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19

검색결과 7,259건 처리시간 0.031초

맥전세대 애멸구에 대한 몇가지 침수성 살충제의 방제효과 (Control effects of some systemic insecticides to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on barley)

  • 현재선;이강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0
    • /
    • 1980
  • 침투성 살충제 $Disyston^{(R)}$ (disulfoton) 5G, $Temik^{(R)}$ (aldicarb) 15G, $Ortran^{(R)}$ (acephate) 5G, $Curaterr^{(R)}$ (carbofuran) 3G 4종의 살충제를 공시약량을 달리하여 춘파대맥에 4월 19일과 25일에 각각 일회 파구처리하여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에 대한 살충효과를 실내와 포장에서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월 25일에 파구처리한 다음 처리후 19일(5월 14일), 31일(5월 26일), 44일(6월 8일)에 대맥경을 절취하여 시험관에 넣고 각종 충태(자웅성충, 약충-영기별)의 애멸구를 접종한바 살충제의 종류, 약량, 충태에 따라 살충율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종합적으로 볼때 살충효과가 가장 우수한 살충제는 Temik이었고 다음은 Disyston 이었으며 Ortran과 Curaterr는 살충효과가 현저히 낮었다. Temik의 잔효력은 10a당 4kg 수준에서 31일정도이었으며 Disyston(충태, 약충의 일령에 따라 살충력에 차이는 있었으나)은 10a당 4kg 처리서 19일 정도이었다. 2. 야외 접종시험에 의한 성충의 살충율은 Disyston과 Temik 처리구에서 높였으며 Disyston의 잔효력은 4월 19일 처리구가 4월 25일 처리구에 비하여 길었으나 Temik 처리에 있어서는 반대로 4월 25일 처리에서 길었다. 그리고 Disyston에 비하여 Temik의 잔효력이 현저히 길었다. 3. Disyston은 2kg/10a 이상의 약량에서 약 26일 정도의 잔효력을 기대할 수 있었으며 Temik는 1kg/10a 정도의 약량에서도 40일 이상의 잔효력을 기대할 수 있었다. 4. 이상의 결과로 보아 Disyston 5G와 Temik 15G의 맥류처리(4월중)로서 본답에서 피해원이되는 애멸구의 집단을 맥전에서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Protein G와 NHS를 이용하여 고정한 anti-IgG의 검출 성능 비교 (A comparison of detection capabilities of anti-IgG immobilizedby protein G and NHS)

  • 신은정;손영호;손영수
    • 센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2-148
    • /
    • 2010
  • We have compared and investigated the detection capabilities of antibody of immunoglobulin G(anti-IgG) immobilized by protein G and N-hydroxysuccinimide(NHS) at the end of the self-assembled monolayer(SAM). Surface plasmon resonance(SPR) sensor has been utilized to measure the interaction between biomolecules. After formation of the protein G and SAM, anti-IgG, bovine serum albumin(BSA) and IgG has been sequently injected. Through the reponse of the SPR, we can conclude that the protein G immobilized anti-IgG better than the SAM. In addition, IgG detection capability of the anti-IgG immobilized by the protein G showed better performance compared with that immobilized by the SAM.

약초 추출액을 사용하여 제조한 감주의 젖산발효 (Lactic Acid Fermentation of Gamju Manufactured Using Medicinal Herb Decoction)

  • 조계만;안병용;서원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49-655
    • /
    • 2008
  • 한방발효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한방감주의 젖산발효를 유도하였다. 이를 위해 각종 시료로부터 다양한 젖산균을 순수 분리하여 발효적성을 검토한 결과 최적균주로서 LAB19 균주를 선별하였다. LAB19 균주는 곶감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생리 화학적 특성 및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다. 한방감주에 종배양한 LAB19 균주를 2.5%(v/v) 접종하고 $25^{\circ}C$에서 60시간 발효시켰을 때, 한방감주는 141.3 g/L의 환원당과 5.33 g/L의 유기산, 그리고 1.19 g/L의 가용성 페놀을 함유하고 있었다. 당과 유기산 구성을 살펴보면 당의 약 90%는 맥아당이었으며, 유기산의 58%는 젖산이었다. 수용성 phenolics 성분 등에 기인하는 라디칼 소거 활성은 L-ascorbic acid의 92.4% 보다 낮은 76.6-75.7% 범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육상수조에서 계대사육한 시마연어, Oncorhynchus masou (Brevoort)의 종묘생산 (Seed Production from Pond Cultured Cherry Salmon, Oncorhynchus masou (Brevoort))

