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game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2초

A Functional Game Application for Korean Words Learning Based on Smartphone Environments

  • Choi, YoungMee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6권4호
    • /
    • pp.259-264
    • /
    • 2019
  • In this paper, the prototyping process for developing syllable-initial consonant-based game 'Korean Guards' is described. Users may effectively learn Korean words using alphabetically sequential approaches, but the easiness of access bestowed on the smart environments and game algorithms could be fully utilized for the functional advantages for educational purposes. This functional game is developed on Android OS and the prototypical outcome is shown.

기능성게임 제작을 통한 기획접근 프로세스 사례 (A Case Study of a Planning Process through Developing Serious Games)

  • 은광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97-204
    • /
    • 2010
  • 본 논문은 기능성 소재 게임 제작을 통해서 기능성 게임 기획 접근에 대한 프로세스 사례를 연구한 기획 교육실습에 관한 내용이다. 주요 연구 내용은 순기능 소재의 게임 제작을 통해서 게임 직무의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인 기획에 대한 교육실습 과정을 '기능성 게임기획 프레임워크'로 구성하였으며 실제 기능성 게임 제작을 통해서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내용을 검증해 보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순기능이란 목적을 지닌 기능성 게임기획에 대한 접근 과정은 일반적인 접근 프로세스와 달리 단계별 정량적인 접근 기준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기획 접근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향후, 기능성 게임 교육의 참고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게임기반 체중지지 균형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단계별 일어서고 앉기 동작과 기능적 일어서기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ame-Based Weight Bearing Balance Training on Phase Sit to Stand to Sit and Functional Standing Performance Stroke Patients)

  • 양대중;엄요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1-30
    • /
    • 2017
  • Purpose : This research intends to identify the effects of game-based weight bearing exercises on balance, muscular activation, sit to stand to sit motions of stroke patients. Method : 3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emiplegia by stroke less in than a year were sampled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 one of which was game-based weight bearing balance exercise group, and the other was functional weight bearing exercise group. 15 people were randomly selected for each group. Each exercise was coordinated by this research for 8 weeks, 5 days a week. 3D motion analyzer was used to measure the sit to stand to sit motions and a stopwatch was used to measure the time for stand-up motions for 5 times. Result : In terms of analyzing sit to stand to sit motions by phases, game-based weight bearing balance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compared to functional weight-bearing exercise group in phase I, II, III, IV and total time. In terms of functional stand-up performance analysis, game-based weight bearing balance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compared to functional weight-bearing exercise group in 5 times stand-up examination. Conclusion : It was verified that game-based weight bearing balance exercise had positive impact on function recovery of stroke patients by enhancing sit to stand to sit capabilities. It is considered that game-based exercise was an effective intermediary for functional improvement of stroke patients, while also inducing consistent and voluntary participation by causing interest and motivation.

체감형 헬스게임에서 사용자경험과 자기효능감이 게임 만족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Experience, Self-efficacy and Game Performance in Healthcare Serious Gam)

  • 노기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5-29
    • /
    • 2012
  • 동작인식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헬스게임이 대중화에 성공하면서 체감형 헬스게임의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이론 및 실용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체감형 헬스게임의 성과를 예측하기 위해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와 설문조사를 결합한 플레이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몰입, 실재감과 사회인지 요인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사회인지요인인 자기효능감은 헬스게임의 기능적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몰입경험은 가설에서 설정된 방향대로 기능적 만족도와 오락적 만족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로 실재감경험은 헬스게임의 기능적 만족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오락적 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로 기능적 만족도는 오락적 만족도와 미래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락적 만족도 역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디지털게임의 사용자경험과 자기효능감이 게임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이론적 명제들이 체감형 헬스게임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개념과 이론의 확장성에 기여하고 있다.

고령친화 기능성 게임산업과 문화콘텐츠 기술(CT) R&D 발전랑안의 모색 (A Study on Senior friendly function Game Industry and Culture Contents Technology(CT) R&D development process.)

  • 김연정;박현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4호
    • /
    • pp.57-65
    • /
    • 2009
  •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upply status on Contents Technology R&D(research and development) and friendly function Game Industry targeting to elderly consumers. The game contents including the functional components are categorized the sixth category of CT R&D's fundamental planning. The function game targeting to elderly focused on emotional and physical recovering to barrier, user friendliness, simplicity and certainty of game performance. The purpose of game participation are health, well-being, psychological wellness and communication. The functional game consisted of various version procedure by socio-demographic, the accessibility to game media and device.

