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 troubl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6초

모의 GIS의 전기적 이상에 따른 방사전자파의 특성과 절연진단용 UHF 센서 설계 (Characteristics of Radiated Electromagnetic Waves in Model GIS with Electrical Trouble and Design of Insulted Diagnosis UHF Sensor)

  • 박광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7-5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모의 GIS 내부에 도전성 파티클, 미소돌기, 연면방전을 모의함으로 전하의 축적과 전계의 집중이 용이하도록 하여 부분방전을 모의하였다. 이때 부분방전 발생과 진전에 따른 방사전자파를 스펙트럼 분석기와 EMI EMC 측정용 안테나($30{\sim}2,000[MHz]$)를 사용하여 측정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0.3[GHz]에서 1.7[GHz]대역에서 UHF법을 활용한 절연진단이 가능한 UHF 구형 센서를 설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SF_6$를 사용하는 실제 GIS 및 전력설비의 UHF 절연진단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UHF 진단센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보건소 근무 간호사의 건강문제와 업무성과 손실 (Health Problems and Work impairment in Nurses Working at Community Health Centers)

  • 조정민;김규성;김미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9-77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ealth problems and factors related to work impairment of nurses working at community health center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008 to July 2008 using a structured, self - reported questionnaire for general characteristics, work-related characteristics, health problems and work impairment.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434 nurses from 25 community health centers in Seoul.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or present health problems, shoulder, back and neck pain were ranked the highest at (54.6%), followed by cold, GI trouble, and visual disorders. The average score of work impairment was 24.71($\pm7.14$) out of 50.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jor factors that affect work impairment were age and number of health problems, and that these factors explained 15% of the work impairment. Conclusion: Age and number of health problems are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work impair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health condition of nurses at community health centers must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nursing service.

밴드형 심전도 생체신호 전극시스템의 구현 (Development of Bioelectric Signal Sensor System using Band Type ECG)

  • 강성철;김기련;김광년;정동근;김민성;정도운;전계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023-1026
    • /
    • 2006
  • 가정이나 병원 등 해상에서 위급한 환자를 모니터링 할 때 현재의 심전도 측정기의 전극센서가 불편할 경우가 많다. 구급차량 내에서나 선박에서 환자를 측정시 흔들림이 심하기 때문에 전극이 떨어져 측정이 쉽지가 않으며 또 환자의 몸에 지방분이나 습기가 많을 경우를 쉽게 붙어있지 않아 측정이 더욱 힘들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가 언제든지 전극을 붙이고 화장실이나 외출까지도 자유롭게 할 수가 있도록 하였으며 또 흉부에 쉽게 착용이 용이하도록 부드러운 벤드 형태로 설계되었다. 심전도의 전극소재로는 전기저항특성이 우수하고 피부 트러블이 거의 없는 금을 소재로 한 제품을 적용하였으며 광전용적맥파 및 말초체온 등을 추가로 설계하여 다중생체신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가승이나 늑골부위에서는 생체신호전달이 좋았으며, 환자의 복부부위에서는 생체신호가 아주 작게 검출되었다. 전극소재로 금 전극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전극을 이용할 때 보다 신호 검출이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일반적인 전극은 단순1회용으로 끝나지만 금 전극센서는 반영구적이면서도 환자가 이동시 접촉력이 우수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가 있었다.

  • PDF

차량안전통신을 위한 줄기와 가지 구조를 이용한 긴급 메시지 전파 방법 (An Emergency Message Propagation Method with Stem and Branch Structure for Vehicle Safety Communication)

  • 유석대;조기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2A호
    • /
    • pp.203-212
    • /
    • 2007
  • 같은 도로를 달리고 있는 차량들 사이에서 긴급메시지를 이용하여 긴급정지, 사고, 방해물, 차량 고장 등의 위험 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고도화된 차량안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차량의 고속 이동성으로 말미암아 네트워크위상 변화가 심하고, 미리 설정된 연계성이 없는 상태에서 전달되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팅의 형태로 긴급메시지를 전파하고 있다. 하지만, 다중 홉의 영역과 무선 충돌 문제로 말미암아 효율성에 많은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차량안전통신을 위한 메시지 전달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줄기와 가지 구조를 이용하는 선별적 재송신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같은 도로를 이동 중인 후방의 차량들에게 네트워크 플러딩과 유사한 방법으로 메시지를 전파하나 적절한 위치의 노드에게 높은 우선순위 부여하는 선택적인 전달 방법으로 메시지 전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과 유사연구를 비교하여 성능을 분석, 평가한다.

