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K 활성

검색결과 5,720건 처리시간 0.032초

품종 및 재배시기에 따른 조와 기장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ifferent Varieties of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according to Cultivation Time)

  • 우관식;이재생;고지연;송석보;서혜인;서명철;오병근;곽도연;남민희;오인석;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02-309
    • /
    • 2012
  • 조와 기장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재배시기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재배시기를 달리하여 수확된 시료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재배시기에 따른 조와 기장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탄닌 등의 항산화성분의 함량과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품종 및 재배시기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황금조, 청차조, 삼다메 및 경관1호의 경우 만기재배에서, 경관2호는 보통기재배에서, 강해조는 조기와 만기재배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고 기장의 경우 전체적으로 만기재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황금조와 경관2호는 보통기재배에서, 청차조, 삼다메 및 경관1호는 조기재배에서, 강해조는 만기재배에 높은 함량을 보였고 기장은 만기재배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탄닌 함량은 황금조는 조기재배에서, 청차조, 삼다메 및 강해조는 만기재배에서, 경관2호는 보통기재배에 높은 함량을 보였고 기장은 만기재배에서 조기나 보통기재배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조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황금조, 삼다메 및 강해조는 만기재배에서, 청차조와 경관2호는 보통기재배에서, 경관1호는 조기재배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기장은 전체적으로 만기재배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황금조, 경관1호 및 강해조는 만기재배에서, 청차조, 삼다메 및 경관2호는 보통기재배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기장은 만기재배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항산화성분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한 결과에서 조의 경우 조기재배보다는 보통기 내지 만기재배가 유리할 것으로 보이며, 기장은 만기재배가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출생전후 및 성별로 본 쥐의 간세포에서의 G-6-PD 활성 (Sex Differences in th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of the Rat Livers at Various Stages of Development)

  • Hahn, Sahsook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22
    • /
    • 1974
  • Pentose phosphate shunt의 첫 작용때 나타나는 효소 glucose-6-phosphate dehydorgenase의 활성을 출생전 및 출생후 연령에 따라서 쥐(white rat)의 간세포를 암수 성별로 spectrophotometer를 써서 측정하였다. 이 활성이 16일 된 배에서 가장 높았고 (54 I.U.), 그때부터 출생후 13일 까지 조금씩 저하되지만 (17 I.U.), 다시 서서히 증가해서 19일에는 53 I.U.까지 높아졌다. 성별로 본 결과는 일반적으로 수컷보다 암컷에서 G-6-PD의 활성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 PDF

광양만 퇴적물에서의 에스트로겐 활성분포 특성 (Distributive Characterization of Estrogenic Activity in Sediments from Gwangyang Bay, Korea)

  • 한상국;박지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6-92
    • /
    • 2007
  • 본 연구는 E-screen assay를 이용해서 광양만 연안해역 퇴적물의 에스트로겐 활성분포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화학분석 결과와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가장 높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인 지점은 산업단지와 섬진강 유입구에 인접한 G6, G8 이었다. E-screen assay로 얻어진 이러한 결과는 다성분 동시분석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특히 GY6, GY8 지점의 RPE는 90% 이상으로 강한 에스트로겐 작용을 나타내어 full agonist 지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지점은 EEQ가 각각 35.6 ng/g, 14.6 ng/g로 타 지점에 비해 낮아 에스트로겐 활성 효능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산업단지와 섬진강 유역에 인접한 지점들을 광양만 연안 해역의 내분비계 교란 물질의 유입원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에스트로겐 활성도와 화학오염물질과의 비교결과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icinine의 합성법 및 살충활성 (Synthetic method and insecticidal activity of ricinine)

  • 권오경;임수길;최달순;경석헌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23
    • /
    • 1998
  • 유기합성을 통한 천연물기원 신농약 선도물질을 얻기 위해 피마자잎으로부터 동정된 활성물질 ricinine의 합성방법을 설정한 후 살충활성을 조사하였다. Ricinine은 4단계과정의 cyanoacetic acid 중합반응과 malono nitrile의 단순고리화 반응 2가지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합성 수율은 중합반응보다 단순고리화 반응에서 높은 수율을 나타냈다. 합성된 ricinine및 중간생성물의 살충활성 조사결과 1,000 ${\mu}g/ml$ 농도수준에서 ricinine은 벼멸구와 콩바구미에 대해 각각 80%, 75%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점박이응애의 경우 분자구조내에 chloride 기가 존재하는 chloronorricinine과 chlororicinic acid가 500 ${\mu}g/ml$ 수준에서 60%의 살충효과를 보여주었으며, 10 ${\mu}g/ml$ 수준에서 빨간집모기 유충에 대한 활성은 chlororicinine이 44%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 PDF

