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5 of composition and structure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8초

Pb(Mg1/2W1/2)O3 치환에 따른 저온소결 Pb(Mg1/2W1/2)O3-Pb(Mn1/3Nb2/3)O3-Pb(Zr1/2Ti1/2)O3 세라믹스의 압전 및 유전특성 (Piezoelectric and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Low Temperature Sintering Pb(Mg1/2W1/2)O3-Pb(Mn1/3Nb2/3)O3-Pb(Zr1/2Ti1/2)O3 Ceramics With the Substitution of Pb(Mg1/2W1/2)O3)

  • 류주현;이현석;정광현;정영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17-421
    • /
    • 2006
  •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low temperature sintering piezoelectric ceramics for LTCC (Low-Temperature Cofired Ceramic) multilayer piezoelectric actuator, PMW-PMN-PZT ceramics using $0.2wt%\; Li_2CO_3$ and $0.25wt%\;CaCO_3$ as sintering aid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varation of PMW substution. Composition ceramics could be sintered at $900^{\circ}C$ by adding sintering aids. As the amount of PMW substitution increased, the crystal structure of PMW-PMN-PZT ceramics moved from tetragonal phase to rhombohedral phase gradually, and MPB(Morphotrophic Phase Boundary) region appeared at 2 mol% PMW substitution. At the sintering temperature of $900^{\circ}C$, the density, electromechanical coupling factor(kp), mechanical quality factor(Qm), dielectric constant(${\epsilon}r$), piezoelectric constant(d33) and Curie temperature(Tc) of 2 mol% PMW substituted PMW-PMN-PZT ceramics showed the optimal values of $7.88g/cm^3$, 0.58, 1002, 1264, 352 pC/N and $336^{\circ}C$, respectively, for LTCC multilayer piezoelectric actuator application.

박실늪의 식생 구조와 환경 요인 (Vegeta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Paksil-nup Wetland, Hapcheon)

  • 김철수;이팔홍;손성곤;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1-40
    • /
    • 2000
  • 자연늪의 육상화 과정에서 자연늪의 환경과 식물 군집의 특징을 구명하고자 경상남도 합천군 황강변에 위치한 박실늪에서 1990년 8월부터 1998년 9월까지 식물상, 식생 구조 및 저토 환경 요인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퇴적에 따른 수평적 저토 환경은 pH 4.36~4.34, 전기전도도 $19.0{\sim}1260.0\;{\mu}mho\;cm^{-1}$, 유기물량 0.01~6.35%, 총질소량 0.001~0.14%, 유효인량 0.01~0.31 mg/100g, 치환성 칼륨 1.01~13.98 ppm, 치환성 칼슘 16.75~143.80 ppm, 치환성 마그네슘 0.93~14.85 ppm, 치환성 나트륨 0.21~3.86 ppm 등이었고, 입경 조성은 모래 13.0~93.3%, 미사 5.4~71.7%, 점토 0.5~37.5% 등으로서 조사 지소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조사 지역에서 채집된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은 72과 182속 223종 36변종 2품종 총 261종류였다. 이들은 Sculthorpe (1967)의 생활형으로 분류한 결과 수생식물은 45종류로 그 중 정수식물이 27종류 (60%), 침수식물 8종류 (18%), 부수식물 6종류 (13%) 및 부엽식물 4종류 (9%)의 순이었고, 습생식물은 216종류였다. 교목과 관목층의 중요치는 선버들, 왕버들, 키버들 등의 순이었고, 초본층에서는 마름, 고마리, 달뿌리풀, 부들, 나도미꾸리낚시, 줄 등의 순이었다. 식생의 군총 분석 결과 7종으로 구성된 조하대 군총과 19종으로 구성된 진연안대 군총으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군집 분류에 의해 7개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나, 대응분석에 의한 식분 서열 분석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으며, PCA 분석 결과 이들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은 고도 경사, 즉 수심 및 조토의 입경이었다.