축소 의사역행렬과 영역분할 기반 축소모델 구축 기법 연구 (Reduction Method based on Sub-domain Structure using Reduced Pseudo Inverse Method)

  • 김현기;조맹효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139-145
    • /
    • 2009
  • 축소시스템은 반복적인 계산이 요구되는 문제에서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해석 기법이다. 최근에는 영역분할 기법과의 연동을 통해 축소시스템의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전체 도메인이 몇 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때 구속조건이 부과되지않는 영역이 만들어지게 된다. 각 부영역의 축소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리츠벡터를 추출해야 하는데, 구속조건이 부과된 부영역에서는 일반적인 정적해석을 통해 가능하다. 그러나, 경계조건이 부과되지 않은 부영역에서는 리츠벡터 추출을 위해 의사역행렬을 이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의사역행렬의 사용은 상당한 계산시간과 전산자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축소 의사역행렬 도입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정적 축소방법을 기초로 축소 의사역행렬을 구축하여 축소된 리츠벡터 정보를 추출한 후, 변환관계를 이용하여 전체 리츠벡터 정보를 구하게 된다. 수치예제에서는 고유치 해석을 통해 제안방법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전체시스템 계산시간과 비교하여 그 효율성을 검증한다.

  • PDF

경부 결핵성 임파선염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 김중규;이충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8
    • /
    • 1995
  •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is one of common cause of neck mass in young adult in Korea.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known as scrofula was being treated by the 'Royal Touch' in the 5th century and by surgery in the 17th century, yet the principle of the treatment is still controversal. We report the clinical evaluation and therapeutic result about 121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annual incidence(1985-1994) was 30.5 % (37 cases: 1985-1986), 17.7 % (21 cases: 1990-1992). 19.8%(24 cases: 1994). 2) The age of highest incidence was 20-29 year old age group in 41.3% (50 cases) and female predominated over male by 1.8 : 1. 3) The duration of disease was less than 6 months, in 85.9% (104 cases). 4) The most commonly involved LN group was superficial cervical group in 69.4% (84 cases), and difference between Rt & Lt, was not significant. 5) The most common symptom and local finding(P/E) were, painless swelling of LN in 74.3 % (90 cases) and single mass in 59.5 % (72 cases). 6) In seasonal variation, 85.9% (104 cases) was spring and summer. 7) Procedures except biopsy for evaluation were chest PA, AFB smear & culture(sputum), Mantoux test, USG, CT and, Associated extracervical tuberculous lesions were lung, axilla, breast. 8) In operation method (involving biopsy), Excision was 68.5 % (83 cases), neck dissection was 6.6% (8 cases). 9) The Modality, Duration and side effect of antituberculous medication: INH-Rifampin­Ethambutol was 66.1 % (88 cases), duration was 1 year in 84.3% (102 cases), side effects were severe GI trouble (24.8%), liver function damage (3.3%). 10) 3 cases recurred on the same site after 2 yrs(2 cases) and 4 months(1 case) and its treatment was curretage or I & D, with antituberculous medication.

  • PDF

축소 의사역행렬을 이용한 영역분할 기반 축소모델 구축기법 연구 (Reduction Method based on Sub-domain Structure using Reduced Pseudo Inverse Method)

  • 김현기;조맹효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73-179
    • /
    • 2009
  • 축소시스템은 반복적인 계산이 요구되는 문제에서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해석 기법이다. 최근에는 영역분할 기법과의 연동을 통해 축소시스템의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전체 도메인이 몇 개의 영역으로 분할될 때 구속조건이 부과되지 않는 영역이 만들어지게 된다. 각 부영역에서 축소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주자유도가 선정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리츠벡터를 추출해야 한다. 리츠벡터 계산은 구속조건이 부과된 부영역에서는 일반적인 정적해석을 통해 가능하나, 경계조건이 부과되지 않은 부영역에서는 의사역행렬을 이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의사역행렬의 사용은 상당한 계산시간과 전산자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축소 의사역행렬 도입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정적 축소방법을 기초로 축소 의사역행렬을 구축하여 축소된 리츠벡터 정보를 추출하고, 변환관계를 통해 전체 리츠벡터 정보를 구한다. 수치예제에서는 일반적인 의사역행렬 계산시간 및 고유치 해석 결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방법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검증한다.

