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Independence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19초

어린이용 휴대폰 기능 및 설계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 and Design Factors of Mobile Phones for Children)

  • 송미진;심정훈;윤훈용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1-59
    • /
    • 2009
  • These days mobile phone which were used mainly by grown-up persons are now widely used among children as well due to new social demands. Despite this trend, existing mobile phones are still being designed and produced according to the taste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even the elderly, not satisfying physical, emotion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raised by children. This study aimed to extract the design factors of mobile phones for children by reflecting functional factors requested by children and parents in QFD's customer demands. First, functional and design factors requested in mobile phones for children were extracted from existing products and documentary records and some functional factors were selected through a process of integration and omission. The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on children and parents, based on the selected functional factors. Based on the survey research, functional factors were analyzed using AHP, and key functional factors considered by children and parents in mobile phones for children were investigated. Finally, in order to reflect the results in QFD, the correlation between functional factors and design factors was constructed as HOQ through experts' eval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children and parents recognized the basic functions such as telephoning, text messaging and phone directory as high priority functional factors, even though the relative importance was different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Therefore, it is likely to satisfy the desires of both children and parents by designing mobile phones for children in consideration of design factors such as menu depth, button independence and button arrange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mote experiments on design factors and propose basic data for and guidelines to mobile phone design for children.

1인 가구를 위한 소파 베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Sofa Bed for One-Person Household)

  • 김상권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9-317
    • /
    • 2016
  • Recently, Korean society is increaseing "1 person family" phenomenon, which is influenced by changing of young peoples' value, aging society and social economic problems. Increase of single households is a result of complex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factors. It is because as the individual's financial independence increases due to elevated income and education level, the age of marriage is going up and the individualism, which values the individual's value rather than custom, is spreading. Therefore, this new phenomenon will be impact to between social, economic value structure and living space. An increase with small furnitures are also increasing of R&D and marketing plans for 1 person family. Currently, 1 person family is bigger than last decade and that is requiring more suitable and multi-functional furniture for them. However, in Korea furniture companies are more optimization to traditional family size. Thus, this research explore about developing cheap price sofa bed, which is using at narrow area and small place.

컴포넌트 분석단계에 적용 가능한 컴포넌트 메트릭스 ((Adaptive Component Metrics in Component Analysis Phase))

  • 고병선;박재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5_6호
    • /
    • pp.389-397
    • /
    • 2003
  • 소프트웨어 개발의 독립성과 품질 및 생산성의 향상을 위한 재사용 기술로 컴포넌트 기반 개발(component-based development) 방법론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개발될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의 품질 향상을 위해, 개별 컴포넌트에 대한 개발 주기의 초기 단계에 적용 가능한 컴포넌트 메트릭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분석단계의 정보를 사용하여,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복잡도(CCI)와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응집 결여도(LCC)를 측정한다.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복잡도는 인터페이스를 이해, 변경, 관리, 사용하기 위한 어려움을 나타낸다 할 수 있고,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응집 결여도는 컴포넌트가 독립된 기능 단위로 내부 구성요소들이 얼마나 강하게 연관되었는지를 나타낸다 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 개발 주기의 초기 분석 단계에서, 독립된 기능 단위로 복잡도가 낮으며 응집도가 높은 컴포넌트를 예측 가능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시스템의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공리적 설계 기반 선체 블록 레벨링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Ship Block Leveling System based on the Axiomatic Design)

  • 노재규;임남원;오정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7-21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리적 설계 방법론에서 중요한 2가지 공리 중 독립공리를 시스템 개발에서 설계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기능 요구사항과 대응하는 설계 파라메터는 설계행렬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독립공리에 부합하는 설계 파라메터의 순서를 정한 후 블록 레벨링 시스템에서의 독립적 구성요소를 판별하였다. 이러한 공리적 설계의 결과로서 설계 순서에 맞는 블록 레벨링 시스템 구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블록 레벨링 시스템 구성의 검증과 확인을 위해 블록 조립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3차원 좌표 측정기인 토털 스테이션을 사용하여 실제 조립이 완료된 블록에 대하여 구현된 블록 레벨링 시스템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비교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토털 스테이션의 측정 데이터와 블록 레벨링 시스템의 수신 데이터를 비교하여 1 mm 이내의 정밀도로 블록 레벨링 시스템이 동작함을 검증하고 확인하였다.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ient-centered Mental Practice on Stroke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 박주형;유찬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33-540
    • /
    • 2017
  •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이 뇌졸중 환자들의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경상북도 K병원에 내원한 뇌졸중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은 전 후 평가를 제외한 총 4주 동안 주 5회 30분씩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기능적 독립척도(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와 뇌졸중 특이 삶의 질 척도(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SS-QOL)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FIM 점수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고, SS-QOL값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클라이언트 중심 상상훈련이 뇌졸중 환자들의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너지 자립을 위한 도시농업 활성화 추진정책 방안 (Driving Projects of Urban Agriculture for the Energy Independence)

  • 나영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04-308
    • /
    • 2010
  •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existing studies and released papers to identify the "definition and scope of urban agriculture" which correspond to the circumstances of Korea based on the fact that urban agriculture was selected as one of the measures to pursue green growth by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PCGG) and the discussions and deliberations among PCGG, government, academia, civic organizations, and experts. It also aims to present the ways of policy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urban agriculture based on the mentioned identification. This research proposes the definition of urban agriculture as 'all agricultural activities that incorporates multi-functional public benefits of agriculture performed with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a city. However, the scope of urban agriculture should exclude the agricultural sites, the methods, and the activities that are against the multi-functional public benefits of agriculture, which will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paces, methods, and purposes of planting food crops.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urban agriculture, th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the policy measures as following: (1) to analyze spaces for farming, and provide the spaces to the citizens; (2) to prepare legislation and institution that will allow citizens to use the farming spaces continuously; (3) to develop Korean-style urban agriculture model that fully reflects the features of Korean cities; (4) to develop a system where the urban citizens can easily learn and experience the urban agriculture; and, (5) to provide incentives that will attract active participation of urban citizens such as carbon mileage. (6) to analyze effect of urban agriculture to save energy and food self-sufficiency.