  • PDF

저밀도 폴리에틸렌 나노복합재료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Low Density Polyethylene/Organo-clay Nanocomposite)

  • 문성철;정효선;이재철;홍진후;최재곤;조병욱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52-6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용융법에 의한 저밀도폴리에틸렌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하였으며, 구조변화, organo-clay의 분산정도, 열적 특성 및 난연 특성을 조사하였다. LDPE/PE-g-MA/organo-clay의 조성비가 90/10/1~10 (w/w/w)일 때, XRD 분석 결과 clay 층간간격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TEM을 이용하여 organo-clay의 분산을 관찰하였는데, 대체적으로 organo-clay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며 잘 분산되어 있음을, 즉 삽입형(intercalation) 나노복합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DPE 나노복합재료의 분해온도가 순수한 LDPE에 비해 약 $80^{\circ}C$ 정도 상승함으로써 열적특성이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organo-clay 5.0 wt% 범위 내에서 organo-clay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LOI가 증가함을, 그 이상에서는 더 이상의 LOI 증가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동해안 울진원전의 온배수 방출이 주변 해조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ed Effluents on the Intertidal Macroalgal Community near Uljin, the East Coast of Korea)

  • 김영환;안중관;이재일;엄희문
    • ALGAE
    • /
    • 제19권3호
    • /
    • pp.257-270
    • /
    • 2004
  • In order to clarify the structure and seasonal dynamics of warm tolerant benthic marine algal community in Korea, the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marine algae at the discharge canal of Uljin nuclear power plant on the East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from February 1992 to October 2000. 107 species of marine algae were found at the discharge canal during the past nine years. In general, the number of species observed was abundant in spring or summer and less in autumn or winter. 27 species (4 blue-green, 5 green, 6 brown and 12 red algae) of marine algae occurred more than 1/ 6 frequency and thus can be categorized as warm tolerant species. Among these, one brown (Dictyota dichotoma) and four red algae (Gelidium amansii, Anphiroa ephedraea, Hydrolithon sargassi, Marginisporum crassissimum) are recorded as warm tolerant marine alga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Padina arborescens, Anphiroa zonata and Corallina pilulifera were common species found more than 75% frequency. Seasonal fluctuations of mean biomass were 0-1,330 g dry wt m^(-2) and dominant species in biomass were Corallina pilulifera (contribution to a total biomass proportion 34%), Anphiroa zonata (23%), Padina arborescens (18%) and Sargassum micracanthum (11%). The red algae appeared as predominant algal group at the discharge canal of Uljin nuclear power plant i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The green algae such as Enterornorpha compressa appeared rather frequently at the discharge canal, but the biomass proportion was very low, in contrast to Kori nuclear power plant where there was definite green algal dominance. Differences in algal communities developed at the discharge canals of Uljin and Kori nuclear power plant on the East Coast of Korea, particularly biomass proportions of green algae, can probably be related to loc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ater velocity through the canal and natural seawater temperatures.

