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C analysis

검색결과 2,178건 처리시간 0.024초

라면 건조 스프 재료의 방사선 조사 검지를 위한 Hydrocarbon류 검출 (Detection of Hydrocarbons to Determine Post-Irradiation of Dry Soup Base Ingredients in Instant Noodle)

  • 황금택;박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18-1023
    • /
    • 1998
  • 방사선 조사한 라면 건조 스프에서 hydrocarbon류를 검출하여 이를 라면 스프의 방사선 조사 여부를 검지하는 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스프 재료를 개별, 또는 배합 전후에 방사선 조사하여, hexane으로 지방을 추출하고 Florisil column으로 분리한 hydrocarbon류를 G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0 kGy 조사한 팜유, 고춧가루, 참깨에서 비조사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는 hydrocarbon C17:2, C16:3, C17:1, C16:2 등이 검출되었다. 비조사 재료만을 사용하여 배합한 스프에서는 C17:2, C16:3, C17:1, C16:2가 검출되지 않았다. 팜유 또는 참깨만을 방사선 조사한 것을 사용한 배합 스프에서는 C17:2, C16:3, C17:1, C16:2이 검출되었으며, 고춧가루만 방사선 조사한 것을 사용한 배합 스프에서는 C17:2와 C16:3이 검출되었다. 비조사 재료를 배합한 후 방사선 조사하였을 때, 1 kGy 조사 시료에서 C17:2, C17:1, C16:2가 검출되었고, 5 kGy 및 10 kGy 조사한 시료에서 C17:2, C16:3, C17:1, C16:2가 다량 검출되었다.

  • PDF

편백 잎에서 추출한 정유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의 성분 비교분석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and Hydro-distillation from Chamaecyparis obtusa Leaves)

  • 김우재;최원실;이성숙;박미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94-503
    • /
    • 2015
  • 본 연구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과 증류법에 의해 얻어진 편백 정유의 수율과 화학적 조성의 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은 $40^{\circ}C$, 100~400 bar의 압력범위에서 수행하였다. 편백 정유의 성분 분석은 GC-M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시 300 bar 압력에서 4.4%의 최대수율을 얻었으며 이는 증류법에 의해 얻어진 1.9% 수율에 비해 높았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은 증류법에 의한 정유에 비해 sesquiterpene류의 함량이 높았다. Sesquiterpene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의 약 39%~46%를 구성하고 있으며 monoterpenes, diterpene, lignan순으로 함유되어 있다. 추출압력에 따라 각 성분의 함유율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조건은 편백 정유의 수율과 함유성분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어병 세균에 대한 소나무과 잎 정유의 항세균 효과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Pinaceae Leaves Against Fish Pathogens)

  • HAM, Youngseok;YANG, Jiyoon;CHOI, Won-Sil;AHN, Byoung-Jun;PARK, Mi-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527-547
    • /
    • 2020
  • 어병 세균은 어류 양식업의 경제적 피해 뿐만 아니라, 인수공통감염원으로 알려진 전염성 병원균이다. 어병 세균을 제어하기 위해 지속적인 항생제의 사용은 부작용이 수반되기 때문에, 천연 유래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항생제대체제 개발을 위해 항세균효과가 우수한 침엽수 정유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소나무과에 속하는 전나무 (Abies holophylla), 곰솔 (Pinus thunbergii), 섬잣나무 (Pinus parviflora), 솔송 (Tsuga sieboldii), 리기테다소나무 (Pinus rigitaeda)의 잎에서 hydro-distillation법을 이용하여 정유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정유는 어병 세균인 Edwardsiella tarda, Photobacterium damselae, Streptococcus parauberis, Lactococcus garivieae에 대하여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나무와 곰솔 잎 정유가 그람 음성 세균인 E. tarda와 P. damselae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강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GC-MS 분석 결과, 전나무 잎 정유의 주요 성분은 (-)-bornyl acetate (29.45%), D-limonene (20.47%), camphene (11.73%)이고, 곰솔 잎 정유의 주요 성분은 α-pinene (59.81%)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또한, 미량으로 존재하지만 정유와 동일한 효능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으로 oxygenated monoterpenes인 neryl acetate, (-)-borneol, (-)-carveol의 세가지 화합물을 구명하였다. 따라서 그람 음성어병세균의 생장억제효과가 우수한 전나무와 곰솔 잎 정유는 사료 첨가제, 수산용 의약품 등 생물학적 제제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레토르트식품, 분유, 비스킷 및 피자 내에 함유되어 있는 트랜스지방산 함량 분석 (Analysis of Trans Fatty Acid Content in Retort Food, Powdered Milk, Biscuit and Pizza Products)