댐 수몰지역의 환경변화 분석을 위한 지리정보지 구축 및 활용 (Building and Utiliz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Change of Regional Environment in Dam Construction Area)

  • 김항집;최동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133-146
    • /
    • 1999
  • 댐건설에 따른 환경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환경요인자료의 수집과 관리 그리고 과학적인 분석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는 평가대상지역의 광활함과 분석자료의 방대함으로 인해, 자료의 수집은 물론 자료관리에 애로가 있었고 수집된 자료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 미약하여 댐건설에 따른 환경영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체계(GIS)를 이용하여 환경영향평가 시에 필요한 환경요인자료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댐건설 전후의 지역환경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환경영항평가에 이용되는 환경요인 관련자료들을 환경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고, GIS의 분석기능을 활용하여 환경영향 분석의 고도화를 도모하였다. 연구 결과 댐건설로 인한 수물지역의 환경영향평가에 GIS 적용함으로써 환경영향평가 관련자료의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 졌고 환경영향 분석업무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으며 동시에 이해하기 쉬운 분석결과를 제시하여 정책결정자 및 주민들의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어, 환경정보시스템의 개발을 통한 효율적인 환경 영향평가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PDF

클러스터링과 지구통계학 기법을 이용한 지하공간정보 모델 생성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Model System using Clustering and Geostatistics Approach)

  • 이상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64-75
    • /
    • 2008
  • 지반조사자료 관리를 위한 현재의 DB시스템은 점으로 표현되는 시추조사에 한정되었기 때문에 여타 GIS데이터와의 활용이 제한적이었다. 시추공 자료를 이용한 보간으로 지하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찾고자 하는 연구들이 있었지만, GIS와의 상호운영이나 지반공학적 특성을 고려치 못하여 실무적으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정보DB에서 필요한 지반공학 자료를 추출하여 지하공간정보 모델을 생성하였다. 지반정보 클러스터링 프로그램(GEOCL)을 개발하여 시추공구성(비), 지층분류, 지반강도에 대한 클러스터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클러스터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여 지구통계기법의 하나인 권역 크리깅(권역 크리깅)으로 보간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치표고모형과 통합하여 지하공간정보 모델을 생성하고, 지하공간정보 가시화 프로그램(SSIVIEW)를 통해 3차원으로 가시화하였다. 개발된 지하공간정보 모델은 건설공사의 지반해석과 기초설계에 적극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 PDF

항공영상에서 그림자 경계 탐색 및 복원 기법 연구 (A Study for Introducing a Method of Detecting and Recovering the Shadow Edge from Aerial Photos)

  • 정용주;장영운;최연웅;조기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7-334
    • /
    • 2006
  • 항공 영상은 지도 제작과 지상 피복 분류와 같은 간단한 목적뿐만 아니라 도시계획, 환경, 재난, 교통 등과 같은 사회적인 목적에서 필수적이다. 그러나 영상이 취득될 때 간섭되는 그림자는 지상 정보를 해석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하고, 자신의 업무 및 연구에 사용하려는 사용자에게 제한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그림자는 건물과 표면 지형 등에 의해 발생하며 세부적인 원인으로 이러한 지형에 의한 광원의 변화에 의해 생성된다. 본 연구는 그림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단일 영상만을 사용하며 영상의 원 출처 및 촬영상태의 사전 정보 없이 처리하였다. 또한 그림자 경계 마스크를 제작하기 위하여 엔트로피 최소화 기법을 사용한 1차원 흑백 불변 영상(invariant images)과 Canny 경계 검출법을 적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퓨리어(Fourier) 주파수 공간에서의 필터링을 통한 고유 영상(intrinsic images)을 제작함으로써 3차원의 컬러 정보를 복원하고 그림자를 제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