남극 King George Islands, Marian Cove의 중형저서생물 군집 구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Meiofauna in Marian Cove,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 방현우;강성호;이원철
    • 환경생물
    • /
    • 제23권2호
    • /
    • pp.191-199
    • /
    • 2005
  • 남극 King George Island, Marian Cove에 서식하는 중형저서생물 군집구조, 수직분포 그리고 요각류 군집을 조사하기 위해 2002년 12월 Marian Cove내 5개 정점과 Nelson Island북동쪽연안 1개 정점에서 자유 낙하 중력 시추기를 이용하여 채집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중형저서생물은 11개 분류군이 발견되었으며, 출현한 중형 저서생물의 총 개체수는 $322\~1515 indiv.\;10cm^{-2}$범위로 평균 781indiv. $10cm^{-2}$로 나타났다. 선충류의 평균 개체수는 693indiv. $10cm^{-2}$로 전체 중형저서생물의 $88.7\%$를 차지하는 우점 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저서성 요각류가 53 indiv. $10cm^{-2}$$6.8\%$를 차지하며 그 뒤를 이어 우점하는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퇴적물 깊이에 따른 중 형저서생물의 수직분포를 보면 $70\%$ 이상의 개체가 표층 $0\~2cm$에 집중되어 나타났으며, 깊이 5cm 이하에서는 $5\%$이하의 낮은 분포를 보였다. 각 정점별 평균 총 생물량은 $41\~360{\mu}gC\;10cm^{-2}$범위로 평균 $205{\mu}gC\;10^{-2}$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분류군 역시 선충류로 전체 생물량의 $62.4\%$를 차지했다. SPSS를 이용한 상관계수 분석 결과 온도가 중형저서생물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분도와 유기 물 총량은 중형저서생물 군집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CA를 이용한 퇴적물 입자와 각 분류군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다모류, 빈모류 그리고 쿠마류는 실트 및 점토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요각류와 부등각류, 이매패류는 모래, 유공충류는 잔자갈 그리고 동문동물류와 패충류는 중자갈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선충류의 경우 각 입자와 상관관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환경오염을 모니터링 하는데 가장 유용한 분류군인 요각류는 모두 9개과 19개 속 19개종이 출현했으며, 가장 다양한 분류군이 나타난 정점 B에서 7개과 13개 속 13개종이 출현하였다.

마이크로파 공진자용$Ba_{1-x}A_x(Mg_{1/3}Nb_{2/3})O_3$(A = Sr, Ca)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Ba_{1-x}A_x(Mg_{1/3}Nb_{2/3})O_3$(A=Sr, Ca) Ceramics for Microwave Resonator)

  • 김부근;김재윤;김강언;정수태;조상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78-484
    • /
    • 2000
  • The structural changes and the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Ba_{1-x}$/A$_{x}$/(Mg$_{1}$3//Nb$_{2}$3/)O$_3$(A=Sr, Ca=x0, 0.2, 0.4, 0.6, 0.8, 1.0) were investigated. The densities of samples are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x(BMN=6.1, SMN=5.22 and CMN=4.26 g/m$^3$)The crystal structure of BMN was untilting of oxygen octahedral. The structural changes of BSMN showed the antiphase tilting at x>0.4, and those of BCMN showed the antiphase tilting at 0.20.8. The variation of dielectric constant with Sr was small(BMN=32, SMN=30) However the variation with Ca was large the highest value was 42 at Ca=0.2(CMN=25) The maximum quality factor was 68,000 GHz at Sr=0.2 and the minimum quality factor was 3,000 GHz at Ca=0.2 (BMN=35,000, SMN=20,000 and CMN=23,000 GHz) The temperature coefficients of resonant frequency of BSMN were about 2 times larger than those of BCMN in all composition.ion.

  • PDF

An Antifungal Antibiotic Purified from Bacillus megaterium KL39, a Biocontrol Agent of Red-Pepper Phytophthora-Blight Disease

  • JUNG HEE KYOUNG;KIM SANG-DA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1001-1010
    • /
    • 2005
  • Bacillus megaterium KL39, an antibiotic-produc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PGPR), was selected from soil. The antifungal antibiotic, denoted KL39, was purified from culture filtrate by column chromatography using Dion HP-20, Silica gel, Sephadex LH-20, and prep-HPLC. Thin layer chromatography, employing the solvent system of ethanol:ammonia:water=8:1:1, showed the $R_{f}$. value of 0.32. The antibiotic KL39 showed a negative reaction with ninhydrin solution, positive with iodine vapor, and also positive with Ehrlich reagent. It was soluble in methanol, ethanol, butanol, and acetonitrile, but insoluble in chloroform, toluene, hexane, ethyl ether, or acetone. Its UV spectrum had the maximum absorption at 208 nm. Amino acid composition, FAB-mass, $^{1}H-NMR,\;^{13}C-NMR$, and atomic analyses showed that the antibiotic KL39 (MW=1,071) has a structure very similar to iturin E. The antibiotic KL39 has a broad antifungal spectrum against a variety of plant pathogenic fungi including Rhizoctonia solani, Pyricularia oryzae, Monilinia froeticola, Botrytis cinenea, Altenaria kikuchiana, Fusarium oxysporum, and F. solani. An MIC value of $10\;{\mu}g/ml$ was determined for Phytophthora capsici. Macromolecular incorporation studies with P. capsici using radioactive [$^{3}H-adenine$] as the precursor, indicated that the antibiotic KL39 strongly inhibits the DNA biosynthesis of the fungal cell.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antifungal action showed abnormal hyphal swelling of P. capsici. The purified antibiotic KL39 was very effective for the biocontrol of in vivo Phytophthora-blight disease of pepper.

