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acrylat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4초

Compatibility of POSS Composites with Silicone Monomers and Application to Contact Lenses Material

  • Lee, Min-Jae;Lee, Kyungmun;Sung, A-Young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6호
    • /
    • pp.354-359
    • /
    • 2020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mpatibility of used monomers and produce the high functional contact lens material containing silicone monomers. Silicone monomer (Sil-OH), Trimethylsilylmethacrylate (TSMA) were used as additives for the basic combination of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 methyl methacrylate (MMA) and methyl acrylate (MA). And also, the materials were copolymerized with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as the cross-linking agent, AIBN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as the initiator. It is judged that the fabricated lenses of all combinations are optically excellent and thus used monomers have good compatibility. Measurement of the opt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ufactured hydrophilic lens material were varied in each case. Especially TSMA with POSS increases the oxygen permeability and Sil-OH with POSS increases the wettability by the addition of Sil-OH. These materials were considered to have compatibility each other, so it can be used in functional contact lens material.

환경친화적 LE-형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반연속식 말브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유화중합에 관한 연구 (Semi-continu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n-Butyl acrylate/Methyl metacrylate using Environmental-Friendly LE-Type Nonionic Surfactant)

  • 김철웅
    • 청정기술
    • /
    • 제11권1호
    • /
    • pp.41-50
    • /
    • 2005
  •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인 선형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LE-형유화제를 사용하여 점착성분의 단량체로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 (n-butyl acrylate, n-BA)와 응집성분의 단량체로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methyl metacrylate, MMA)를 사용하여, 폴리머 시멘트용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를 제조하기 한 최적조건을 얻기 위해 수용액상에서 유화중합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사용한 계면활성제 (LE-형)의 친수성인 체인 길이(n)의 값이 증가할수록 응석의 발생이 줄어들어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이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하다가 어느 농도 이상에서 응석의 발생이 거의 없는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으며, 반면에 평균 입자크기도 사용량에 따라 작아지다가 250 nm로 일정한 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능성 폴리머로서 보조모노머의 첨가는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응석과 입자크기에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주 모노머에 보조 모노머인 아크릴산 (acrylic acid, AA)과 아크릴 아마이드 (acrylic amide, AM)의 혼합하여 첨가한 경우,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응석의 발생이 줄어들어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최적조건에서 어진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은 평균 입자크기 200-300 nm, 제타전위 (zeta potential)값 -50 mv 정도였으며, 단일 유리전이온도 (glass temperature, Tg)를 가진 고분자 나노 입자가 수용액상에 잘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합조건을 최적화시켜 안정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있었다.

  • PDF

Acetoacetoxy기 함유 아크릴수지와 Allophanate-Trimer에 의한 하이솔리드 도료의 도막물성 (Physical Properties of High-Solid Coatings with Acrylic Resins Containing Acetoacetoxy Group and Allophanate-Trimer)

