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C and GC-MS method

검색결과 832건 처리시간 0.032초

신기능성 물질 탐색을 위한 침엽수잎의 특수성분 분석에 관한 연구 (I) - 펙틴, 탄닌, 테르페노이드의 분석 - (Studies on the Analysis of Special Components of Major Pine Needles for Searching of the New Functional Substances (I) - Analysis of Pectin, Tannin and Terpenoids -)

  • 황병호;이현종;강하영;유순희;조재현;조국란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134-142
    • /
    • 1997
  • 주요 소나무류잎의 특수성분을 분석하여 시판되고 있는 솔잎 가공식품의 기초데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임산화학 분야의 학문적 기초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 펙틴은 잣나무가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탄닌은 잣나무가 높게 분석되었고, 소나무와 해송은 유사하였다. 테르페노이드 성분중 ${\alpha}$-pinene은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beta}$-pinene은 리기다와 해송에서 높게 분석되었으며, 희귀성분으로는 잣나무에서 sabinene과 citronellol, 리기다에서는 ${\alpha}$-pinene oxide 등이 분석되었다. 특히 소나무잎에 다량 존재하는 성분은 ${\alpha}$-pinene, ${\beta}$-caryophyllene, ${\beta}$-phellandrene, ${\Delta}^3$-carene, phytol 등 이었다. 향기성분의 주체인 ${\alpha}$-pinene, limonene, bornylacetate들이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보다 많이 분석된 것으로 보아 삼림욕의 신선하고 상쾌한 내음의 주체성분이라고 생각된다.

  • PDF

장기저장에 따른 착즙 유자 과즙의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Extracted Citron Juice by Long Term Storage)

  • 이경미;이미순;황진봉;정진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5-150
    • /
    • 1997
  • 본 연구는 유자과즙과 유자를 이용한 제품개발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생유자를 벨트식 착즙법9)으로 착즙한 유자 과즙(Sample I)과 이를 5$^{\circ}C$에서 1년간 저장한 유자 과즙(Sample II)의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Sample II는 Sample I에 비하여 수분은 3% 정도의 증가를 보였고, soluble solid가 1$^{\circ}$brix 이상 감소되었다. pH는 2.68에서 2.84로 증가하면서 산도가 5.83에서 5.23으로 감소되었다. 비타민 C는 50% 이상 감소하였고, 총아민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약 20~30% 정도의 감소를 보였으나, 그 밖의 일반성분들과 유리당, 지방산 및 총아미노산 함량의 감소는 0.1~1.0% 정도로 변화 정도가 미미하였다. 그리고, Sample I과 II의 향기성분을 gas chromatograpy로 비교 분석한 결과, 분리된 peak의 수는 70여 개인데, mass spectrometer로 확인할 수 있는 성분은 13개에 불과하였고, 주된 향기성분은 탄화수소류로 limonene, terpinene, terpineol, terpinolene 등이다. 1년간 저장함에 따라서 향기성분은 약 30~50% 정도 감소되고, 미량 함유되어 있던 성분들은 거의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Sample I 및 II로 10% 희석음료로 제조하여 관능검사한 결과 당배합비 및 저장기간에 따른 유의차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어린이 용품 중 프탈레이트류 함유량 및 전이량 분석방법 고찰 (Analytical method of phthalates in children's products)

