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S기반

Search Result 2,10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Web-GIS System Model on Public Domain Softwares for Managing of Geographical Science Data (지형 과학 자료 관리를 위한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 Web-GIS 시스템 모델)

  • 이희두;오일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56-658
    • /
    • 1998
  • 환경, 생물 다양성, 기상 등의 많은 과학 자료들을 과학적으로 표현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리 정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자료 관리 주체 대부분은 환경 단체, 지방 단체, 연구 단체들이고 이러한 단체의 수가 많고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다는 특성이 있다. 때문에 고가의 상업용 GIS 소프트웨어에 의존하여 엄청난 외화 지불을 야기하고 국내 GIS 기반 기술의 축적을 어렵게 하는 현재의 국내 상황은 적절치 않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한 Web-GIS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에서는 공간 자료 관리를 위해서는 GRASS, 텍스트 및 멀티미디어 자료 관리는 MySQL, 이들을 하나로 통합 운용하고 웹에 접속하기 위해서 GRASSLinks와 CGI를 사용한다.

  • PDF

A Study of Privacy Protection of Location Information in Internet GIS Environment (인터넷 GIS 환경에서 위치정보 보호에 관한 연구)

  • 오충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1 no.2
    • /
    • pp.131-142
    • /
    • 2003
  • The Location Based Services comprised GIS and Telecommunication allow users to receive various services based on their geographic location. It is need to legislation to encourage the provision and use of location information by providing privacy protection to users. But the contents of the legislation proposed by Korean government have problems conflicted between protection of a person's location information and invigoration of location-based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complementary measures for privacy protection of location information from a viewpoint of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for geographic information.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IS Client Based on Wireless Device (무선기기 기반 GIS client의 설계 및 구현)

  • 편도영;윤석우;김경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620-622
    • /
    • 2003
  • 최근 셀룰러 폰 및 PDA 등의 이동 기기(Mobile Device)들을 기반으로 한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지리 정보 시스템(GIS)을 응용한 지도 검색 및 차량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등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GIS 서비스의 클라이언트로서 이동 기기를 사용할 경우, 자원 및 플랫폼 지린 API등의 제한으로 인한 구현의 어려움이 있다. 이동기기의 플랫폼으로 사용한 j2me의 경우 제공되는 API가 제한적이어서 직접적으로 벡터 기반 지리 정보를 투영하는 것이 힘들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client 기능을 GIS sever 측에서 대신 수행하여 client를 단순화. 경량화 하였다.

  • PDF

Web GIS Cluster Design with Extended Workload-Aware Request Distribution (WARD) Strategy (확장된 WARD기 법을 사용한 웹 GIS 클러스터 링 시스템)

  • 장용일;이충호;이재동;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04-306
    • /
    • 2001
  • 웹 클러스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집중에 의한 서버의 과부화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공간 질의의 대부분은 인접 영역에 대한 경우가 매우 잦으며. 특정 영역에 집중되는 특성을 갖는다. 타일 기반 웹 GIS 클러스터링 시스템은 이러한 공간 질의의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각 노드의 버퍼 재 사용률을 높이고 디스크 접근 빈도를 낮출 수 있는 기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모든 질의가 디스패처를 거치기 때문에 병목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질의의 빈도가 낮은 지역의 경우 할당된 지역의 범위에 의해 버퍼 관리에 문제가 생긴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된 WARD기법을 사용한 웹 GIS 클러스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되는 시스템은 타일 기반 웹 GIS클러스터링 시스템을 기반으로 디스패처를 분산시켜 병목현상을 줄이고, 각 지역을 그룹으로 묶어 플러스터를 분배하여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를 위해 적절한 버퍼 관리를 한다. 또한, 질의가 집중되는 영역에 대한 레이어를 모든 노드의 코어 영역에 중복 저장하여 로컬에서 지역적으로 처리하고 다른 노드로의 처리 요구에 대한 포워딩(Forwarding) 오버헤드를 줄여 기존의 서버에 비해 안정성와 확장성 그리고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A Study on a Methodology for Developing GIS-based Fisheries Resources Information Systems (GIS 기반 수산자원정보시스템의 개발 방법론에 관한 연구)

  • Park, Hee-Seo;Kim, Hee-Cher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2.04a
    • /
    • pp.1155-1158
    • /
    • 2012
  • 환경친화적 수산자원을 조성하고, 어족 자원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관련업계에서는 GIS 기반의 수산자원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GIS 기반 정보시스템 개발방법론을 분석하고 수산자원정보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 방법론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들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GIS 데이터의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On Development of the GIS Application Based on Satellite Images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한 GIS 응용 시스템 개발)

