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C250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1초

해양 기름유출사고 분석을 위한 최신 유럽표준(EN 15522-2) 적용: 한국 사고 샘플 분석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the Latest European Standard(EN 15522-2) for Marine Oil Spill Analysis: A Study on its Effectiveness in Analyzing Samples from Korean Incidents)

  • 박유정;이두원;이희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8-64
    • /
    • 2024
  •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250건 이상의 해양 기름유출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 사회 및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국제협약 및 국내법에서는 오염자부담의 원칙을 바탕으로 기름유출에 대한 피해 배상을 유출 당사자에게 책임지도록 하고 있으며, 민·형사적 책임 규명을 위해 유출 행위자에 대한 적극적인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름 유출사고의 행위자 조사의 중요성 확대에 따라서 CEN 15522-2, ASTM D 3248 등의 표준을 이용해 기름 시료 간의 유사성 판정을 하고 있다. 이 중 가장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유럽표준인 CEN 15522-2가 2023년 EN 15522-2로 3차 개정되었다. 본 연구는 EN 15522-2를 이용하여 국내 발생한 해양 기름유출사고 시료를 분석하고, 적용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경질유 유출사고가 40% 이상을 차지하는 국내 유출사고의 특징을 비춰볼 때 Adamamtanes와 같은 저비점의 물질이 추가된 EN 15522-2의 적용은 효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IL-1β Polymorphism and Expression Associated with Decreased Risk of Gastric Carcinoma: a Case Control Study in the Ethnic Kashmiri Population, India

  • Irtiza, Syed;Samie, Amat Us;Ali, Shakir;Siddiqi, Mushtaq A;Naqash, Sameer H;Sameer, Aga Sye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5호
    • /
    • pp.1987-1992
    • /
    • 2015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gastric carcinoma (GC) and polymorphisms of the IL-$1{\beta}$ gene in the Kashmiri population using peripheral blood DNA from 150 gastric carcinoma cases and 250 population controls with detailed data for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ease. Two SNPs in the IL-$1{\beta}$ gen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Expression of IL-$1{\beta}$ was studied in 50 gastric carcinoma cases using immunohistochemistry and RT-PCR and then correlated with genotype. The frequency of the IL-$1{\beta}$-511 C alle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C case group (53.3%) than in controls (45.4%) with an odds ratio (OR) of 0.73 and a P value of 0.03.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associations of gastric carcinoma with mutant form of IL-$1{\beta}$-511 TT (OR 0.309; P value <0.001) and the CC genotype of IL-$1{\beta}$-31 (OR 0.313; P value of 0.002). Haplotype analysis of IL-$1{\beta}$-31 and IL-$1{\beta}$-511 showed decreased association of IL-$1{\beta}$-31 T with IL-$1{\beta}$-511 C with gastric carcinoma (OR 0.728; P value 0.03). Expression study of 50 samples by immunohistochemistry (IHC) and RT-PCR showed association with grade III and stage III+IV. After correlating the expression with polymorphism no association was found.

Development of Analysis Condition and Detecti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Cooked Hanwoo Beef by SPME-GC/MS Analysis

  • Ba, Hoa Van;Oliveros, Maria Cynthia;Ryu, Kyeong-Seon;Hwang, I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3-86
    • /
    • 2010
  •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optimiz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GC-MS conditions for extraction and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for Hanwoo beef and to establish a tentative database of flavor components. Samples were taken from Hanwoo longissimus muscle (30 mon old steer, $1^+B$ carcass grade) at 24 h postmortem.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timum adsorption time for $75{\mu}m$ CAR/PDMS fiber was 60 min at $60^{\circ}C$. Thermal cleaning at $250^{\circ}C$ for 60 min was the best practice for decontamination of the fiber. A short analysis program with a sharp oven temperature ramp resulted in a better resolution and higher number of measurable volatile components. With these conditions, 96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with little variation including 22 aldehydes, 8 ketones, 31 hydrocarbons, 12 alcohols, 8 nitrogen- and sulfurcontaining compounds, 5 pyrazines and 10 furans. A noticeable observation was the high number of hydrocarbons, aldehydes, ketones, alcohols and 2-alkylfurans which were generated from lipid decomposition especially the oxidation and degradation of unsaturated and saturate fatty acids. This implies that these compounds can be candidates for flavor specification of highly marbled beef such as Hanwoo flavor.