  • 박다정;박정민;신진호;송재철;김진만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0-24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식품 내에 존재하는 트랜스지방산 함량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서울 지역에서 수거한 레토르트식품류 2종, 분유류 6종, 비스킷류 7종 피자류 3종을 선택하여 총 4종류의 18종의 시료를 분석하였다. 레토르트식품류 2종, 분유류 6종, 비스킷류 1종은 chloroform-methanol(CM) 추출법에 의하여 조지방을 추출하였으며 비스킷류 6종, 피자류 3종은 chloroform-methanol(CM) 추출법과 acid digestion 추출법을 각각 이용하여 조지방을 추출한 후 gas chromatography(GC)에 의해 트랜스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레토르트식품류의 총 지방 중 트랜스지방산 함량은 1-2.8%이며 분유류의 트랜스지방산 함량은 0.4-2.4%로서 제품의 브랜드와 제조회사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났다. 비스킷류의 트랜스지방산 함량은 0-2.95%로서 제품 간 가장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첨가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피자류에서는 2.8-3.45%의 높은 트랜스지방산 함유율을 나타내었다.

가지와 상추의 가공 중 azoxystrobin의 잔류량 변화 및 가공계수 (Residual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factors of azoxystrobin during eggplant and lettuce processing)

  • 김정아;서정아;이혜수;임무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51-60
    • /
    • 2020
  • 본 연구는 azoxystrobin 농약을 가지와 상추에 처리한 후 세척 및 조리과정 중 농약의 잔류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가지는 흐르는 물 세척, 찜, 볶음으로 가공하였으며, 상추는 담금 물 세척, 흐르는 물 세척, 담금 후 흐르는 물 세척, 초음파세척, 데치기로 가공하였다. Azoxystrobin의 GC분석의 정량 한계는 0.01 mg/kg이었으며, 회수율은 84.7-109.5%이었다. Azoxystrobin을 살포하여 수확한 가지의 농약 잔류량은 0.204 mg/kg, 상추의 잔류량은 12.296 mg/kg이었다. 가지의 흐르는 물 세척, 세척 후 찌기, 세척 후 볶기의 잔류량은 0.059, 0.065, 0.05 mg/kg이었다. 상추의 담금 물 세척, 흐르는 물 세척, 담금 후 흐르는 물 세척, 초음파세척, 데치기의 azoxystrobin의 잔류량은 각각 3.027, 7.513, 3.937, 5.761, 3.241 mg/kg이었다. 가지와 상추의 azoxystrobin 농약의 가공계수 및 감소율을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가지의 경우, 흐르는 물 세척의 가공계수 및 감소율은 0.29, 71.1%, 찜 가공한 가지는 0.32, 68.0%, 볶음 가공한 가지는 0.24, 75.7%이었다. 상추의 경우, 담금 물 세척한 상추의 가공계수 및 감소율은 0.25, 75.3%, 흐르는 물 세척은 0.61, 38.9%, 담금 후 흐르는 물 세척은 0.32, 68.0%, 초음파세척은 0.47, 53.1%, 데치기는 0.26, 73.6%이었다. 가지와 상추 중 잔류농약은 세척 및 조리가공을 통해서 잔류농약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척 후 조리과정을 진행할 시, 대부분의 농약이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세척 및 가공 후 azoxystrobin 가공계수를 위해 평가에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공성 전분의 향포접 효율과 이를 활용한 생면의 관능적 특성 (Flavor Entrapment Effect of Porous Starch and Sensory Characteristic of Boiled Instant Noodles Using Flavor-entrapped Porous Starch)

