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gicide application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4초

실외조건(室外條件)의 담수토양중(湛水土壤中) fenitrothion, IBP, butachlor의 소실(消失) (Dissipation of Fenitrothion, IBP, and Butachlor in Flooded Soil Under Outdoor Conditions)

  • 문영희;양환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13
    • /
    • 1990
  • 수도(水稻)를 재배(栽培)한 실외(室外) 풋트조건(條件)의 담수토양(湛水土壤)에 살충제(殺蟲劑) fenitrothion, 살균제(殺菌劑) IBP, 제초제(除草劑) butachlor 유제(乳劑)를 각각(各各) 100g, 98g, 352.8g ai/10a수준(水準)으로 수면처리(水面處理)하고 답면수(畓面水)(담수액(湛水液)) 및 토양중(土壤中) 3농약(農藥)의 잔류성(殘留性)을 조사하였다. 답면수(畓面水) 중 fenitrothion, IBP, butachlor의 농도(濃度)는 처리(處理) 1시간후에 각각(各各) 3.7, 3.2, 9.1ppm이었다. 그러나 fenitrothion의 농도(濃度)는 처리(處理) 5일(日)후에 0.01ppm이하(以下)였고 IBP와 butachlor의 농도(濃度)는 처리(處理) 20일(日)후에 각각(各各) 0.025와 0.004ppm이었다. Fenitrothion, butachlor, IBP의 답면수(畓面水)중 반감기(半減期)는 각각(各各) 1일(日)이내, 1.7일(日), 3.6일(日)이었다. 답면수(畓面水)로부터 흡착(吸着)된 토양중(土壤中) fenitrothion, IBP, butachlor 농도(濃度)는 토양(土壤) 0-3cm 층위(層位)에서 처리(處理) 후 3일(日)에 각각(各各) 0.05ppm이하(以下), 0.18ppm, 0.39ppm이었다. 그러나 처리(處理) 27일(日)후에 IBP와 butachlor의 검출(檢出) 농도(濃度)가 0-5cm 층위(層位)에서 각각(各各) 0.04, 0.05ppm으로 동일토양(同一土壤)의 실내조건(室內條件)에서보다 월등히 빨리 분해(分解)되었다. 답면수(畓面水) 및 토양중(土壤中) 소실속도(消失速度)는fenitrothion>butachlor>IBP순이었다. 토양층위별(土壤層位別) butachlor의 잔존량(殘存量)은 2cm 이하(以下)에서보다 0-2cm 층위(層位)에서가 현저(顯著)히 많았는데 비(比)하여, IBP의 토양층위별(土壤層位別) 농도(濃度)는 큰 차이(差異)가 없이 5㎝이하(以下)까지 이동(移動)되었다.

  • PDF

오이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농약의 혼용에 의한 오이 주요 곰팡이병의 방제 효과 (Control Effect of Major Fungal Diseases of Cucumber by Mixing of Biofungicides Registered for Control of Powdery Mildew with Other Control Agents)

  • 김경희;박재영;차주훈;전치성;홍성준;김영호;허재선;고영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3-328
    • /
    • 2011
  • 국내 유통중인 오이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농약의 혼용 및 기타 약제와의 혼용에 의한 오이 주요 곰팡이병 방제효과를 검정함으로써 오이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농약의 활용증진 방안을 검토하였다.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미생물농약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는데 바실루스서브틸리스케이비401유상현탁제와 바실루스서브틸리스디비비1501수화제의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20% 이상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두 가지 미생물농약의 훈용에 의해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방세효과가 증진되었고, 오이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농약 바실루스서브틸리스케이비401유상현탁제와 노균병 방제용 화학약제 디메토모르프수화제의 혼용살포에 의해 오이 흰가루병과 노균병을 80% 이상씩 동시에 방제할 수 있었다. 이와 유사하게 오이 흰가루병 방제용 미생물농약 바실루스서브틸리스케이비401유상현탁제와 친환경자재 난황유의 혼용살포에 의해서도 오이 흰가루병은 95% 정도, 노균병은 70% 정도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Enhancing the Efficacy of Burkholderia cepacia B23 with Calcium Chloride and Chitosan to Control Anthracnose of Papaya During Storage

  • Rahman, M.A.;Mahmud, T.M.M.;Kadir, J.;Rahman, R. Abdul;Begum, M.M.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361-368
    • /
    • 2009
  • The efficacy of the combination of Burkholderia cepacia B23 with 0.75% chitosan and 3% calcium chloride ($CaCl_2$) as a biocontrol treatment of anthracnose disease of papaya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was evaluated during storage. The growth of B. cepacia B23 in papaya wounds and on fruit surfaces was not affected in presence of chitosan and $CaCl_2$ or combination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The combination of B. cepacia B23 with chitosan-$CaCl_2$ was more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disease than either B. cepacia B23 or chitosan or other combination treatments both in inoculated and naturally infected fruits. Combining B. cepacia B23 with chitosan-$CaCl_2$ gave the complete control of anthracnose infection in artificially inoculated fruits stored at $14^{\circ}C$ and 95% RH for 18 days, which was similar to that obtained with fungicide $benocide^{(R)}$. Moreover, this combination offered a greater control by reducing 99% disease severity in naturally infected fruits at the end of 14 days storage at $14^{\circ}C$ and 95% RH and six days post ripening at $28\pm2^{\circ}C$, which was superior to that found with $benocide^{(R)}$ or other treatments tested. Thus, postharvest application of B. cepacia B23 with chitosan-$CaCl_2$ as enhancers represents a promising alternative to synthetic fungicides for the control of anthracnose in papaya during storage.

