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sarium 진균독소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옥수수에서의 Fusarium 진균독소오염 (Contamination of Fusarium Mycotoxins in Corn Samples Imported from China)

  • 강효중;김진철;서정아;이인원;손동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5호
    • /
    • pp.385-391
    • /
    • 1994
  •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68개의 옥수수시료에서 Fusarium진균독소의 오염을 조사하였다. 수입옥수수에서 eoxynivalenol(DON), 15-acetyldeoxynivalenol(15-ADON), 3-acetyldeoxynivalenol(3-ADON) 및 nivalenol(NIV) 등 4가지의 8-ketotrichothecene이 검출되었다. 또한 zearalenone(ZEA), fumonisin $B_1(FB_1)$, fumonisin $B_2(FB_2)$ 그리고 fumonisin $B_3(FB_3)$도 검출되었다. DON, 15-ADON, 3-ADON, ZEA 그리고 $FB_1$이 주요 오염독소였으며, 이들 독소의 평균오염농도는 각각 277, 34, 37, 39, 그리고 123 ng/g이었다.

  • PDF

수확후 채소류에 발생하는 진균독소의 탐색과 방제 (II) 이병된 양념 채소류(양파, 마늘, 고추)에서 주요 진균독소 검출 (Survey and Control of The Occurrence of Mycotoxins from Postharvest Vegetables in Korea (II) Detection of Major Mycotoxins from Diseased Spice Vegetables (Onions, Garlics and Peppers))

  • 정일민;주호종;심성철;백수봉;유승헌
    • 분석과학
    • /
    • 제11권3호
    • /
    • pp.206-212
    • /
    • 1998
  • 수확후 Alternaria, Penicillium 및 Fusarium에 이병된 고추, 양파, 마늘을 HPLC로 주요독소들을 검정한 결과 고추에서 Alternaria 독소의 AOH(alternariol)는 소량~$400{\mu}g/g$, ALT(alternuene)는 소량~$103{\mu}g/g$, TeA(tenuagonic acid)는 $249{\sim}342{\mu}g/g$ 및 AME(alternariol monomethyl ether)는 $206{\sim}294{\mu}g/g$이 검출되었고 양파, 마늘에서 Penicillium 독소의 citrinin이 $2.8{\sim}18.4{\mu}g/g$, penicillin-G는 $0{\sim}439.0{\mu}g/g$, penicillic acid는 $0{\sim}10.2{\mu}g/g$ 및 patulin은 $0{\sim}7.0{\mu}g/g$ 검출되었다. 그리고 양파, 마늘에서 Fusarium 독소로는 fusaric acid가 $0{\sim}553.6{\mu}g/g$ 검출되었을 뿐 deoxynivalenol과 nivalenol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곤포사일리지에 발생하는 곰팡이가 생산하는 진균 독소 (Mycotoxins Produced by Fungi Contaminated on the Round Bale Silage)

  • 노환국;서성;김민경;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4권1호
    • /
    • pp.85-92
    • /
    • 2012
  • 곤포 사일리지에서 분리한 Penicillium, Aspergillus, Fusarium속 균의 곰팡이독소 생산 여부를 조사한 결과, Penicillium paneum 균주의 배양여액에서 citrin과 patulin이 검출되었고, Aspergillus flavus 균주의 배양여액에서는 아프라톡신이 검출되었으나 A. fumigatus가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글리오톡신은 검출되지 않았다. Fusarium proliferatum 균주는 Fusarium속 균이 일반적으로 많이 생산하는 fumonisin, zearalenone, deoxynivalenol 등 곰팡이 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수확기 벼 이삭에서 분리된 진균독소 생성 Fusarium armeniacum의 다양성 (Diversity of Mycotoxigenic Fusarium armeniacum Isolated from Rice Grains at Harvest Time in Korea)

  • 홍성기;이수형;이데레사;함현희;문혜연;최효원;손승완;류재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58-164
    • /
    • 2015
  •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전국 8도에 있는 벼 포장에서 수확기에 총 509개의 이삭시료가 채집되었다. 시료당 105개의 벼 종실이 potato dextrose agar (PDA) 배지에 처리되었고 6,658개의 Fusarium 균주가 분리되었다. $EF-1{\alph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기초로, 분리된 Fusarium 중 67균주를 Fusarium armeniacum으로 동정하였고, 형태적, 배양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F. armeniacum은 분생포자 크기, 균총 색, 및 $EF-1{\alpha}$ 염기서열에서 균주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액체크로마토크래피-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potato sucrose agar (PSA) 배지에서 T-2와 HT-2 독소생성능력을 결정하였던 바 F. armeniacum 24균주 중 21균주가 T-2와 HT-2 독소를 모두 생성하였으며, 독소생성 수준은 균주간에 다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산 F. armeniacum 균주들이 형태적, 배양적, 유전적 및 독소학적 성질에서 다양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수확후 곡물류에 발생하는 진균독소의 탐색과 방제 III. 수확후 곡물류(밀, 콩, 옥수수)에서 발생하는 진균독소균의 방제 (Survey and Controll of the Occurrence of Mycotoxins from Postharvest Cereals III. Control of Mycotoxin Producing Pathogens in Postharvest Cereals(Wheat, Bean, Corn))

