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A 프로세서 구조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erformance Evaluation of Pipeline Genetic Algorithm Processor (Pipeline 유전자 알고리즘 프로세서(GAP)의)

  • 김태훈;이동욱;이홍기;심귀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379-382
    • /
    • 2002
  • GA(Genetic Algorithm)는 자연계 진화를 모방한 계산 알고리즘으로서 단순하고 응용이 쉽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GA의 단점은 일반적인 소프트웨어로 동작시켰을 때는 실행속도가 느리다는 것이다. 특히 chromosome이 길 경우 연속적인 교차, 돌연변이를 수행해야한다. GA Processor(GAP)는 GA를 수행하기위한 전용 Processor로서 GA의 동작을 빨리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pipeline 구조의 GAP를 설계하여 GA를 수행함에 있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성능을 비교한다.

Design of Genetic Algorithm Processor(GAP) for Evolvable Hardware (진화하드웨어를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 프로세서(GAP) 설계)

  • Sim, Kwee-Bo;Kim, Tae-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2 no.5
    • /
    • pp.462-466
    • /
    • 2002
  • Genetic Algorithm (GA) which imitates the process of nature evolution is applied to various fields because it is simple to theory and easy to application. Recently applying GA to hardware, it is to proceed the research of Evolvable Hardware(EHW) developing the structure of hardware and reconstructing it. And it is growing a necessity of GAP that embodies the computation of GA to the hardware. Evolving by GA don't act in the software but in the hardware(GAP) will be necessary for the design of independent EHW. This paper shows the design GAP for fast reconfiguration of EHW.

Processor-Architecture for the Faster Processing of Genetic Algorithm (유전 알고리듬 처리속도 향상을 위한 프로세서 구조)

  • 윤한얼;정재원;심귀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169-172
    • /
    • 2004
  • 유전 알고리듬은 NP-Hard 문제의 해결이나, 함수 최적화, 복잡한 제어기의 파라미터 값 추적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유전 알고리듬은 적합도 함수를 통해 해들의 품질을 결정하고, 해들의 품질에 따라 선택 연산을 거쳐, 교차나 돌연변이를 통해 우수한 품질의 해를 찾는 과정을 가진다 현재 이 과정은 대부분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범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된다. 그러나 높은 소프트웨어 의존성은 해집단의 크기가 커질수록 교차/변이 연산과 해들의 품질비교에 수행되는 시간을 크게 증가시키는 약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순위 기반 선택과 일점 교차(one-point crossover)를 사용한다는 제약하에, 해들의 순위를 정렬 네트워크를 통해 결정하고 해들을 Residue Number System(RNS)로 표현하여 하드웨어적으로 교차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구조를 제안한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해들의 품질비교에 걸리는 시간을 크게 줄이고 교차/변이 연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 PDF

Enhanced Processor-Architecture for the Faster Processing of Genetic Algorithm (유전 알고리즘 처리속도 향상을 위한 강화 프로세서 구조)

  • Yoon, Han-Ul;Sim, Kwee-B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5 no.2
    • /
    • pp.224-229
    • /
    • 2005
  • Generally, genetic algorithm (GA) has too much time and space complexity when it is running in the typical processor. Therefore, we are forced to use the high-performance and expensive processor by this reason. It also works as a barrier to implement real device, such a small mobile robot, which is required only simple rules.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esents and proposes enhanced processor-architecture for the faster GA processing. A typical processor architecture can be enhanced and specialized by two approaches: one is a sorting network, the other is a residue number system (RNS). A sorting network can improve the time complexity of which needs to compare the populations' fitness. An RNS can reduce the magnitude of the largest bit that dictates the speed of arithmetic operation. Consequently, it can make the total logic size smaller and innovate arithmetic operation speed faster.

Design of state machine using Evolvable Hardware and Genetic Algorithm Processor (GAP와 진화 하드웨어를 이용한 State Machine설계)

  • 김태훈;선흥규;박창현;이동욱;심귀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79-182
    • /
    • 2002
  • GA(Genetic Algorithm)는 자연계 진화를 모방한 계산 알고리즘으로서 단순하고 응용이 쉽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 전역적 최적해 탐색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사용되어 진화하드웨어라는 분야를 탄생시켰다. 이와 함께 GA의 연산자체를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GA processor(GAP)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진화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상에서 진화 시키는 것이 아닌 GAP에 의해 진화 시키는 것은 독립된 구조의 진정한 EHW 설계에 필수적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GAP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진화하드웨어로 State machine을 구현하고자 한다. State machine의 경우 구조상 피드백이 필요하기 때문에 가산기나 멀티플렉서보다는 훨씬 복잡하고 설계가 까다로운 구조이다. 제안된 방법을 통하여 명시적 설계가 어려운 하드웨어 설계에 GAP를 이용한 하드웨어의 진화에 적용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보인다.