  • 강영렬;신선경;박진수;김우일;전진원;허화진;구소현
    • 분석과학
    • /
    • 제23권4호
    • /
    • pp.357-362
    • /
    • 2010
  • 프탈레이트 가소제는 환경보건법의 환경유해인자로서 인체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지는 않으나 경구, 경피, 흡입 등의 경로로 체내에 흡수되어 종양발생, 변이원성, 생식독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져 있어, 일부 국가에서는 어린이 용품 중 사용을 금지하는 물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제품에 함유된 프탈레이트류 8종에 대한 함유량 및 전이량 분석방법을 정립하고자 국내 및 미국, 일본, 유럽연합 등 국외 어린이용품에 관련된 인체 전이율 분석방법을 파악하고,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시험방법을 비교, 검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표준화된 시험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어린이용품에 함유된 프탈레이트의 최종 노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제안된 시험방법에 따라 함유량과 전이량을 분석하고 그 상관관계를 파악하였으나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방처방 전탕 단계별 위해물질의 이행률에 대한 연구 (Study on Transfer Rate of Hazardous Materials in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 서창섭;김정훈;하혜경;이미영;이준경;이남헌;이호영;이진아;이설림;신현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19
    • /
    • 2010
  • Objective: To compare the contents and transfer rate of hazardous substances in crude, washing solution, crude after washing, decoction and remnant after boiling. Methods: The heavy metal contents of each step were measur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ICP-MS) and mercury analyzer (SP-3DS). In order to analyze pesticides in each sample we used simultaneous multi-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by GC/ECD, which was followed by GC/MSD analysis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detected pesticide in each sampl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sulfur dioxide ($SO_2$) were performed by Monier-Williams distillation method. Results: 1. Contents (mg/kg) of heavy metals were not detected in decoctions of any tested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2. Transfer rates (%) of heavy metals from crude to remnant were as follows: Yijin-tang (As: 46.9, Cd: 50.0 and Pb: 100.0), Oryung-san (As: 80.0, Cd: 100.0 and Pb: 73.8), Hwangryunhaedok-tang (As: 88.9, Cd: 71.4 and Pb: 92.7), Bangpungtongseong-san (As: 100.0, Cd: 17.3 and Pb: 56.1), Oyaksungi-san (As: 47.4, Cd: 175.0 and Pb: 142.4). 3. Contents (mg/kg) of residual pesticides were not detected in any samples. 4. Transfer rate (%) of sulfur dioxide ($SO_2$) from crude to remnant in all samples were as follows: Yijin-tang (25.0), Oryung-san (166.7), Hwangryunhaedok-tang (50.0), Bangpungtongseong-san (181.8), Oyaksungi-san (50.0).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the boiled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which we take are safe from the hazardous substances.

오염토양 내 석유제품 판별을 위한 TPH 및 BTEX 분석 (Combined TPH and BTEX Analytic Method to Identify Domestic Petroleum Products in Contaminated Soil)

  • 임영관;나용규;김정민;김종렬;하종한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3권6호
    • /
    • pp.263-268
    • /
    • 2017
  • The significance of maintaining the soil environment is gradually increasing owing to soil and underground water contamination by petroleum leak accidents. However, the purification of soil is an expensive and more time-consuming process than the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water and air. Moreover, determining the source and people responsible for soil pollution gets often embroiled in legal conflicts, further delaying the cleanup process of the contaminate site. Generally, TPH (total petroleum hydrocarbon) pattern analysis is used to determine the petroleum species and polluter responsible for soil contamination. However, this process has limited application for petroleum products with a similar TPH pattern.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TPH pattern and specific sectional ratio (${\sim}C_{10}$, $C_{10}-C_{12}$, $C_{12}-C_{36}$, and $C_{36}{\sim}$) of various domestic petroleum products to identify the petroleum product responsible for soil contamination. Also, we perform BTEX (benzene, toluene, ethyl benzene, xylene) quantitative analysis and determine B:T:E:X ratio using GC-MS. The results show that gasoline grade 1 and 2 have a similar TPH pattern but different BTEX values and ratios. This means that BTEX analysis can be used as a new method to purify soil pollution. This complementary TPH and BTEX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identify the petroleum species and polluters present in the contaminated soil.