자귀나무(A. julibrissin) 수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rk Extract of Albizia julibrissin)

  • 이양숙;김광곤;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9-86
    • /
    • 2011
  •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자귀나무 수피를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식품이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귀나무 수피를 물을 용매로 $80^{\circ}C$$110^{\circ}C$의 고온에서 추출된 물 추출물(AW)과 열수 추출물(AHW) 그리고 70% 에탄올을 용매로 $60^{\circ}C$에서 추출된 에탄올 추출물(AE)에 대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과 효과를 측정하였다. 자귀나무 수피의 열수 추출물인 AHW에서 가장 많은 8.57 mg/g의 플라보노이드와 108.67mg/g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1.0 mg/mL의 농도에서 10.46~16.73%였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에서 49.86~60.82%로 AHW에서 가장 높은 소거효과를 보였으며 $IC_{50}$$770.18\;{\mu}g$/mL였다.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에서는 0.3 mg/mL의 농도에서 AHW가 92.30%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였으나, $IC_{50}$은 AW($31.31\;{\mu}g$/mL)와 AHW($36.22\;{\mu}g$/mL)가 ascorbic acid ($39.10\;{\mu}g$/mL)보다 낮은 농도에서 50%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XO에 대한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AHW가 94.05%의 저해율와 127.78 ug/mL의 $IC_{50}$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합환피 한약재명으로 사용되고 자귀나무 수피는 물을 용매로 $110^{\circ}C$에서 추출된 열수 추출물(AHW)이 세가지 추출물 중 가장 많은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며, 생리활성 효과에서도 우수하며 특히 전자공여능은 낮은 농도에서도 ascorbic acid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자귀나무 수피는 천연 생리활성 물질로서 식품과 기능성 제품에 활용 가능성이 있는 약용식물자원으로 생각된다.

섬유아세포(CCD-986sk)에서 청미래덩굴의 pro-collagen type-1 활성 및 MMP-1의 유전자 발현 저해능 (Inhibitory Efficacy of Smilax china L. on Pro-collagen Type-1 Activity and MMP-1 Gene Expression in Fibroblasts (CCD-986sk))

  • 이수연;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0호
    • /
    • pp.1239-1245
    • /
    • 2013
  •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이 $1,000{\mu}g/ml$에서 각각 41.1%, 16.3%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이 $1,000{\mu}g/ml$에서 각각 96.6%, 60.0%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청미래덩굴의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CCD-986sk)로 MTT assay에 의해 확인한 결과 $50{\mu}g/ml$ 농도에서 71.7%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섬유아 세포에서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pro-collagen type-1 생합성량을 확인한 결과 $50{\mu}g/ml$의 농도에서 139% 이상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MP-1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50{\mu}g/ml$의 각각의 농도에서 74.9%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섬유아 세포에서 MMP family 중 MMP-1의 단백질 발현 및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MMP-1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 모두 $50{\mu}g/ml$에서 각각 35%, 45%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청미래덩굴 에탄올 추출물이 주름개선용 화장품 소재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사시나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성분분석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Populus Tomentiglandulosa Extract)

  • 최선일;황석준;이옥환;김종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9-12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현사시나무 추출물에 대한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유리당,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HPLC을 이용하여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으며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통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일반 성분 분석결과, 탄수화물, 수분, 조단백질, 회분, 조지방은 각각 88.6, 5.11, 2.5, 2.3, 1.5%로 확인되었다. 무기질 분석결과, Ca (77.5 mg/100 g), Mg (85.0 mg/100 g), Na (23.4 mg/100 g), K (907.5 mg/100 g), P (93.8 mg/100 g), Fe (1.4 mg/100 g), Zn (2.6 mg/100 g), Cu (0.6 mg/100 g), Mn (2.9 mg/100 g)을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의 경우, vitamin C (6.1 mg/100 g), vitamin B2 (0.3 mg/100 g), vitamin B6 (0.01 mg/100 g), nicotinic acid (3.1 mg/100 g)가 확인되었다. 유리당 조성은 glucose 1.6%, fructose 2.2%였고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15.4±0.85 mg GAE/g, 20.9±1.14 mg QE/g으로 나타났다. HPLC 분석결과 catechin (9.1±0.27 mg/g), caffeic acid (4.1±0.57 mg/g), p-coumaric acid (2.1±0.47 mg/g), chlorogenic acid (1.6±0.86 mg/g), gallic acid (1.4±0.35 mg/g)가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현사시나무 추출물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고 이는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성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 사시나무 추출물의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주요 페놀성 화합물 및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였지만 향후 현사시나무 추출물이 식품소재 또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의 바이오마커 평가 및 작용기전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삼채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탐색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llium hookeri)