Study on the $N_2$ Plasma Treatment of Nanostructured $TiO_2$ Fil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

  • Jo, Seul-Ki;Roh, Ji-Hyung;Lee, Kyung-Joo;Song, Sang-Woo;Park, Jae-Ho;Shin, Ju-Hong;Yer, In-Hyung;Park, On-Jeon;Moon, Byung-Moo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337-337
    • /
    • 2012
  • Dye sensitized solar cell (DSSC) having high efficiency with low cost was first reported by Gr$\ddot{a}$tzel et al. Many DSSC research groups attempt to enhanc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by modifying the dye, electrolyte, Pt-coated electrode, and $TiO_2$ films.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against realization of high-sensitivity DSSC such as the recombination of injected electrons in conduction band and the limited adsorption of dye on $TiO_2$ surface. The surface of $TiO_2$ is very important for improving hydrophilic property and dye adsorption on its surface. In this paper, we report a very efficient metho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DSSC with nano-structured $TiO_2$. Atmospheric plasma system was utilized for nitrogen plasma treatment on nano-structured $TiO_2$ film. We confirmed that the efficiency of DSSC was significantly dependent on plasma power. Relative in the $TiO_2$ surface change and characteristics after plasma was investigated by various analysis methods. The structure of $TiO_2$ films was examined by X-ray diffraction (XRD). The morphology of $TiO_2$ films was observed us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The surface elemental composition was determined using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Each of plasma power differently affected conversion efficiency of DSSC with plasma-treated $TiO_2$ compared to untreated DSSC under AM 1.5 G spectral illumination of $100mWcm^{-2}$.

  • PDF

금오산(金烏山)의 산화지(山火地)에서 벌목지(伐木地)와 비벌목지(非伐木地)의 식물(植物) 군집구조(群集構造) 비교(比較) (Comparison of Plant Community Structures in Cut and Uncut Areas at Burned Area of Mt. Gumo-san)