역상 이온쌍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농약 제품 중 Kasugamycin의 분석 (Analysis of Kasugamycin in Pesticide Formulations by Reversed-Phase Ion Pair Liquid Chromatography)

  • 김택제;김경선;윤채혁;주진복;김충효
    • 분석과학
    • /
    • 제10권5호
    • /
    • pp.343-349
    • /
    • 1997
  • 역상 이온쌍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RP-IPC)에 의한 살균제 농약 kasugamycin(5-amino-2-methy-6-(2,3,4,5,6-pentahydroxy cyclohexyloxy) tetrahydropyran-3-yl-amino-${\alpha}$-iminoacetic acid)의 정량분석법을 확립하였다. Ksugamycin의 정량분석법을 확립하기 위해 RP-IPC에서 organic modifier의 농도, 용리액의 pH 및 상대이온(counter ion)의 종류와 농도에 의한 시료의 머무름 거동에 대한 영향을 조사 검토하였다. 확립된 최적 변수를 바탕으로 개발된 이 분석법은 kasugamycin의 품질관리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토양으로부터 Chlorothalonil 전환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lorothalonil-dissipating Bacteria from Soil.)

  • 이수현;신재호;최준호;박종우;김장억;이인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6-100
    • /
    • 2004
  • 토양 시료를 대상으로 chlorothalonil을 함유한 최소배지에서의 집식배양과 배양 추 HPLC에 의한 잔류분석을 통해 chlorothalonil의 제거 능력이 우수한 균주 Ochrobactrum sp. SH35B를 분리하였다. 분리균 SH35B는 1/10 LB 배지에 함유된 10 ppm의 chlorothalonil을 30시간만에 완전히 제거하였으며, 20 ppm의 chlorothalonil의 경우 30시간 동안 88%를 제거하였다. 분리균의 Glu-SH함량과 glutathione S-transferase활성은 각각 1.33및 62.1 nmol/mg이었으며, 대조균인 E. coli나 B. subtilis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hlorothalonil의 전환에 있어서 세포내의 Glu-SH 함량과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 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수도용 농약후치왕, 오트란의 작물 및 토양에서의 잔류와 분해 (Degradation and Residue of Fujione and Ortran in Korean Rice Paddy System)

  • 백옥련;노정구;김택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2호
    • /
    • pp.93-98
    • /
    • 1982
  • 농약의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른 농약의 자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농약의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방법을 정립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수도용농약중 살균제인 후치왕(Fujione, Isoprothiolane)과 살충제인 오트란(Ortran, Acephate)의 토양에서의 잔류성과 수도작물에의 잔류성에 대해 포장실험 및 실험실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벼, 볏짚, 현미 및 백미에서의 농약의 잔류 또는 농약의 처리된 횟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후치왕의 경우 백미중 농약 함양은 $0.07{\sim}0.09ppm$ 이었고 오트란은 $0.01{\sim}0.53ppm$이었다. 또한 후치왕의 반감기는 실험실적인 방법으로 호기조건하에서 30일, 담수조건하에서 150일인데 반해 포장에서는 약 100일로 나타났다. 오트란의 경우는 호기, 담수조건하에서 각각 $3{\sim}4$일, $13{\sim}14$일이었다.

  • PDF

멕시코와 네팔도입 고추 유전자원의 두 가지 점무늬병에 대한 저항성 (Resistance to Two Leaf Spot Diseases of Pepper Genetic Resources Introduced from Mexico and Nepal)

  • 조은형;김정훈;전수경;이지선;김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3권
    • /
    • pp.43-51
    • /
    • 2005
  • 멕시코와 네팔에서 수집한 고추 유전자원 50점과 이병성 및 저항성 대조품종에 Stemphylium solani와 S. lycopersici 의 혼합접종으로 흰별무늬병(gray leaf spot)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고, 살균제를 살포하여 회복시킨 다음 다시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를 접종하여 더뎅이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더뎅이병에는 KC866, KC872, KC902, KC905이 이미 알려진 KC43, KC47, KC220, KC319, KC320, KC380 등과 함께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더뎅이병, bacterial spot)에는 KC897이 이미 저항성으로 보고된 KC177(PI163192)보다 발병이 적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네팔에서 도입된 KC889, KC896, KC898이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Hexaconazole on Growth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Cucumber Seedlings under UV-B Radiation