  • 이연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95-301
    • /
    • 2015
  • 삼채뿌리와 잎이 가진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다양한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삼채뿌리의 조사포닌,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28 mg/g, 18.27 mg/g, 0.95 mg/g, 삼채잎의 조사포닌,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17mg/g, 35.91 mg/g, 2.79 mg/g으로 나타났다. 삼채뿌리 및 잎 부위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IC_{50}$으로 23.01 mg/mL, 4.82 mg/mL로 나타났으며, hydroxyl radical 소거능 $IC_{50}$ 값이 각각 40.82 mg/mL, 27.24 mg/mL를 나타났다. ${\alpha}$-Amylase 저해 활성은 삼채뿌리 및 잎 부위 에탄올 추출물 10 mg/mL를 처리했을 때 억제활성이 각각 61.38%, 61.01%로 나타났다. 삼채뿌리 및 잎 부위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삼채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 역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삼채뿌리보다는 삼채잎 부위에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이 나타났으며, 삼채잎을 활용한 식품 소재로써 개발할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팔손이 용매별 추출물의 항암 및 면역 활성 탐색 (Screening of Anticancer and Immune Activities by the Extracts of Fatsia japonica Decne. et Planch.)

  • 김대호;김정화;유진현;김철희;권민철;이학주;황백;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87-92
    • /
    • 2005
  • 국내에서 자생하는 팔손이 나무의 각 부위를 이용하여 에탄올과 물 용매를 이용하여 각각 $65^{\circ}C$$65^{\circ}C$로 12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으며 부위에 따른 항암 및 면역 활성의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 부위에 따른 항암 활성 증진 효과 실험 중 근피와 에탄올 용매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면역세포의 생육활성 측정결과에서는 근피 부위가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어 다른 부위에 비해 $40{\sim}60%$ 정도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두릅나무과 수종들의 특징인 근피의 특이 활성을 나타내는 예인데 이에 반해 목부의 활성을 살펴보면 농도의 증가에 따라 활성도가 증가하기는 하지만 저농도의 시료에서는 100% 미만의 활성도를 나타냄으로서 면역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세포의 활성과 관련하여 Cytokine의 분비량과의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는데 면역세포의 생육활성이 가장 높은 때에 IL-6와 $TNF-{\alpha}$의 Cytokine의 분비량이 최대치인 $110{\sim}120$ $pg/m{\ell}$를 나타내었다. 이로서 앞선 결과들에 따라 팔손이 나무의 부위별 항암 및 면역 활성 실험에서 다른 두릅나무들과 수종들과 같이 근피의 높은 활성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가장 활성이 좋은 근피는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는 목부의 추출물과 비교하여 최대 40% 이상의 높은 활성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로서 근피의 추출물이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은 두릅나무과 수종들의 대표적인 특징 성분인 사포닌이 다른 부위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지며 이는 후에 분획 및 물질 분석 실험을 통하여 확인되어져야 할 사항으로 사료되어진다.

국내산과 중국산 자화지정(Viola mandshurica)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and Chinese Viola mandshurica Extracts)

  • 최복동;박창수;주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101-1108
    • /
    • 2008
  • 국내에서 채집된 자화지정(V. mandshurica)의 잎과 뿌리 그리고 한방생약재로 유통, 판매되고 있는 중국산 자화지정의 생리활성을 측정 비교하였다. 중국산 자화지정의 물 추출물의 수율이 30.45 g/100 g으로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102.30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다.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중국산 자화지정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136.16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자공여능은 국내에서 채집된 자회지정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92.69%와 93.61%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국내산 잎의 에탄올 추출물이 17.28%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중국산 잎 추출물이 pH 1.2와 pH 3.0의 조건에서 50% 이상의 소거율을 보였으며, xanthine oxidase 저해율은 국내산과 중국산 모두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98.67%와 93.80%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중국산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45.04%와 31.36%로 국내산 자화지정 잎과 뿌리보다 tyrosinase 저해율이 매우 높았다. 이상의 결과 추출물의 수율,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 및 아질산염 소거능 그리고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중국산 자화지정이 국내산 자화지정보다 높은 함량과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능 그리고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는 국내산이 중국산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자화지정의 뿌리 추출물은 국내산과 중국산의 자화지정 잎추출물보다 낮은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생리활성 결과는 자화지정이 훌륭한 기능성식품 소재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