  • 양인태;최영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2 no.1
    • /
    • pp.1-9
    • /
    • 2004
  • Until comparatively lately the use of vector data is the main current in GIS fields. Vector data have many advantages such as easy of scale change, small data volume and so on. But it also has some weak point that can't apply real world. The other hand the satellite images have strong point that can apply real world actually. Recently rapid progress of computer capacity and processing velocity is the current trend of the times. Therefore in this study I intend to develop GIS application based on satellite images with vector data and raster data altogether. This system is developed by using Visual C++ in the personal computer and MS Access's MDB far database management. The LANDSAT, KOMPSAT and IKONOS satellite image database were used in this study. Also, we are studied to set up scale for screen display according to spatial resolution.

A Bridge Monitoring System on Web-GIS Linking with UFID and BMS

  • Pyeon, Mu-Wook;Koo, Jee-Hee;Nam, Sang-Gwan;Park, Jae-Su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4 no.4 s.39
    • /
    • pp.421-431
    • /
    • 2006
  • Nowadays, the importance of safety monitoring for facilities is increasing.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ubiquitous technology to replace the existing manually-operated methods is required. In this study, a web-based GIS system that provides monitoring information of bridges in real-time for the application of a bridg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use of ubiquitous technology is constructed. Particular attention is given to the effective interconnection of bridge monitoring information and bridge management system and, through a ubiquitous environment, how to connect this with the UFID and the GIS-based bridge management system (BMS) operated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In addition, data expression methods are also suggested that state the detailed locations and attributes of structures in bridge management by using GIS.

  • PDF

Prototype of Crops Information System based on Ontology and WebGIS (Ontology와 WebGIS 기반 프로토타입 농작물 작황 정보시스템 구축)

  • Lee, Hong-Ro;Baek, Jeong-Hyun;Baek, Je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1 no.3
    • /
    • pp.43-51
    • /
    • 2008
  • In this paper, we present WebGIS techniques that can acquire more information from users who offered information and location of region's crops. So that it can be search the information based on Ontology defining Metadata for understand and control more accurately. And this paper shows how to implement about prototype of crops information system for obtaining information of location. Our object is to offer results Service form search, to analyze question of user and to show the exact geographic information about question of user. So this paper can be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that can be show Semantic WebGIS system.

  • PDF

Development of QAPEX Module using Open Source GIS (오픈 소스 기반의 GIS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QAPEX 모듈 개발)

  • Koo, Ja Young;Lee, Seo Ro;Choi, Soon Kun;Lim, Kyoun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5-175
    • /
    • 2017
  • Agricultural Policy/Environmental eXtender Model(APEX)는 전 농장 또는 소규모 유역 관리에 활용하고자 개발된 모형이다. APEX는 사용자들을 고려하고 다양한 형태로 개발하였다. 사용자들이 사용하기 쉽도록 윈도우 인터페이스 형태의 WinAPEX 모듈을 개발하기도 하였으며, ArcGIS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다양한 지리정보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ArcAPEX 모듈을 개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WinAPEX 모듈은 유역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ArcGIS 프로그램은 유료의 라이센스라는 단점을 보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APEX 모형을 GNU General Public License 기반의 Open Sourc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인 Quantum GIS(QGIS)와 연계하여 QAPEX 모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QAPEX 모듈은 오픈소스 기반의 QGIS 프로그램과 APEX 모형을 이용하여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유역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QGIS는 사용자간의 정보 및 자료 공유에 용이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어 QAPEX를 이용하는 사용자들 간의 정보 공유로 인해 원활하고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Regional Differences in Geographic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Policy Agendas in Korea (우리나라 지리정보기반의 지역간 격차현황과 정책과제)

  • 박종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1 no.4
    • /
    • pp.409-420
    • /
    • 2003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re the crucial means in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the diverse internal operations or service to citizens. A eat number of local governments have introduced GIS. However in spite of the rapid spread of GIS projects in local governments there are severe level differences of Geographic Information Infrastructure between medium or large cities and small cities or counties(Gun), especially in non-capital area. The differences are one of the main reasons of regional inequalities in local governments'administrative services. Thus this article suggested tha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place policy emphasis on improving the levels of geographic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 small cities, counties(Gun) and especially non-capital ar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