수입 팜기름과 카놀라기름의 국내에서의 산업적 탈색과 탈취에 따른 산화관련 특성과 벤조피렌 함량 (Oxidation-related quality and benzo(a)pyrene content of imported palm and canola oils after domestic industrial bleaching and deodorization)

  • 박재현;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584-590
    • /
    • 2017
  • 수입 팜기름과 수입 후 탈산한 카놀라기름은 $110^{\circ}C$에서 80분 동안 산성백토(1%)를 이용한 탈색과 $250^{\circ}C$, 3 torr에서 3시간 동안의 탈취공정을 거치면서 토코페롤 함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산값과 과산화물값의 감소와 함께 산화 관련 특성은 개선되었으며, 탈취보다는 탈색공정에 의한 개선 효과가 높았다. 탈취공정은 기름의 비정상 향미화합물을 대부분 제거하였으며, 고온에서의 탈색과 탈취공정에도 불구하고 위해 화합물인 벤조피렌 함량에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결과는 국내 정제 공정에서 수입 팜기름과 카놀라기름의 품질 개선에 탈취보다는 탈색이 큰 영향을 나타냄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strumental Analysis of Natural Omija Extract

  • Sung, Ki-Chun;Kim, Ki-Jun;Kim, Yong-Ryul;Nam, Sang-Sung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5-232
    • /
    • 2013
  • Omija component was known to possess natural odor, taste, color, and various general characteristics. Omija extraction was extracted using ethanol as a solvent. Omija extract showed a red-purple color of some viscous liquid state. Some conclusions from natural Omija extract were obtained as follow. The result of antimicrobial experiment to add Omija extract, the number of microbial population showed negative reaction from 3 days after it cultivated. This phenomenon could confirm that Omija component affected to antimicrobial effect. The result of dyeing experiment to add Omija extract, fiber dyeing effect showed with some ivory color after dyed to cotton and silk. Also, this phenomenon could confirm that Omija component affected to natural dyeing effect from observated dye state with biological microscope(BM). The result of instrumental analysis, inorganic components of K(109.60ppm), Na(3.500ppm), Ca(1.205ppm), Mg(0.900ppm), Li(0.350ppm), Si(0.380ppm), Cu(0.250ppm), Fe(0.125ppm), Zn(0.090ppm), etcs from Omija were ascertained with ICP/OES, and organic components of benzene(10.808), borny lacetate(11.289), phenol(14.183), ${\beta}$-terpinene(15.840), ${\alpha}$-terpinolene(17.616) etcs from Omija were ascertained with GC/MSD.

목단피로부터 식품부패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Mokdan Bark (Paeonia suffruticosa ANDR))

  • 황재선;한영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59-1065
    • /
    • 2003
  • 우리나라 야산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식물인 목단피를 건조시켜 분쇄한 후 methanol과 여러 용매로 추출하여 식품 부패 미생물의 증식 억제 효과를 검색하고 그 항균물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목단피의 methanol 추출물은 1500$\mu\textrm{g}$/mL 농도에서 B. subtilis, L. monocytogenes, V parahaemolyticus의 증식을 100% 억제하였으며 S. aureus, E. coli도 같은 농도에서 각각 36.31%와 67.81%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목단피의 ethylacetate 분획 추출물은 낮은 농도인 500$\mu\textrm{g}$/disc의 농도에서 식품 부패 미생물 5종 모두에 대하여 clear zone을 형성하여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특히 L. monocytogenes, E. coli균에 대해서는 낮은 농도인 500$\mu\textrm{g}$/disc에서 각각 12mm, 11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목단피의 ethylacetate추출물을 silica gel colum chromatography(7cm${\times}$1.2 cm)한 후 thin layer chromatography(TLC)를 실시하여 항균 실험을 한 결과 B. subtilis의 경우 500 $\mu\textrm{g}$/disc 농도에서 2nd fra. 1이 21mm, V. parahaemolyticus는 250$\mu\textrm{g}$/disc 농도에서 14mm를 형성하여 목단피의 methanol 추출물로부터 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여 분리한 ethylacetate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y와 TLC를 하여 항균성을 보인 2nd fra. 1의 성분을 알아보기 위하여 HPLC로 단일분리하여 얻은 peak Ⅸ에 대한 compound를 GC-MS로 분석한 결과 peak Ⅸ에서는 isobutyl isopentanoate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민들레로부터 항균성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Dandelion(Taraxacum platycarpum D.))

  • 한영실;김건희;민경찬;이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22-829
    • /
    • 1999
  • 최근 식품 산업의 발달로 장기간 식품 보존을 위하여 합성 보존제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대체할 천연 보존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 식물인 민들레를 메탄올과 여러 용매로 추출하여 식품부패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실험하고 그 항균 활성 물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민들레의 메탄올 추출물은 $2000\mu\textrm{g}/ml$ 농도에서 s. aureus를 완전히 억제하였고, L. monocytogenes는 98.43% 억제하였다. 그리고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물은 $1000\mu\textrm{g}/disc$ 농도에서 5종의 모든 시험균주에 대하여 clear zone을 형성하여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TLC를 통해 분리하여 얻은 fraction을 5가지 시험균주에 대한 항균 실험 결과 3번째 3rd fraction의 항균력이 가장 높아 $250\mu\textrm{g}/disc$ 농도에서 E. coli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 대하여 14mm 이상의 clear zone을 나타내었다. 항균력을 보인 민들레의 ethylacetate 분획의 3번째 3rd fraction을 먼저 HPLC로 분리하여 얻은 peak II로부터 $^{l}H-NMR$ 및 GC-MS로 분석한 결과 benzoic acid로 동정 되었다.