  • 백수봉;김은영;정일민;유승헌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31-535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 of chitosan, grape fruit seed extracts(GFSE) and sodium hypochloride gas on the control of mycotoxin producing pathogens occurred kin postharvest grains. Among the treatments, sodium hypochloride gas showed the highest control effect on wheat, soybean and corn see maintained in natural conditions after postharvest and GFSE had a little control effect, but chitosan treatment had no effect. Sodium hypochloride gas exhibited the strongest control effect on the major mycotoxin producing pathogens such as Penicillium spp. Aspergillus spp. and Fusarium spp., whereas GFSE had a little control effect. Sodium hypochloride gas appeared to be effective when the grains were treated with this gas more than 24 hours.

  • PDF

오염된 곡물류(밀, 콩, 옥수수)에서 주요 진균독소 검출 (Detection of Major Mycotoxins from Contaminated Cereals (Wheat, Soybean and Corn))

  • 정일민;김은영;백수봉;유승헌
    • 분석과학
    • /
    • 제12권6호
    • /
    • pp.534-539
    • /
    • 1999
  • Penicillium, Aspergillus 및 Fusarium에 오염된 밀(Triticum aestivum L.), 콩(Glycine max Merr), 옥수수(Zea mays L.)에서 HPLC를 이용하여 주요 독소들을 검정하였다. Penicillium 독소인 brefeldin A는 밀에서 3.1~270 ppm, 콩에서 45~230 ppm, 옥수수에서 1030~1240 ppm 다량 검출되었다. Citreoviridin과 griseofulvin은 밀, 콩, 옥수수에서 각각 40~80 ppm과 3.6~26.0 ppm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citrinin과 patulin은 밀, 콩, 옥수수에서 각각 0.3~4.0 ppm과 420~3800 ppm로 검출되었고, 특히 옥수수에서 다량 검출되었다. Aspergillus 독소로 ochratoxin A는 밀에서 730 ppm, 콩에서 12.4 ppm, 옥수수는 310 ppm이 검출되었다.

  • PDF

2015년 국내산 저장 옥수수에서의 후자리움 독소 오염 및 감염 곰팡이 조사 (Survey of Fungal Infection and Fusarium Mycotoxins Contamination of Maize during Storage in Korea in 2015)

  • 김양선;강인정;신동범;노재환;허성기;심형권
    • 식물병연구
    • /
    • 제23권3호
    • /
    • pp.278-282
    • /
    • 2017
  • 옥수수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곡물 중 하나이며 중요한 식량자원이다. 생산 된 옥수수는 수확 및 건조 후에 저장되는데 저장 옥수수의 질을 떨어뜨리는 곰팡이 감염 및 곰팡이 독소는 생육 시기부터 저장기간 내내 발생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2015년 수확하여 1년정도 저장한 옥수수를 대상으로 옥수수의 크기와 변색 정도에 따른 감염 곰팡이 종과 독소검출을 조사하였다. 데옥시니발레놀과 제랄레논이 아플라톡신, 오크라톡신, 푸모니신, 티투독소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는데 특히, 데옥시니발레놀 경우 작은 낱알에서 $1200{\pm}610{\mu}g/kg$로 검출되었는데, 이는 이보다 큰 낱알에서 검출된 독소 함량에 비해 4배에서 6배까지 많은 양이 검출되었으며, 변색된 낱알의 혼입으로 인해 데옥시니발레놀, 제랄레논 및 푸모니신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곰팡이의 경우 Fusarium, Aspergillus 그리고 Penicillium 속 등 총 10종이 분리되었다. 이중 F. graminearum은 정상적인 낱알에 비해 변색 된 붉은색 낱알과 갈색 낱알에서 60%와 40%로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수확 후 변색 또는 손상된 옥수수 낱알이 정상 낱알에 섞여 보관될 경우, 손상된 낱알에 오염되어 있던 병원균이 정상 낱알을 감염하여 진균 독소의 발생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오염 낱알의 제거가 곰팡이 및 독소의 오염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진균주의 독소생산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oxin Productivity of Fungi in Cereals)

  • 염곤;이장훈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권1호
    • /
    • pp.71-76
    • /
    • 1986
  • The determination of fungal flora in some kinds of cereals have been carried out in other to obtain an appropriate information of the population of fungi and toxin productivit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1. The predominant genera were Aspergillus, Penicillium, Mucor, Rhizopus, Alternaria, Fusarium. 2. Six of Aspergillus flavus were aflatoxin-producing strains. 3. Sample barleys were found to contain the highest content of aflatoxin. 4. In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f liver cells from mouse which had been injected with crude toxin, the liver cells showed the cytoplasmic chan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