  • 조혜진;심일우;박홍수;김승진;김성길
    • 폴리머
    • /
    • 제30권3호
    • /
    • pp.230-237
    • /
    • 2006
  • 단량체로 methyl methacrylate, n-butyl acrylate, 2-hydroxyethyl acrylate와 도막물성 향상 및 가교밀도를 극대화시켜 줄 관능성 단량체인 acetoacetoxyethyl methacrylate (AAEM)를 반응시켜 4원공중합체인 고형분 80%의 아크릴수지 (HSA-98-20, HSA-98-0, HSA-98+20)를 합성하였다. AAEM 성분이 함유된 아크릴수지의 점성도는 $1420\sim5760cps$, 수평균분자량 $2080\sim2300g/mol$, 다분산도 $2.07\sim2.19$ 및 전환율 $88\sim93%$이었다. 고형분 80%인 아크릴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상온에서 경화시켜 하이솔리드 도료(HSA-98-20C, HSA-98-0C, HSA-98+20C)를 제조하고 도막시편을 제작하여 각종 물성 시험을 수행한 결과, 제조된 하이솔리드 도료내에 AAEM 도입 전후의 도막물성이 비교실험에서 AAEM 도입후에 내마모성과 내용제성이 증진됨으로써 자동차 상도용 도료에의 적용이 가능케 되었다. 또한 점탄성 측정에 의한 도막의 경화거동에서 HSA-98+20C > HSA-98-0C > HSA-98-20C의 순서로 경화가 빨리 진행됨으로써, 유리 전이 온도 값의 증가함에 따라 경화속도가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관능성 단량체 종류에 따른 4원 용액형 아크릴계 점착제의 합성과 물성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Functional Monomers on the Synthesis andPhysical Properties of Solution Type Quaternary Polymer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 김남석;김성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25-532
    • /
    • 2008
  • To prepare a solution typ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quarter polymers were synthesized from butyl acrylate(BA), 2-ethylhexylacrylate(2-EHA) as a base monomer, methyl methacrylate(MMA) as a comonomer, each of methacrylic acid(MAA), acrylic acid(AA) as a functional monomer. Acrylic solut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s(PSA's) of isocyanate derivative crosslinking PSA's were prepared by crosslinking of BEMM, BEMA with toluene-2,4-diisocyanate. The structure of adhesive was identified by FT-IR. The viscosity was measured by using Brookfield DV-III and molecular weight was measured by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ethylene film coated with BEMMT, BEMAT were measured as a function of the concentration. As the result, BEMMT(0.6, 0.8), BEMAT(0.6) showed peel adhesion of $160{\sim}180\;g_f$/25 mm width and shear adhesion of more than 24 hours, and tackiness of $4/32{\sim}6/32$ which was relevant to commercial usage.

수용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제조와 물성 연구 - 기능성 단량체 변화와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영향 - (Manufacture and Properties of Water Soluble Acrylic Type PSA's - Effect of Functional Monomer Change and Atmospheric Plasma Treatment -)

  • 심동현;설수덕
    • 폴리머
    • /
    • 제33권1호
    • /
    • pp.45-51
    • /
    • 2009
  • BA와 MMA 그리고 1$\sim$5 wt%/monomer의 다양한 관능성 단량체(AA, 2-HEMA, GMA, AAm)를 사용하여 수용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중합하였다. 점착박리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대기압 평판형 플라즈마 전처리 방식을 피착제에 사용하였다. 관능성 단량체 종류에 따라 AA>2-HEMA>GMA>AAm의 순으로 높은 점착박리강도를 나타내었다. 유지력은 관능성 단량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열적 성질이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AA>AAm>GMA>2-HEMA순으로 우수한 유지력을 나타내었다. 피착면에 평판형 플라즈마 전처리 방식을 적용한 결과 AA 9.1%, 2-HEMA 9.4%, GMA 9.4%, AAm 1.8%의 후기점착박리강도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관능성 단량체와 플라즈마 표면 처리법을 사용하여 점착박리강도, 유지력과 같은 기계적 물성을 조절할 수 있었다.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의 접착 및 재박리 특성 (Adhesive and Removable Characteristics of UV Curable Adhesive)

  • 김인범;이명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1호
    • /
    • pp.76-81
    • /
    • 2008
  • 아크릴계 점착제를 합성한 후 이관능성 혹은 육관능성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올리고머 종류 및 함량을 변화시켜 그에 따른 접착력 변화와 재박리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외선 경화전에는 올리고머의 함량의 증가에 따라 박리력이 증가하였으나 자외선 경화 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탄성률(G')이 낮을수록 박리력은 증가하지만 점착제 내부의 상용성과 손실계수(tan ${\delta}$) 값에 따라 점착제의 박리정도와 접착력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합기법을 활용한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물성 평가 (Properties of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erformance and Evaluation Using Combinatorial Methods)

  • 박지원;임동혁;김현중;김경만;김형일;유종민
    • 접착 및 계면
    • /
    • 제10권3호
    • /
    • pp.127-133
    • /
    • 2009
  • 아크릴 점착제는 고내구성 및 분자량 조절, 관능기의 도입 등이 용이하여 반도체, 디스플레이, 모바일 기기, 자동차 등의 첨단 산업에서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점착제의 점착물성은 산업에서의 적용, 공정관리, 제품의 신뢰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에 그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합기법을 이용하여 아크릴 점착제의 물성 영향인자 가운데 두께의 변화에 따른 점착물성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크릴 점착제는 2-ethylhexyl acrylate와 acrylic acid로 구성된 기본점착제만을 활용하여 샘플을 제작하였으며, 두께 구배가 가능한 micro applicator를 활용하여 thickness-gradient acrylic PSA 샘플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기존의 코팅법으로 제작한 샘플과 비교함으로써 조합기법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 PDF