퇴행성 관절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환자를 위한 한방과 양방을 적용한 통합의료 서비스의 효과 (Effect of an Integral Care System: a Combination of Oriental and Western Care for Older Adult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 이지아;지은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8-25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 of an integrated care service which included a combination of oriental and western care on health outcomes in elderly patient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Methods: A prospective comparative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2008 to June 30, 2009 from 85 elderly patient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in the lower extremities who were followed in a hospital out-patient department for 8 weeks. The integrated care service group (n=36) received a combination of physical therapy, acupuncture, western medicines or herbal medicines, and the western care group (n=49) received physical therapy or western medicines. Functional independence, walking speed, rotation balance, pain intensity, service satisfaction and total medical costs for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t 8 weeks. Results: Functional independence (t=2.14, p=.036) and walking speed (t=2.51, p=.014)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integrated care group while pain intensity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western care group (t=3.35, p=.002). The integrated care group reported higher scores for service satisfaction (t=2.09, p=.041) and higher medical costs than the western care group (t=2.15, p=.035).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grated care services are effective modalities to improve mobility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경력 닻의 유형이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areer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n Career Anchor Style)

  • 박희동;박민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3호
    • /
    • pp.97-116
    • /
    • 2012
  • 경력은 한 개인이 일생을 두고 일과 관련하여 얻게 되는 경험 및 활동에서 지각된 일련의 태도와 행위이다. 종업원은 경력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직무관련 경험을 축적함에 따라 경력 닻을 형성하게 되는데 조직에서는 경력개발활동에서 경력 닻에 따른 종업원의 필요와 욕구를 만족시켜 조직역량 강화와 조직유효성을 증대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종업원의 경력개발과정에서 경력 닻의 유형이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에서는 국내 299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영향관계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경력 닻의 유형 중 기술/기능적, 안전/안정적, 순수도전적, 생활방식 경력 닻은 경력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리적, 창조적, 자율/독립적, 봉사/헌신적 경력 닻은 경력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 닻의 유형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술/기능적, 관리적, 안전/안정적, 봉사/헌신적 경력 닻은 경력몰입에 정(+)의 영향관계가 검증되었으나 창조적, 자율/독립적, 순수도전, 생활방식 경력 닻은 경력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 우울 정도와 우울 대응행동 간의 관계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Separation, Depression and Antidepressive Coping Behaviors in University Students)

  • 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55-266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 우울 및 우울 대응행동에 대해 파악하고, 심리적 독립과 우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충청도 소재의 4개교의 대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우울 수준은 우울하지 않음 54.2%, 경증 우울 22.9%, 중증 우울 16.8%, 심한 우울 6.1%로 나타났으며, 우울 대응행동은 인지활동지향행동 30.76%, 혼자하는 행동 28.32%, 대물지향행동 25.50%, 대인관계지향행동 15.06% 순으로 나타났다. 우울 수준에 따라 아버지의 심리적 독립은 기능적, 정서적, 갈등적 독립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어머니의 심리적 독립은 우울 수준에 따라 갈등적 독립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아버지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은 기능적, 태도적, 정서적, 갈등적 독립의 모든 영역에서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은 갈등적 독립만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심리적 건강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는 아버지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수준을 강화하고 어머니와의 갈등적 독립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보다 바람직한 우울 대응행동을 할 수 있도록, 사회적, 정서적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강건성을 고려한 공리적 설계의 새로운 정보 지수 (A New Information Index of Axiomatic Design for Robustness)

  • 황광현;박경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6권10호
    • /
    • pp.2073-2081
    • /
    • 2002
  • In product design and manufacturing, axiomatic design provides a systematic approach for the decision-making process. Two axioms have been defined such as the Independence Axiom and the Information Axiom. The Information Axiom states that the best design among those that satisfy the independence axiom is the one with the least information content. In other words, the best design is the one that has the highest probability of success. On the other hand, the Taguchi robust design is used in the two-step process; one is "reduce variability," and the other is "adjust the mean on the target." The two-step can be interpreted as a problem that has two FRs (functional requirements). Therefore, the Taguchi method should be used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the Independence Axiom. Common aspects exist between the Taguchi method and Axiomatic Design in that a robust design is induced. However, different characteristics are found as well. The Taguchi method does not have the design range, and the probability of success may not be enough to express robustness. Our purpose is to find the one that has the highest probability of success and the smallest variation. A new index is proposed to satisfy these conditions. The index is defined by multiplication of the robustness weight function and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The robustness weight function has the maximum at the target value and zero at the boundary of the design range. The validity of the index is proved through various examples.gh various ex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