 따라서 저장된 데이터는 공간데이터베이스가 제공하는 공간 연산자/함수 및 인덱스를 통하여 다양한 공간/비공간 질의가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 PDF

Real time Mapping System for Moving Objects based on Indoor Camera Sensor (실내센서기반 실시간 이동객체 맵핑 시스템)

  • Lee, Hyun-Jin;Park, So-Young;Yoo, Soon-Ju;Kim, Ea-Hwa;Jun,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554-558
    • /
    • 2008
  • 점차 가속화 되는 현대화에 따라 복잡한 구조의 대형 시설 및 교통수단이 증가 되고 있으며 이는 화재 등과 같은 긴급 재난 상황 발생 시의 대형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위험 상황에서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실시간 대피경로 안내시스템 구현을 위한 초기 과정으로 실시간으로 이동객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건물 데이터 위해 표현하는 실시간 맵핑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