  • Kim, Tae-Yun;Hong, Jung-He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435-1447
    • /
    • 2012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exaconazole (HEX), a triazole fungicide, on the growth, yield, photosynthetic response and antioxidant potential in cucumber (Cucumis sativus L.) plants subjected to UV-B stress. UV-B radiation and HEX were appli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to cucumber seedlings. The growth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under UV-B treatment, however, this growth inhibition was less in HEX treated plants. HEX caused noticeable changes in plant morphology such as reduced shoot length and leaf area, and increased leaf thickness. HEX was quite persistent in inhibiting shoot growth by causing a reduction in shoot fresh and dry weight. HEX noticeably recovered the UV-B induced inhibition of biomass production. Significant accumutation in anthocyanin and flavonoid pigments in the leaves occurred as a result of HEX or UV-B treatments. HEX permitted the survival of more green leaf tissue preventing chlorophyll content reduction and higher quantum yield for photosystemII under UV-B exposure. HEX treatment induced a transient rise in ABA levels in the leaves, and combined application of HEX and UV-B showed a significant enhancement of ABA content which activates $H_2O_2$ generation. UV-B exposure induced accumulation of $H_2O_2$ in the leaves, while HEX prevented UV-B induced increase in $H_2O_2$, indicating that HEX serves as an antioxidant agent able to scavenge $H_2O$ to protect cells from oxidative damage. An increase in the ascorbic acid was observed in the HEX treated cucumber leaves affecting many enzyme activities by removing $H_2O_2$ during photosynthetic processes.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cluding catalase(CAT), ascorbate peroxidase(APX), superoxide dismutase(SOD) and peroxidase(POD) in the leaves in the presence of HEX under UV-B stress were higher than those under UV-B stress alon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EX may participate in the enhanced tolerance to oxidative stres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HEX moderately ameliolate the effect of UV-B stress in cucumber by improving the components of antioxidant defense system.

복숭아의 재배기간 중 살충제 Clothianidin 및 살균제 Fluquinconazole의 생산단계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s (PHRLs) of Insecticide Clothianidin and Fungicide Fluquinconazole on Peaches during Cultivation Period)

  • 박재훈;임종성;윤지영;문혜리;한예훈;이용재;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1-276
    • /
    • 2012
  • BACKGROUND: It is hard to control the agricultural products exceeding MRL (maximum residue limit) before forwarding. Therefore, NAQS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South Korea) established PHRL (pre-harvest residue limit) on agricultural products during their cultivation period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t the PHRLs of peach during cultivation period, and also to estimate biological half-lives for residues of clothianidin and fluquinconazole. METHODS AND RESULTS: Two groups of peach were treated under Korean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 with application time, single and triple treatments. Sample was collected over 14days (each after 0, 2, 4, 6, 8, 10, 12, 14 days. 8times), and clothianidin and fluquinconazole were analyzed by HPLC/DAD and GC/ECD, respectively. CONCLUSION: The biological half-life of clothianidin in single treatment and triple treatment was 5.2days and 7.0days. That of fluquinconazole was also 3.9days and 4.1days, respectively. The PHRL of peach on 10days before harvest was 1.4 mg/kg in clothianidin and 1.8 mg/kg in fluquinconazole.

식물근권에서 분리한 세균을 처리한 감귤열매에서 감귤 역병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 of Bacterial Isolates from Plant Rhizosphere against Late Blight Caused by Phytophthora citrophthora on Citrus Fruits)

  • 강소영;전용철
    • 식물병연구
    • /
    • 제16권1호
    • /
    • pp.35-40
    • /
    • 2010
  • 식물근권에서 유래된 12개의 근권세균이 Phytophthora citrophthora에 의해 발생되는 감귤 역병에 대해 감귤 열매에서 병진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지 조사하였다. 조사한 근권세균 중 THJ609-3, TRH423-3, BRH433-2, Lysochit 및 KRY505-3 등에 의해 역병이 억제되는 것을 역병균의 in vivo 상처접종을 통하여 밝혀졌다. 근권세균을 P.citrophthora의 균사체와 대치 배양하여 역병균 저지대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역병 진전억제효과를 보였던 5개의 균주에서 모두 항진균활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근권세균의 균사생장억제효과와 역병억제효과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는 성립되지는 않았다. 한편, 근권세균 rDNA의 internal transcript spaces(ITS)을 분석을 통해 동정 한 결과 Lysochit과 KRY505-3은 Bacillus cereus로 동정 되었고, BRH4332은 B. circulans로, TRH423-3는 Burkholderia gladiol로 동정되었다. 이 연구는 친환경 농가와 같이 농약사용이 제한된 농장에서 감귤 역병에 대해 생물적 방제를 위한 활성균을 모색하는데 매우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