  • 성기백;김경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18
    • /
    • 2007
  • 계대사육한 시마연어(Oncorhynchus masou)의 인공종묘생산시험에 관해 조사하였다. 1997년산과 1998년산 시마연어의 발안율은 각각 76.7%, 66.3%이고, 부화율은 24.3%, 20.2%였고, 부상율은 12.8%, 10.4%였다. 치어는 부화 후 22개월 만에 가랑이체장과 체중이 각각 27.4 cm, 체중 249.6 g, 28.1 cm, 체중 288.2 g으로 성장하였으며, 생존율은 21.2, 48.6%였다. 1997년산, 1998년산, 산천어의 상대성장식은 각각 $BW=0.0088FL^{3.0893}$, $BW=0.0076FL^{3.1248}$, $BW=0.0093FL^{3.0652}$로 나타났다. $0^+$어의 암수별 평균 가랑이체장과 체중을 보면, 체장은 각각 $9.32{\pm}1.19\;cm$, $9.07{\pm}1.02\;cm$이었고, 체중은 각각 $9.36{\pm}3.50\;g$, $8.57{\pm}3.04\;g$으로 나타났고 성비는 암컷이 34%를 차지하였다. $1^+$어의 smolt 된 암수의 평균 가랑이체장은 각각 $19.85{\pm}1.14\;cm$, $19.95{\pm}2.62\;cm$이고, 평균체중은 각각 $84.09{\pm}18.1\;g$, $86.33{\pm}41.2\;g$으로 나타났으며 성비는 암컷이 91.3%를 차지한 반면, parr의 암수 평균 가랑이체장은 각각 $19.60{\pm}3.79\;cm$, $19.81{\pm}2.74\;cm$, 평균 체중은 각각 $101.88{\pm}60.9\;g$, $98.38{\pm}39.6\;g$으로 나타났고, 성비는 암컷이 21.3%를 차지하였다. 생식선 숙도 지수는 10월에 최대값인 10.99를 나타냈으며, 수컷은 9월에 6.56으로 최대값을 나타내 암수의 성숙 시기가 달랐다.

Aflatoxin B1 Promotes Cell Growth and Invas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through H19 and E2F1

  • Lv, Jun;Yu, Ya-Qun;Li, Shu-Qun;Luo, Liang;Wang, Qi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565-2570
    • /
    • 2014
  • H19 is an imprinted oncofetal gene, and loss of imprinting at the H19 locus results in over-expression of H19 in cancers. Aflatoxin B1(AFB1)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dangerous carcinogens. Exposure to AFB1 would most easily increase susceptibility to diseases such as hepatocellular carcinoma(HCC) but any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AFB1 and H19 is not clear. In present study, we found that AFB1 could up-regulate the expression of H19 and promote cell growth and invasion by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Knocking down H19 RNA co ld reverse the effects of AFB1 on cell growth and invasion. In addition, AFB1 induced the expression of E2F1 and its knock-down could down-regulate H19 expression and suppress cell growth and invas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Furthermore, E2F1 over-expression could up-regulate H19 expression and promote cell growth and invasion, with binding to the H19 promoter being demonstrated by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assays (ChIP). In summary, our results suggested that aflatoxin B1could promote cell growth and invas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through actions on H19 and E2F1.

부산지역 산업장 근로자들의 식염 섭취량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Salt Intake Amounts of Manufacturing Workers in Pusan Area)

  • 김돈균;이수일;정갑열;이충렬;이용환;소동진
    • 산업보건소식
    • /
    • 제47호
    • /
    • pp.4-14
    • /
    • 1987
  • The authors investigated estimated amounts of salt intake of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who consisted of 1,506 males in 6 manufacturing fields and 476 females in 3 fields in Pusan area using filter paper method which was developed recently.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excretion amounts of urinary electrolytes were Na 200.7 mEq/l, K 44.2 mEq/l and Cr 1.12g/l in male and Na 190.2 mEq/l, K 44.0 mEq/l and Cr 1.10g/1 in female. 2. Mean daily salt intake amounts were 19.4g in male and l5.3g in female. 3. By the field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in male, workers in metal product field had the highest salt intake as 20.0g, and the following were workers in food and tobacco field as 19.7g, workers in textile, wearing apparel and leather field as 19.6g in order. 4. In female, workers in textile, wearing apparel and leather field had the highest salt intake as l5.7g and the next were workers in chemical, coal and rubber products field as l5.0g and workers in fabricated metal products, machinery and equipments as l4.3g, respectively.