  • PDF

대학 강의용 기능성게임 개발 기초연구 - 임상추론역량을 중심으로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Games for University Lectures - Focusing on clinical reasoning capabilities)

  • 서희경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5-74
    • /
    • 2019
  • 본 연구는 디지털스토리텔링 요소를 접목한 기능성게임이 대학교육으로 활용 될 수 있는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고 기능성게임의 한계로 지적되어왔던 게임콘텐츠 품질평가의 기준을 고찰하여 향후 기능성 게임이 보다 대중화되고 여러 학계에서 참고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스토리텔링의 특징인 사건해결과정의 기초적 프레임을 토대로 임상 추론과정을 학습할 수 있는 기능성게임을 개발 할 때 주로 고려되어야할 요소를 위주로 정리하였다.

재활훈련 기능성 게임 콘텐츠를 이용한 Personal Training System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 Training System Using Functional Game for Rehabilitation Training)

  • 류완석;강한수;김휴정;임창주;정성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21-12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재미있는 게임을 하면서 재활 및 신체 평형 능력 향상에 이용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를 장착한 밸런스 보드와 기능성 게임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재미있는 게임을 이용한 재활 훈련은 환자의 재활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퍼스널 트레이닝 시스템은 밸런스보드에 가속도 센서를 부착하였으며, 게임 컨텐츠는 신체의 평형 정도에 따라 동작한다. 개발된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하여 재활 훈련 게임 컨텐츠를 개발하였다. 제안된 컨텐츠는 간단한 재활훈련과 신체 평형 운동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여기서 제안된 인터페이스는 에뮬레이터를 통하여 여러 가지 기능의 상용 게임에 적용할 수 있다.

  • PDF

GENERALIZED STABILITIES OF CAUCHY'S GAMMA-BETA FUNCTIONAL EQUATION

  • Lee, Eun-Hwi;Han, Soon-Yi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30권3호
    • /
    • pp.567-579
    • /
    • 2008
  • We obtain generalized super stability of Cauchy's gamma-beta functional equation B(x, y) f(x + y) = f(x)f(y), where B(x, y) is the beta function and also generalize the stability in the sense of R. Ger of this equation in the following setting: ${\mid}{\frac{B(x,y)f(x+y)}{f(x)f(y)}}-1{\mid}$ < H(x,y), where H(x,y) is a homogeneous function of dgree p(0 ${\leq}$ p < 1).

체감형 스피닝 게임 구현을 위한 스포츠 기능적 움직임 (Sport Functional Movement for Physically Interactive Spinning Game Implementation)

  • 길영익;이현주;고일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39-152
    • /
    • 2020
  • 체감형 스포츠 게임은 가상경기뿐만 아니라 훈련이 가능한 형태로 확대되어 실제 스포츠를 대체하고 있다. 기존 체감형 스포츠 게임은 실재감과 몰입을 위한 기술적 연구가 대부분이며, 운동 경험을 위한 스포츠 움직임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스포츠 기능적 움직임은 실제 스포츠 경기의 기본 움직임이며, 본 논문에서는 스피닝의 기능적 움직임을 적용하여 실제 스피닝을 대체할 수 있고 개인이 진행 가능한 체감형 스피닝 게임을 구현한다. 스포츠 기능적 움직임은 실제 스포츠 종목을 대체할 수 있는 체감형 스포츠 게임을 만들기 위한 적절한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린콘텐츠 개념을 적용한 정신장애 치료게임 연구 (A Study on The Disturbed's Healing Games of Green Contents Concept)

  • 이연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1-20
    • /
    • 2007
  •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기능성게임 개발은 정상인을 위한 게임과 교육용 게임 개발에 편중되어 왔다. 하지만 도움이 필요한 정신 장애인을 위한 치료용 기능성게임 개발은 전무한 상태다. 게임이 주는 긍정적 효과를 활용하여 자연과 인간 모두의 삶에 이로움을 주며, 특히 소외계층인 사회 소수인 및 약자를 위하고, 상업적 측면이 우선시 되지 않는 '정화(淨化)' 개념의 콘텐츠를 '그린콘텐츠'라 정의한다. 정신 장애인을 위한 치료용 게임은 이러한 그린콘텐츠 개념 안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게임의 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새로운 콘텐츠 개발 차원에서 기능성게임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그 시장과 사회적 역할은 점점 커져갈 것이고, 그 필요성 또한 더욱 크게 요구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자기 존중감 증진을 위한 보편적 치료방법 중 하나인 미술치료를 분석하였고, 정신분석학자들의 이론을 근거로 치료용 기능성 게임으로 정신 장애인의 치료가 가능함을 입증하고 개발 프로그램과 설계 로드맵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추후 이와 유사한 기능성 게임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린 콘텐츠 개념이 적용된 다양한 기능성게임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