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Young-Su;Park, Soon-Young;Chung, Warn-Ill;Bae, Hae-Young
Annual Conference of KIPS
/
2002.11c
/
pp.1745-1748
/
2002
빠른 인터넷의 보급과 정보화 사회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문서를 통합하여 유통할 수 있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XML의 장점을 이용하여 지리적 특성을 가진 정보에 대한 문서의 표준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OGC(Open GIS Consortium)에서는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명세를 제시하였다. Geometry와 geographic feature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GML은 다양한 데이터 타입에 대한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고, 통합된 지리 정보를 유통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현재 이러한 장점을 가진 GML 지원 시스템과 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나, 구체적인 방법론에 관한 제시는 미흡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지리 정보를 GML 명세에 따른 GML 문서로 변환하는 방법과 GML 문서 내에 표현된 지리정보를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전 세계는 지금 지리정보(地理情報)시스템의 도입으로 각종 지상 및 지하의 시설물을 모두 전산(電算) 입력함으로써 정확한 소재파악은 물론이고. 각종 재해가 발생했을 때 신속히 대처하고 있다. 또 지구의 구석구석이 연결될 초고속 정보(情報)시스템이 완성될 경우 우리가 접할 정보(情報)의 양은 엄청나게 많아질 것이며, 공간정보(空間情報)의 유통 및 교류의 극대화로 인한 행정업무의 효율성이 제고(提高)될 수 있을 것이다. 각기 필요에 따라 구축되는 각종 공간정보(空間情報)를 서로 교환(交換)하여 공유(共有)할 수 있는 길만이 막대한 재원의 낭비를 막고 정보(情報)이용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지름길이다. 공간정보(空間情報) 유통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보(情報)의 표준(標準) 및 송수신(送受信) 표준(標準)이 필요하며,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국(美國)의 표준(標準)인 SDTS를 중심으로 공간정보(空間情報) 표준(標準)의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1998.11a
/
pp.49-53
/
1998
서울시 수치지형도를 유지관리하기 유지관리의 제도적, 기술적 방안과 유통 및 공급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 방안을 위해 갱신주체, 대상 지형지물, 갱신주기, 공공 측량 승인 및 심사절차, 행정적인 절차 등의 요인을 분석하여 네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고 기술적 방안을 위해 현재 수치지형도를 갱신할 수 있는 도면에 의한 디지타이징, 수정도화, 항공사진 스캐닝에 의한 방법, 수치정사사진에 의한 방법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유통 및 공급방안을 위해 공급대상, 공급내용, 공급형태, 공급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현재 제작완료 단계에 있는 서울시 수치지형도의 유지관리 및 공급을 위한 최적의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2023.05a
/
pp.392-392
/
2023
통합수자원관리 IWRM(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를 위한 다각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구축된 정보의 활용 증진, 정책적 측면 등이 어우러져 고려되어야 비로소 통합으로서의 가치가 확보될 것이다. 본 고에서는 그중 데이터 측면을 살펴본다. 데이터 관점에서도 정보의 수집, 유통, 품질 등 여러 관점의 주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는 ISO 19139의 채택에서 추가 보완할 부분이 무엇인지, 유통을 위한 포맷과 인터페이스는 XML과 OGC WFS를 채택시 충분한 호환성이 확보되는지 등 이 주요한 검토요소가 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고민에 앞서, 초기 절차인 시스템 적재 과정의 ETL(Extract, Transform and Load)과 ELT(Extract, Load and Transform) 방법을 비교하고자 한다. 수자원 분야 데이터를 사용한 예시 사례를 통하여, 최근 데이터 산업 분야에서 ETL과 ELT 차이가 이슈화되고 있는 이유를 살펴보고,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상황에 대하여 두 가지 방법의 장단점을 비교함으로서 다양한 데이터를 직면하게 되는 IWRM에서의 데이터 적응에 대한 힌트를 얻고자 한다. 기본적으로는 ETL보다 ELT의 효율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해당 변환 과정이 일회성인지 반복적인지 고려해야 한다. 또한 변환에 있어 지배적인 요소가 변환 프로세스의 복잡도인지, 레코드 건수인지도 유불리에 영향을 준다. 비용측면에서는 ETL보다 ELT의 저장 비용이 증가할 수 있고, 이는 온프레미스 DBMS에서 PaaS 유형의 DBMS로 전환되어감에 따라 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ETL, ELT에서는 요구되는 변환 기술의 종류가 다르다. 예를 들어 Desktop GIS 도구와 ANSI 표준 SQL 기술로 대표될 수 있으며 각 수행조직에서는 보유 인적자원의 기술 현황과 학습곡선 등을 고려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ETL, ELT의 비교에 있어서는 처리시간과 동시에, 비용과 인적 자원 그리고 전략적 측면도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v.9
no.2
/
pp.126-143
/
2006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methodology to increase the practical use of future Marine GIS based on the user's point of view of the analysis of maritime & fishery government agencies's roles. GIS related job duty of two Busan District offices of MOMAF(Ministry of Maritime and Fisheries), NFRDI(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 and marine & fisheries local government offices of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for the establishment of MGIS, future extended service targeting user's increased practical utilization. Several suggestions in the area of production mechanism and technical policy for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among the government agencies are developed to settle down successfully MGIS in Busan. Furthermore, 10 fields of Marine Geographic issues are rearranged for intending the desirable system and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v.9