  • PDF

흡유제인 생분해석 Poly(2-ethylhexylacrylate)의 제조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Poly(2-ethylhexylacrylate) as Oil Sorbers)

  • 유수용;이동환;감상규;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7-103
    • /
    • 2010
  • The biodegradable oil absorption resin was prepared by 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the modified starch and 2-ethylhexyl acrylate (2-EHA). The highest oil-absorption capacity of B-PEHA prepared showed at the condition of the modified starch content of 10 g and 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EGDMA) of 0.133 wt%. Its maximum oil absorption capacity per g of oil absorber was chloroform 30.88 g, toluene 19.75 g, xylene 18.78 g, tetrahydofuran (THF) 15.96 g, octane 11.43 g, hexane 9.5 g diesel oil 12.80 g, and kerosene 13.79 g, respectively. The biodegradation of poly-2-ethylhexylacrylate (B-PEHA) determined by enzymatic hydrolysis showed approximately 17~2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biodegradable oil absorption resin is available using the modified starch.

Label/Quencher-Free Detection of Exon Deletion Mutation i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Gene Using G-Quadruplex-Inducing DNA Probe

  • Kim, Hyo Ryoung;Lee, Il Joon;Kim, Dong-E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72-76
    • /
    • 2017
  • Detection of exon 19 deletion mutation in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gene, which results in increased and sustained phosphorylation of EGFR, is importan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guideline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Here, we have developed a simple and convenient detection system using the interaction between G-quadruplex and fluorophore thioflavin T (ThT) for discriminating EGFR exon 19 deletion mutant DNA from wild type without a label and quencher. In the presence of exon 19 deletion mutant DNA, the probe DNAs annealed to the target sequences were transformed into G-quadruplex structure. Subsequent intercalation of ThT into the G-quadruplex resulted in a light-up fluorescence signal, which reflects the amount of mutant DNA. Due to stark differences in fluorescence intensity between mutant and wild-type DNA, we suggest that the induced G-quadruplex structure in the probe DNA can report the presence of cancer-causing deletion mutant DNAs with high sensitivity.

알로에 겔상 식품의 제조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Aloe Gel-State Food)

  • 이기동;김숙경;권도영;박상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9-95
    • /
    • 2003
  • 4차원 반응표면에 의한 알로에 겔상 식품의 관능적 및 물리적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다. 겔상 식품의 색상에 대한 관능점수는 알로에즙의 함량 87.38 mL, 카라기난의 함량 0.19 g 및 곤약의 함량 0.16 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겔상 식품의 향에대한 관능점수는 알로에즙의 함량 83.84 mL, 카라기난의 함량 0.20 g 및 곤약의 함량 0.17 g에서, 맛에 대한 관능점수는 알로에 즙의 함량 83.20 mL, 카라기난의 함량 0.27 g 및 곤약의 함량 0.15 g에서, 조직감에 대한 관능점 수는 알로에즙의 함량 98.95 mL, 카라기난의 함량0.23 g및 곤약의 함량0.10 g에서 가장높게 나타났다. 겔상 식품이 입안에서 느껴지는 물성을 기계적으로 측정한 결과 씹힘성은 알로에즙의 함량 113.05 mL, 카라기난의 함량 0.21 g 및 곤약의 함량 0.27 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알로에 겔상 식품 제조의 최적 조건인 전반적인 기호도는 알로에즙의 함량 88.23 mL, 카라기난의 함량 0.19 g 및 곤약의 함량 0.15 g으로 나타났다.

Mortierella alpina를 이용한 아라키돈산의 생산에서 유기질소원의 선정과 배양 조건의 최적화 (Selection of organic Nitrogen Source and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rachidonic Acid from Mortierella alpina)

  • 유연우;하석진;박장서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78-82
    • /
    • 2004
  • 곰팡이인 Mortierella alpina DSA-12를 이용한 arachidonic acid의 생산을 위한 유기질소원의 선정과 배양 조건의 결정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Corn steep powder (CSP)를 원료의 가격과 arachidonic acid의 생산을 기준으로 유기질소원으로 선정하였다. 탄소원으로 glucose와 질소원으로 CSP를 사용한 경우에 최적의 C/N ratio는 15-17 범위이다. Arachidonic acid의 생산을 위한 최적의 배양조건은 $25^{\circ}C$에서 500 rpm의 교반과 0.5 vvm의 통기이며, 이 때 50 g/L의 glucose와 18 g/L의 CSP로부터 21.8 g/L의 균사체량에 10.2 g/L의 총 지질을 얻을 수 있었으며, arachidonic acid의 농도는 3.70 g/L이었다. 500 L의 발효조에서 0.5 vvm과 200 rpm의 교반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19.8 g/L의 균사체량과 9.1 g/L의 총 지질 및 3.67 g/L의 arachidonic acid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bench-scale의 발효조에서도 질소원으로 CSP를 이용하여 arachidonic acid의 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