카프로락톤기 함유 90% 고형분인 아크릴수지의 하이솔리드 도료에의 적용 (Application of Acrylic Resins Containing Caprolactone Group and 90% Solid Contents to High-Solid Coatings)

  • 박홍수;양인모;김승진;김영근;정충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9-159
    • /
    • 2007
  • In order to prepare high-solid coatings, acrylic resins, HSCs [poly (EA/EMA/2-HEMA/CLA)] that contain 90% solid, were synthesized by copolymerization of ethyl acrylate (EA), ethyl methacrylate (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and caprolactone acrylate (CLA). The high-solid coatings named as CHSCs (HSCs/HDI-trimer) were prepared by the curing reaction between the acrylic resins containing 90% solid contents and the isocyanates (HDI-trimer) curing agent room temperature. The curing behavior and various properties were examined on the film coated with the both high-solid coating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T_g)$ of CHSCs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increasing the predicted $T_g$ value by Fox equation, and had nothing to do with the solid contents. The prepared film showed good properties for $60^{\circ}$ specular gloss, impact resistance, cross-hatch adhesion and heat resistance, and bad properties for pencil hardness, drying time, and pot-life. Among the film properties, the heat resistance was very excellent and could be explained by the introduction of functional monomers of CLA.

하이솔리드 도료용 80% 고형분인 아크릴수지의 합성 (Synthesis of Acrylic Resins with 80% Solid Contents for High-Solid Coatings)

  • 박홍수;조혜진;심일우;김승진;김영찬;함현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62-370
    • /
    • 2005
  • Copolymers (HSA-98-20, HSA-98-0, HSA-98+20) which are acrylic resin containing 80% solid content were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monomers, including methyl methacrylate, n-butyl acrylate, and 2-hydroxyethyl acrylate with a functional monomer, such as acetoacetoxyethyl methacrylate (AAEM), which may improve in cross-linking dens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films. The physical properties of prepared acrylic resins, containing AAEM, are as follows : viscosity, $1420{\sim}5760cps$ ;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2080{\sim}2300$ ; polydispersity index, $2.07{\sim}2.19$ ; conversions, $88{\sim}93%$, respectively. To prepare acryl resins, four kinds of initiators including ${\alpha},{\alpha}'-azobisisobutyronitirile$ (AIBN), di-tert-butyl peroxide (DTBP), t-amylperoxy-2-ethyl hexanoate (APEH), benzoyl peroxide (BPO) were used. The viscosity of the acrylic resins prepared with these initiators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DTBP>APEH>AIBN>BPO. APEH was proved as a suitable initiator in this study. Shear rates of acrylic resins were constant in respect to viscosity. From these results, it would appear that the resins have Newtonian flow characteristics and good workability.

낙엽송 마루판재의 표면강화 처리기술 개발(II) (Development of Surface Improvement Technique of Japanese Larch Flooring Board(II))

  • 박상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28-35
    • /
    • 2000
  • 본 연구는 재면이 약한 낙엽송재의 재질개량의 일환으로 경도와 내마모성 등 표면성능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표면 강화처리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의 도장법을 적용하였다. 첫째, UV경화형 에폭시아크릴에트수지도료에 관능성 모노머와 내마모제를 첨가하였으며, 둘째,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도료를 밑칠용으로 그리고 내마모제가 첨가된 아크릴수지도료를 마감칠로 사용하였다. 제 1도장법에 의해 표면경도가 2H에서 3H로 개선되었으며, 제 2도장법에 의해 4H로 크게 개선되었으며 내마모성도 향상되었다. 이들 처리에 의해 충격에 의한 도막의 갈라짐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제 2도장법에 의한 표면강화처리 마루판은 케루잉재의 대체재로서 중보행용의 실내 마루판으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 시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