  • PDF

더위지기 정유로부터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활성 성분의 동정 (Identification of the Component with Anti-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from the Essential Oil of Artemisia iwayomogi)

  • 최재수;송병민;박희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21
    • /
    • 2017
  • AChE 억제제는 알츠하이머 질환 치료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더위지기 정유로부터 AChE 활성성분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한 것이다. 더위지기로부터 얻은 정유를 GC-MS로 분석했을 때 camphor가 29.8%, borneol이 28.0%, eucalyptol이 5.81%, coumarin이 5.49%의 피크 면적 비율을 보였다. 이 중 camphor, borneol, coumarin을 사용하여 Anti-AChE 활성 검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0.298mg/m{\ell}$, coumarin은 $0.236mg/m{\ell}$$IC_{50}$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coumarin이 anti-AChE 활성을 나타내는 활성물질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질경이로부터 항균성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Plantain (Plantago asiatica L.))

  • 김건희;김순임;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10-417
    • /
    • 1999
  • 우리나라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 식물인 질경이를 메탄올과 여러 용매로 추출하여 식품 부패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실험하고 그 항균활성 물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질경이의 메탄올 추출물은 2000$\mu\textrm{g}$/ml 농도에서 B. subtilis 및 V. parahaemolyticus의 증식을 100% 억제하였다. 그리고 질경이의 ethylacetate 분획물은 1000$\mu\textrm{g}$/disc 농도에서 5종의 모든 실험 균주에 대하여 8.5~11mm 크기의 clear zone을 형성하여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다. 질경이의 ethylacetate 분획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TLC로 분리하여 얻은 fraction을 5가지 실험 균주에 대하여 항균 실험을 한 결과 3rd 분획물 중 4번째 분획물이 250$\mu\textrm{g}$/disc 농도에서 모든 균주에 대하여 10 mm 이상의 clear zone을 나타내었다. 항균력을 보인 질경이의 ethylacetate 3rd fraction No. 4를 HPLC로 단일 분리하여 얻은 peak IV로 부터 $^1$H-NMR 및 GC-MSD로 동정한 결과 hexadecanoic acid로 동정되었다.

  • PDF

천궁(Cnidium officinale)의 휘발성 향기성분 및 유리기 소거활성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nidium officinale)

  • 이지혜;최향숙;정미숙;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30-338
    • /
    • 2002
  • 건조방법이 다른 신선, 열풍건조, 동결건조 천궁(Cnidium officinale)을 대상으로 전자코를 이용한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 분석 및 GC/MS를 이용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을 실시하고, 메탄올 및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상온 및 환류 추출로 얻어진 추출물의 유리기 소거활성을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조방법이 다른 천궁의 휘발성 향기 패턴을 전자코로 분석한 결과 주성분 분석에서 제1 주성분값에 의해서 신선한 천궁과 건조시료간에 판별이 가능하였다. GC/MS에 의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 신선한 천궁이 총 85종의 성분으로 가장 많은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열풍건조 시료가 64종, 동결건조 시료가 73종으로 신선, 동결건조, 열풍건조 시료순으로 확인 성분의 수가 많았던 반면, 총 휘발성 향기성분의 함량은 동결건조 시료가 784.15 ppm으로 가장 높았고, 신선한 시료가 643.64 ppm, 열풍건조 시료가 218.15 ppm으로 열풍건조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 함량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았다. 천궁의 주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인 탄화수소류 및 phthalide류의 함량도 동결건조(383.70 ppm, 235.98 ppm), 신선(376.21 ppm, 134.05 ppm), 열풍건조(122.22 ppm, 69.00 ppm) 시료 순으로 확인되었다. 각 처리군에서 butyl phthalide, neocnidilide, 3-n-butyl phthalide 등의 phthalide류 및 sabinene, ${\beta}-selinene$, myrcene, ${\alpha}-pinene$, $trans-{\beta}-farnesens$, ${\gamma}-terpinen$ 등의 terpene류가 천궁의 주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향기성분은 서양요리에 쓰이는 셀러리의 주요 향기성분과도 유사하였다. 천궁 추출문의 유리기 소거활성을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동결건조 천궁의 methanol 상온추출물 500 ppm이 49.79%로 가장 높은 유리기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동결건조 시료의 ethanol과 methanol 상온 추출물은 250 ppm 이상의 농도에서 $25\;{\mu}M$농도의 ${\alpha}-tocopherol$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유리기 소거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류 추출의 경우는 상온추출물보다 유리기 소거활성이 낮았으며 동결건조 천궁의 ethanol 환류 추출물 500 ppm은 34.71%의 유리기소거 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