  • 김혜연;이규희;강현아;신명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58-662
    • /
    • 2007
  • 다공성 전분에 향을 포접 시켜 가열에 의해서도 향이 빠져나오지 않지만 입안에서 기계적 작용에 의해 향이 배출되면서 현재 생면에서 나는 밀가루 냄새를 은폐시켜 줄 수 있는 생면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공성 전분을 제조하였다.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공성 전분의 평균 수율은 IT $170^{\circ}C$, ET $90^{\circ}C$, FR 50 mL/min의 조건에서 82%로 가장 높았으며, IT $180^{\circ}C$, ET $100^{\circ}C$, FR 70 mL/min에서 45.2로 가장 낮았다. 제조된 다공성 전분에 깻잎향을 추출하여 포접시킨 후 효율을 SPME-GC를 이용하여 깻잎향 중 가장 비율이 높은 perilla ketone의 양을 비교하였을 때 IT $200^{\circ}C$, ET $100^{\circ}C$, FR 50 mL/min에서 제조된 다공성 전분이 포접 효율이 68%로 나타났다.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로는 IT $200^{\circ}C$, ET $100^{\circ}C$, FR 50 mL/min으로 제조된 다공성 전분을 첨가시킨 우동면의 깻잎향과 기호도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내며 높게 나타났고 밀가루 맛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장 깻잎향 포접효율이 높으며 소비자 기호도도 높일 수 있는 다공성 전분은 IT $200^{\circ}C$, ET $100^{\circ}C$, FD 50 mL/min의 조건으로 제조된 것이다.

Alliinase 첨가에 의한 열처리 마늘로부터 생성된 함황 화합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iosulfinates and Volatile Sulfur Compounds from Blanched Garlic Reacted with Alliinase)

  • 최윤희;심유신;김청태;이찬;신동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00-607
    • /
    • 2007
  • 마늘의 주요 향기성분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함황 화합물의 생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열처리에 의하여 마늘 중의 효소를 완전히 실활 시킨 마늘펄프에 마늘로부터 추출한 alliinase를 첨가하여 첨가량 및 반응시간에 따른 thiosulfinates 및 휘발성 향기성분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HPLC 및 LC/MS/MS를 이용하여 생마늘 중의 thiosulfinates를 분리, 확인한 결과 8종의 thiosulfinates를 확인하였다. Allicin은 전체 thiosulfinates함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로부터 추출한 alliinase를 열처리 마늘펄프에 각각 100, 200, 300 및 400 unit를 첨가하여 5, 10 및 15분씩 각각 반응시킨 결과 효소첨가량 및 반응시간의 증가와 함께 thiosulfinates 함량도 증가하였다. 100, 200, 300 및 400 unit의 alliinase를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킨 결과 총 thiosulfinates는 생마늘(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37, 68, 77 및 80%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C/MSD를 이용하여 대조구 및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36개의 피크를 분리하였고, 이중 28개 피크에 대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확인된 28개의 피크 중 23개 피크가 함황 화합물이었다. Alliinase를 100, 200, 300 및 400 unit씩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킨 시료에 대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25, 36, 66 및 76%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열처리한 마늘에 alliinase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면 반응조건에 따라 마늘 중의 주요생리활성 물질 및 휘발성 향기성분인 thiosulfinates와 휘발성 함황 화합물의 생성을 30-80%까지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과추출에 의한 커피의 이취성분 분석 (Analysis of Off-flavor Compounds from Over-extracted Coffee)