  • PDF

Implementation of GA Processor with Multiple Operators, Based on Subpopulation Architecture (분할구조 기반의 다기능 연산 유전자 알고리즘 프로세서의 구현)

  • Cho Min-Sok;Chung Duck-Ji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D
    • /
    • v.52 no.5
    • /
    • pp.295-304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hardware-oriented Genetic Algorithm Processor(GAP) based on subpopulation architecture for high-performance convergence and reducing computation time. The proposed architecture was applied to enhancing population diversity for correspondence to premature convergence. In addition, the crossover operator selection and linear ranking subpop selection were newly employed for efficient exploration. As stochastic search space selection through linear ranking and suitable genetic operator sel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vergence state of each subpopulation was used, the elapsed time of searching optimal solution was shortened. In the experiments, the computation speed was increased by over $10\%$ compared to survival-based GA and Modified-tournament GA. Especially, increased by over $20\%$ in the multi-modal function. The proposed Subpop GA processor was implemented on FPGA device APEX EP20K600EBC652-3 of AGENT 2000 design kit.

Comparison of Genetic Algorithms and Simulated Annealing for Multiprocessor Task Allocation (멀티프로세서 태스크 할당을 위한 GA과 SA의 비교)

  • Park, Gyeong-M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6 no.9
    • /
    • pp.2311-2319
    • /
    • 1999
  • We present two heuristic algorithms for the task allocation problem (NP-complete problem) in parallel computing. The problem is to find an optimal mapping of multiple communicating tasks of a parallel program onto the multiple processing nodes of a distributed-memory multicomputer. The purpose of mapping these tasks into the nodes of the target architecture is the minimization of parallel execution time without sacrificing solution quality. Many heuristic approaches have been employed to obtain satisfactory mapping. Our heuristics are based on genetic algorithms and simulated annealing. We formulate an objective function as a total computational cost for a mapping configuration,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our heuristic algorithms. We compare the quality of solutions and times derived by the random, greedy, genetic, and annealing algorithms. Our experimental findings from a simulation study of the allocation algorithms are presented.

  • PDF

Development of hyperspectral image-based detection module for internal defect inspection of 3D-IC semiconductor module (3D-IC 반도체 모듈의 내부결함 검사를 위한 초분광 영상기반 검출모듈 개발)

  • Hong, Suk-Ju;Lee, Ah-Yeong;Kim, Gh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46-146
    • /
    • 2017
  • 현대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pc등을 가능하게 만든 집적 기술 중의 하나는 3차원 집적 회로(3D-IC)와 같은 패키징 기술이다. 이러한 첨단 3차원 집적 기술은 메모리집적을 통한 대용량 메모리 모듈 개발뿐만 아니라, 메모리와 프로세서의 집적, high-end FPGA, Back side imaging (BSI) 센서 모듈, MEMS 센서와 ASIC 집적, High Bright (HB) LED 모듈 등에 적용되고 있다. 3D-IC의 3차원 모듈 제작 시에는 기존에 발생하지 않았던 여러 가지 파괴 모드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Thermal/Photonic Emission 장비 등 기존의 2차원 결함분리 (Fault Isolation) 기술로는 첨단의 3차원 적층 제품들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비파괴적으로 혹은 3차원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비파괴 3차원 결함 분리 기술은 향후 선행 제품 적기 개발에 매우 필수적인 기술이다. 본 연구는 3D-IC 반도체의 비파괴적 내부결함 검사를 위하여 가시광선-근적외선 대역(351nm~1770nm)의 InGaAs (Indium Galium Arsenide) 계열 영상검출기 (imaging detector)를 사용하여 분광 시스템 광학 설계를 통한 초분광 영상 기반 검출 모듈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초분광 영상 기반 검출 모듈을 이용하여 구리 회로 위에 실리콘 웨이퍼가 3단 적층 된 반도체 더미 샘플의 초분광 영상을 촬영하였으며, 촬영된 초분광 영상에 대하여 Chemometrics model 기반의 분석기술을 적용하여 실리콘 웨이퍼 내부의 집적 구조에 대한 검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