  • 제상훈;김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509-520
    • /
    • 1997
  • 1994년 4월에 산불이 일어나서, 소나무림과 임상식생이 완전히 전소된 경북 김천시 부상면 금오산(976m)의 일부 지점으로 사면방위가 S10W로, 산불이 발생한 지역을 벌목지와 비벌목지로 구분, 인접한 소나무림을 대조구로 선정하여, 산불이 일어난 후 1년째인 1995년 4월부터 1996년 10월에 걸쳐 식생구조, 종다양성지수, 우점도지수, 균등성지수, 천이도 및 토양의 이화학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에 출현한 식물은 벌목지가 32종, 비벌목지가 36종, 비산화자가 34종으로 나타났으며, 출현된 식물의 생활형은 벌목지 $H(G)-D_1-R_5-e$ 비벌목지가 $H(M)-D_1-R_5-e$, 비산화지가 $M(N)-D_1-R_5-e$ 형으로 나타났다. 적산우점도는 산화지, 비산화지의 출현한 식물의 층상구조로 볼 때, 산화지 중 벌목지는 초본층만 출현하여, 억새(100.00), 산거울(52.27), 졸참나무(51.19), 큰까치수영(39.40)순이었고, 비벌목지의 교목층은 상수리나무(56.91), 소나무(26.83), 관목층은 졸참나무(50.43), 감태나무(40.51), 싸리(37.85), 초본층은 억새(72.27), 고사리(69.02), 산거울(63.63)순이고, 비산화지의 경우 교목층은 소나무(99.88), 감태나무(21.07), 관목층은 졸참나무(77.47), 소나무(60.03), 청미래덩굴(56.19), 초본층은 억새(82.74), 산거울(74.02), 졸참나무(49.43)순으로 나다났다. 종다양성지수는 벌목지 1.05, 비벌목지 1.32, 비산화지 0.22, 균등성지수는 벌목지 0.70, 비벌목지 0.85, 비산화시 0.63이며, 우점도지수는 벌목지 0.15, 비벌목지 0.06, 비산화지 0.96, 천이도는 벌목지 345.19, 비벌목지 747.47, 비산화지 674.34, 각 지소별 유사도지수는 벌목지와 비벌목지간 0.66, 비산화지와 벌목지간은 0.50, 비산화지와 비벌목지간은 0.61이었다. 토양성분은 pH, 치환성양이온인 $Ca^{2+}$, $Mg^{2+}$, $Na^{2+}$, $NH{_4}^+$-N, $NO{_3}^-$-N은 벌목지가 비벌목지 보다 높게 나타냈으며,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총질소함량, 총탄소함량, 치환성양이온인 $K^+$는 비벌목지가 벌목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산화지의 관리에 있어서 무조건 벌목보다는 산화지의 식생회복과 재생의 정도를 고려한 선택적인 벌목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생각된다.

  • PDF

금강 수계 지천의 어류군집 구조 및 멸종위기종 미호종개 Cobitis choii와 흰수마자 Gobiobotia naktongensis의 서식현황 (Community Structure of Fish and Inhabiting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Cobitis choii and Gobiobotia naktongensis in the Ji Stream, a Tributary of the Geum River Drainage System of Korea)

  • 고명훈;문신주;이상준;방인철
    • 생태와환경
    • /
    • 제45권4호
    • /
    • pp.356-367
    • /
    • 2012
  • 본 연구는 금강 지류인 충남 청양군 지천의 어류군집 및 멸종위기종 미호종개와 흰수마자의 서식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천 상류(St. 1~St. 4)는 하천형이 Aa-Bb형 또는 Bb형이고 하상구조는 자갈과 돌의 비율이 높았으며 10~23종의 어류가 서식하였고, 중류(St. 5~St. 7)는 하천형이 Bb형이고 하상구조는 돌과 큰돌의 비율이 높았으며 16~23종의 어류가 서식하였으며, 하류(St. 8~St. 10)는 하천형이 Bb-Bc형이고 하상구조는 모래의 비율이 높았으며 20~29종의 어류가 서식하였다. 전체 출현한 어종은 모두 9과 44종이었고,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37.2%), 아우점종은 돌고기 Pungtungia herzi (5.8%)와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s (5.5%)였으며, 그 다음으로 납자루 Acheilognathus lanceolatus (5.3%)와 참갈겨니 Z. koreanus (5.2%), 참마자 Hemibarbus longirostris (4.9%),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 (3.5%)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중 고유종은 16종(36.4%)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멸종위기종은 미호종개와 흰수마자 2종이, 외래어종은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1종이 출현하였다. 지점들 간의 군집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상류(St. 1~St. 4)와 중류(St. 5~St. 7), 하류(St. 8~St. 10)로 나누어지고, 우점도는 하류로 갈수록 대체로 낮아지는 반면, 다양도와 균등도, 종풍부도 하류로 갈수록 대체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류에서 출현한 멸종위기종 미호종개와 흰수마자의 서식현황을 정밀조사한 결과, 두 종 모두 하상이 모래인 곳에 집단을 형성하여 서식하고 있어 주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