no.3
/
pp.25-35
/
2006
Standardization or standard-related study are regarded as main issues in GIS applications. Though several GIS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have been released, there are a few actual application cases adapting those.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geo-spati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editing, storing, and disseminating functions, in which standard GIS transportation data model by TTA linked with OGC-GML, XML-based geographic features encoding standard.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enables us to transfer and edit transportation entities based on TTA standards to GML, importing ESRI shapefile. In web-based system, GML-based databases are transformed to SVG file, for the purpose of web publishing. TTA GIS transportation data model is used in this study, and tested; however, standard data models from other application fields also can be easily applied because this system basically provides data importing and editing functions. This system as practical tools can be utilized for applicability test of GIS standard data model and practical operation of standard specif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v.13
no.4
s.34
/
pp.75-81
/
2005
This study intended to show the way of evolving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Clearinghouse' to 'National Integrated Geospatial Portal'. For this purpose we have analyzed Geospatial One-Stop Portal in the US and then suggested future model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Clearinghouse. The Integrated Geospatial Portal model is based on the Reference Model for Open Distributed Processing(RM-ODP) which is an international model for information distribution and sharing. The Integrated Geospatial Portal architecture consists of the data layer, middle-ware, presentation layer. It will help users to determine their fitness for nation wide GIS application and provide tools for accessing, visualizing, or ordering various geospatial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v.3
no.1
s.5
/
pp.67-78
/
1995
Many countries in the world have already begun digitizing spatial objects and features located in either above -or under- ground in order to conduct various spatial analyses including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exchanged will be astronomical once the information super highways will be completed to connect many countries in the world Ways to exchange and transfer of spatial information. efficiently will have to be developed in order to avoid duplicated efforts and money and to maximize the use of spatial information 1hat has already been collected. One way to maximize the efficiency in sharing spatial information is to develop a transfer standard.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spatial data transfer standard(SDTS) with the hope that it would shed light on the development of a transfer standard for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v.11
no.4
/
pp.51-63
/
2008
It is important to develop standard metadata to give more plentiful information about the forest cover type map and to promote distribution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Clearinghouse. In this study metadata for the forest cover type map was designed based on TTAS.IS-19115 and it consisted of 10 packages and 50 elements. Also metadata editor was developed to implement metadata with standard schema and metadata viewer to service more user friendly interface. This work was about the first standard metadata for forest GIS data. So it would be a useful reference to develop metadata for other digital map concerning forest.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