Analysis of tert-Butanol, Methyl tert-Butyl Ether,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in Ground Water by Headspace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Shin, Ho-Sang;Kim, Tae-Se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12호
    • /
    • pp.3049-3052
    • /
    • 2009
  • Methyl tert-butyl ether (MTBE) is added to gasoline to enhance the octane number of gasoline, tert-butyl alcohol (TBA) is major degradation intermediate of MTBE in environment, and benzene, toluene, ethyl benzene and xylene (BTEX) are also major constituents of gasoline. In this study, a simplified headspace analysis method was adapte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MTBE, TBA and BTEX in ground water samples. The sample 5.0 mL and 2 g NaCl were placed in a 10 mL vial and the solution was spiked with fluorobenzene as an internal standard and sealed with a cap. The vial was placed in a heating block at 85 $^{\circ}C$ for 30 min. The detection limits of the assay were 0.01 ${\mu}$g/L for MTBE and BTEX, and 0.02 ${\mu}$g/L for TBA. The method was used to analyze 110 ground water samples from various regions in Korea, and to survey the their background concentration in ground water in Korea. The samples revealed MTBE concentrations in the range of 0.01 - 0.45 ${\mu}$g/L (detection frequency of 57.3%), TBA concentrations in the range of 0.02 - 0.08 ${\mu}$g/L (detection frequency of 5.5%), and total BTEX concentrations in the range of 0.01 - 2.09 ${\mu}$g/L (detection frequency of 87.3%). The developed method may be used when simultaneously determining the amount of MTBE, TBA and BTEX in water.

머위로부터 Bakkenolide B의 순수분리, HPLC분석 방법 및 채취 시기별 함량 분석 (Isolation, Quality Evaluation, and Seasonal Changes of Bakkenolide B in Petasites japonicus by HPLC)

  • 김태훈;김도연;정원정;;손병구;박영훈;강점순;이용재;임동순;이영근;최영현;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2-259
    • /
    • 2014
  • 머위(Peatasites japonicus)의 잎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하여 항천식 효과가 있는 물질로 알려진 bakenolide B를 순수분리하였으며, 1D-NMR, 2D-NMR 및 GC-MS spectrum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조를 동정하였다. 머위의 잎, 엽병 및 근경 등의 채취시기별 bakkenolide B의 함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HPLC 분석 방법을 확립하였다. Bakkenolide B의 민감도는 210 nm와 215 nm의 파장에서 254 nm, 235 nm 및 265 nm보다 높았으며, 분석을 위한 회귀 직선식은 y=7.841-6.262(파장 215 nm)로서 상관값($r^2$)이 0.999 이상으로서 유의성이 매우 높았다. 검출한계(LOD)는 1.05, 정량한계(LOQ)는 3.38이었다. 회수율은 3종류의 농도값에 대하여 98.6에서 103.1%로서 매우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볼때 머위에서 bakkenolide B의 함량은 HPLC 분석방법으로서 가능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따라서 식물체의 부위 즉 잎, 엽병 및 근경에서의 bakkenolide B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잎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엽병이었으며, 근경에서 함량이 가장 낮았다. 3월 초부터 8월 초까지 1개월 간격으로 식물체의 부위별 bakkenolide B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3월부터 8월까지 채취시기가 지연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HPLC를 이용한 Petasites species의 bakkenolides 분석은 단순하고, 급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실내·외 공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흡착 시료채취 방법의 평가 (Evaluation of Adsorbent Sampling Method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ndoor and Outdoor Air)

  • 백성옥;문영훈
    • 분석과학
    • /
    • 제17권6호
    • /
    • pp.496-513
    • /
    • 2004
  • 본 연구는 환경 대기 중 독성 VOC 측정을 위하여 흡착제를 이용한 시료채취와 열탈착을 병용한 GC/MSD 분석방법론 전반을 총괄적으로 평가하고, 나아가 각종 흡착제의 VOC 시료채취 특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측정대상물질은 BTEX와 유기염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총 33개의 VOC를 선정하였으며, 조사된 흡착제는 상용중인 10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흡착제는 총 6종의 탄소계 (Carbotrap, Carbopack B, Carbotrap C, Carbosieve-SIII, Carboxene 1000 및 Activated Charcoal)와 4종의 고분자 수지계 (Tenax TA, Porapak Q, Chromosorb 102, Chromosorb 106) 로 구분되어 진다. 시료채취과정은 단일 흡착관과 다중흡착관을 대상으로 표준시료와 실제 현장시료를 대상으로 재현성과 감응계수 측면에서 평가하였으며, 측정 정확성은 Carbotrap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독성 VOC에 가장 적합한 흡착제로는 Carbotrap과 Carbopack B 및 Tenax TA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한 흡착제는 열탈착 성능이 떨어지고, 시료 중 수분의 영향으로 감도와 재현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종류의 이중흡착관과 2 종류의 삼중흡착관의 시료채취특성을 평가한 결과, Carbotrap C와 Carbotarp으로 조합된 경우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친수성인 강한 흡착제가 같이 충전된 삼중 흡착관의 사용은 수분의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매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흡착시료채취법을 이용하여 실내외 환경에서의 독성 VOC 농도에 대한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흡착제의 선정 (혹은 조합) 및 그에 따른 최적 분석 조건의 설정에 무엇보다도 세심한 주의가 요망된다.