  • 이진성;김민선;신호재;박기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48-360
    • /
    • 2011
  • 연속적으로 추출한 커피액을 단계별로 일정량 취하여 관능검사를 실행한 결과 고형분의 함량을 시료별로 동일하게 희석하였음에도 에스프레소 추출의 경우 30 mL 이상, 드립커피에서는 200mL 이상 추출한 경우 향미는 감소하고 이취는 증가하여 과추출이 시작됨을 인지할 수 있었다. 이는 추출 단계별로 고형분 성분의 조성비의 변화가 있음을 의미하며 GC/MS로 성분비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4-ethylguaiacol은 통계분석 시 이취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유효 향기성분인 동시에 커피의 재료, 배전도, 추출 방식에 상관없이 추출이 경과함에 따라 성분비가 직선에 가까운 상승비를 보이므로 과추출을 나타내는 지표 물질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Guaiacol과 4-vinylguaiacol은 이취와 통계적으로 높은 연관성을 보인 4-ethylguaiacol에 비해 향기 인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ordor threshold value가 낮고 피크 면적 %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과추출로 인한 이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 성분이 과추출 인지점 이후 증가하는 피크 면적 %를 보이는 것은 세포벽을 구성하는 섬유질의 탄 맛이 일정량 계속 침출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인스턴트커피 및 농축 커피 용액 제조 시 관능검사 결과와 함께 GC/MS로 4-ethylguaiacol의 피크 면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면 용액의 추출수율과 관능적 품질 선호도 즉 경제성과 품질을 최적화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지형 마늘의 인경 발육 과정에서 내생 지베렐린류의 함량변화 (Changes in Endogenous Gibberellin Contents during Bulb Development Period in the Cold-type Cultivar of Garlic (Allium sativum L.) of Korea)

  • 손은영;김윤하;김병수;서동환;이현숙;이인중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750-756
    • /
    • 2010
  • 마늘의 안정적 수량 확보와 품질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늘의 인경 비대에 관여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지형 마늘의 인편 분화기에서 인편 비대 최성기까지 식물체내 호르몬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생육 특성과의 연관성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늘 식물체(엽신과 엽초)의 GA 함량을 GC-MS로 동정한 결과 마늘 식물체에서 18종 이상의 GA를 확인하였다. GA 함량은 마늘에 고등식물체에서 주로 존재하는 두 생합성 경로가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생리활성 $GA_4$를($7.25ng{\cdot}g^{-1}$ D.W.) 생합성 하는 non C-13 hydroxylation pathway(NCH)가 $GA_1$을($2.97ng{\cdot}g^{-1}$ D.W.) 생합성 하는 early C-13 hydroxylation pathway (ECH) 보다 우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지형 의성마늘 인경 분화 및 비대 시 식물체내 호르몬 변화를 조사한 결과 total GA 함량은 인편 분화기부터 비대개 시기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인경이 비대되는 동안 점차 감소하였다. 생리활성 GA인 $GA_4$$GA_1$의 함량은 총 GA 함량과 같은 경향으로 변화하여 인경 비대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 생장 양상과 엽초의 호르몬 변화 양상은 유사한 경향을 보여 엽초의 호르몬 변화가 마늘 생장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도재 축성 방법에 따른 금속 도재관의 전단결합강도 비교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according to porcelain build-up methods)

  • 이하영;조진현;이청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2호
    • /
    • pp.112-120
    • /
    • 2014
  •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열가압법을 이용한 도재의 축성이 금속과 어떠한 결합력을 나타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90개의 비귀금속 시편($4{\times}4{\times}8mm$)을 제작하여 세 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시편은 군에 따라 2종류의 다른 방법으로 포세린 축성($4{\times}4{\times}3mm$)하였다: Group I : $Inspiration^{(R)}$, Group II : Ivoclar, IPS $Inline^{(R)}PoM$, Group III: GC Initial IQ-One $Body^{(R)}PoM$. 각 군의 시편의 반은 열순환시켰다. 모든 시편의 전단 결합 강도는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2-way ANOVA가 사용되었다. 결과: 열순환을 하지 않은 시편의 전단결합강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유사한 값으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P > 0.05). 각 실험군에서 열순환 처리 한 시편에서는 전단결합강도의 감소가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 > 0.05). 열순환 처리한 시편의 실험군간 전단결합강도 비교에서 실험 III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결론: 전단결합력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열가압성형 도재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