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I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유류오염 토양에서 유류성분의 생분해와 무기오염 물질 함량의 관계성에 대한 예비 연구

  • 강진규;송윤구;문지원;이민희;이규호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41-244
    • /
    • 2003
  • 유류오염 토양내 유류의 분해와 무기오염물질의 함량과의 관계성을 알아보기위해 부산 문헌지구의 유류 오염 토양 profile중 유류가 비교적 많은 두 층과 유기물이 다량 함유된 제주도 토양을 경유로 오염시킨 토양을 선택하여 유류가 분해 정도와 Pb, Zn, Cd, Ni의 함량을 측정 비교하였다. 토양 채취후 즉시 유류를 추출한 것, 15일간 별도의 미생물 영양원을 가하지 않고 습도와 통풍만을 행하여 토양내 존재하는 미생물들에 의하여만 유류가 분해되도록 한 것, $105^{\circ}C$에서 24시간 열처리를 행하여 미생물에 의한 분해보다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비교적 강하게 처리한 것 세가지 경우에서 토양에서 추출한 유류를 분석한 결과 normal alkane이 서서히 상당량 분해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토양내 Pb, Zn, Cd, Ni를 분석한 결과 부산 시료의 경우 두 층(B2, B3)모두 Cd은 검출한계 이하로, Ni의 경우 극소량의 함량을 보여주었다. Zn의 경우 B2는 28~29ug/g, B3는 12~14ug/g으로 세가지 경우 별 차이 없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Pb의 경우 B2에서는 그 함량이 유류의 normal alkane의 분해와 함께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확연히 보여주었으며, B3의 경우도 B2와 유사한 변화 양상을 보여주었다. 제주도 토양의 경우 Pb는 검출되지 않았고, Zn은 소량 검출되었다. Ba, Ni 함량은 normal alkane 분해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예비실험을 통하여 유류오염 토양에서 유류의 분해와 일부 무기이온사이에는 관련성을 갖고 있으며, 이는 유류 분해정도를 파악하는 지시자로써 특정 무기 오염물질을 이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좀더 이들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고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미를 되새기는 것으로 짧은 연구를 시작하겠다. 등은 활성 값이 70% 이상으로 퇴적물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중나선 DNA 함량은 28.4 % - 49%로 대조군에 비해서 감소가 크다. 대부분의 정점이 대조군의 30% 내외로 정점 간의 차이는 크지는 않다. 그러나 다른 측정자료와 같이 정점 22에서 18%로 최소치를 나타내고, 정점 2, 12에서 20% 내외의 값을 보인다. 종합적으로 볼 때 오염물질의 유입이 크고, 광양제철 인근 정점 들이 모두 다른 정점에 비해서 낮아서, 퇴적물 독성이 높은 정점으로 조사되었다.hiwo의 광합성 능력은 낮은 농도들에서는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나, 5 $\mu\textrm{g}$/l의 높은 농도에서는 초기에 매우 낮은 광합성 능력을 보이다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대조군보다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플랑크톤이 benso[a]pyrene의 낮은 농도에서 노출될 때는 이 물질을 탄소원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연안해역에 benso[a]pyrene과 같은 지속성 유기오염물질이 유입되었을 때 내정여부에 따라 식물플랑크톤 군집내 종 천이와 일차생산력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TEX>5.2개)였으며, 등급별 회수율은 각각 GI(8.5%), GII(13.4%), GIII(43.9%), GIV(34.2%)로 나타났다.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

  • PDF

The Initiation of Slip on Frictional Fractures (마찰 전단면의 전단거동과 에너지방출률)

  • Park, Chi-Hyun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0 no.5
    • /
    • pp.344-351
    • /
    • 2010
  • Slip along a frictional fracture can be approached as initiation and propagation of a mode II crack along its own plane. Fracture mechanics theories predict that under pure mode II loading initiation will occur when the energy release rate of the fracture attains a critical value ($G_{IIC}$), which is generally taken as a material property. For the past few years the rock mechanics group at Purdue University h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 dependence of $G_{IIC}$ on normal stress and on the frictional characteristics of a fracture. A number of experiments has been conducted first on acrylic, a material that, using photoelastic methods, allows visualization of the stress field ahead of the fracture tip; and later on gypsum, a rock model material with relatively low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other frictional materials with higher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Direct shear tests have been conducted on specimens made with cement paste. New observations together with previous experiments indicate that $G_{IIC}$ can only be considered a material property when the peak friction angle of the discontinuity is similar to the residual friction angle; otherwise the critical energy release rate increases with normal stress.

Clin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Urinary Tract Infections (대장균에 의한 요로감염의 연령별, 계통군별 특징)

  • Lee, Ji Eun;Lee, Youn Hee;Nam, Chan Hee;Kwak, Ga Young;Lee, Soo Young;Kim, Jong Hyun;Hur, Jae Kyun;Kang, Jin Ha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v.17 no.1
    • /
    • pp.16-22
    • /
    • 2010
  • Purpose : We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Urinary Tract Infections (E. coli UTI). Methods : We enrolled patients with culture-proven E. coli UTI, who were admitted at the study hospital from September 2008 to August 2009. We investigated clinical data of patients with E. coli UTI and characteristics of isolated E. coli strains. The phylogenetic groups were classified using tr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the distribution of nine virulent genes was determined by multiplex PCR. Results : A total of 47 patients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rty (63.8%) were under 6 months; eight (17.0%) were between 6-12 months; and nine (19.1%) were over 12 months. We compared two age groups between under 6-month and over 6-month. In the age group under 6-month, higher proportion of male (P =0.002) and group B2 strains (P =0.020) were observed. In contrast, higher proportion of female and group non-B2 strains were observed in age group over 6-month. Frequencies of papC, papGII, papGIII, sfa/foc, hlyC, cnf1, fyuA, iroN and iucC were estimated as 68.1%, 57.4%, 42.6%, 46.8%, 46.8%, 31.9%, 87.2%, 48.9% and 63.8%, respectively. In the comparison of phylogenetic groups, group B2 showed higher distribution of virulent genes, while group D included more strains resistant to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TMP/SMZ) than other groups. Conclusion : We showed the age group-specific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sex ratios and phylogenetic groups; more male and group B2 strains in age group under 6-month, while more female and group non-B2 in age group over 6-month. However, further evaluation including larger number of patients will be necessary to confirm above thesis in future molecular epidemiological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