충남도내 유통 과일류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A Safety Survey of Pesticide Residues in Fruit Products Circulated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 이강범;김남우;송낙수;이중호;정상미;신명희;최선실;김지희;성시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21-43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18년 충남에서 유통되는 과일류에 대한 잔류농약 실태를 조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유통 과일류 150건을 실험대상으로 식품공전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제2법)으로 분석이 가능한 195종의 잔류농약을 실험하였다. 150건의 과일 시료 중 63건에서 40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률은 42.0%였다. 각 과일의 잔류농약 검출률은 감귤류(55.2%), 인과류(41.3%), 장과류(38.7%), 핵과류(36.0%) 순이였으며 표본이 작지만 열대과일에서는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빈도가 높은 과일은 사과 21회, 감귤이 16회로 다른 과일에 비해 높은 검출빈도를 보였으며, 검출빈도가 가장 높은 농약은 bifenthrin(21회), pyraclostrobin(17회), novaluron(13회)로 나타났다. 잔류농약이 검출된 시료 중 74.6%의 시료에서 2종 이상의 동시에 검출되었다. 잔류농약이 검출된 63건의 과일 모두 잔류허용기준 이하로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나, 잔류농약 검출률이 높고, 농약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韓國)의 11개(個) 주요(主要) 산지(産地)에서 채집(採集)한 송이(松栮)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Aroma Characteristics of Tricholoma matsutake Mushrooms Collected from Eleven Major Sites in Korea)

  • 조덕현;이경준;한심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90-497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생산되는 송이(Tricholoma matsutake)의 향기성분을 구명하고, 주요송이산지간에 향기성분에 차이가 있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경북의 봉화, 울진, 고령, 청도지역을, 경남의 창녕, 하동, 함양지역을, 강원도의 양양, 인제지역을, 충북의 괴산지역과 전북의 남원지역의 총 11개 송이산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향기성분은 dynamic headspace법을 이용하여 $40^{\circ}C$에서 질소로 purge(분주)한 후 휘발성 성분만을 포집하여 GC-MSD(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ic detector)로 동정하였다. 총 25종의 향기성분을 동정하였는데, 가장 중요한 구성성분은 1-octen-3-ol 이었다. 송이 향기의 주성분으로 알려져 왔던 methyl cinnamate는 어느 버섯에서도 검출되지 않아서 이 향기가 천연적인 휘발성 물질이 아님을 입증하였다. 봉화의 송이는 총 향기성분이 다른 산지보다 2배에서 18배까지 많았으며, 주성분은 3-methyl 1-butanol 이었다. 향기의 총량은 봉화, 청도, 인제, 함양, 울진, 양양 순으로 감소하였다. 향기성분의 총량, 향기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서 11개 산지를 다음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1)봉화형은 향기의 총량이 월등히 많고, 3-methyl 1-butanol이 주성분이며, 다른 성분도 골고루 높다. 2)함양형(청도, 양양, 인제 포함)은 1-octen-3-ol이 전체의 2/3 가량을 차지하며, 두 번째 주성분은 3-methyl butanal 이다. 3)울진형은 1-octen-3-ol이 94% 이상을 차지하며, 다른 성분은 거의 없다. 4)괴산형(고령, 남원, 창녕, 하동 포함)은 향기의 총량이 다른 형보다 적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