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Assessment Scale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1초

유방암 치료 후 신체 재활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의 연구 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 (Research Trends in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after Breast Cancer Treatment: A scoping review)

  • 이정우;서태화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1-120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carry out a scoping review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following breast cancer treatment. Methods : A scoping review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ive steps outlined by Arksey and O'Malley and PRISMA-ScR. We searched three domestic databases (ScienceOn, Riss, KCI) and two international databases (PubMed, Cochrane Central) between January 2014 and April 2024. The keywords used were 'breast cancer surgery', 'breast cancer treatment', 'breast cancer lymphedema', 'intervention', 'management', 'therapy', 'disorder', and 'dysfunction'. Results : In terms of publication, the number of studies in the past five years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five years, with most studies focusing on patients aged 41 to 60 and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for breast cancer. A total of 43 different type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were applied: 21 single interventions and 22 combination interventions. Among the intervention methods, complete decongestive treatment (CDT), resistance training, and manual lymphatic drainage were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The most common duration of intervention turned out to be 4~5 weeks and more than 8 weeks, with frequencies of 2~3 sessions per week and more than 4 sessions per week. The most frequently used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range of motion (ROM) and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for the function and disorder of the upper limb category; arm circumference or volume and bio-impedance for the lymphedema category;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numerical rating scale (NRS) for the pain category; and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breast cancer module (EORTC QLQ)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 (FACT-B) for the quality of life category.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is scoping review provide valuable mapping data for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following breast cancer treatment. We recommend further research, particularly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o build upon these findings.

Antispastic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by T-reflex Study :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Preliminary Study

  • Cho, Min Kyoung;Lee, In;Kwon, Jung Nam;Shin, Byung Cheul;Ko, Sung Hwa;Ko, Hyun Yoon;Shin, Yong Il;Hong, Jin Woo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8-18
    • /
    • 2015
  • Objectives: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evaluated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EA) on spasticity but most studies could not assess spasticity quantitatively because they used clinical rating scales for assessment spastic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ffect of EA on poststroke spasticity quantitatively using tendon reflex (T-reflex). Methods: 29 stroke patients with upper extremity spasticity were randomized to EA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A group received combined EA and rehabilitation therapy 5 times a week for 3 weeks. Acupuncture treatment was given at Jian Yu (LI 15), Qu Chi (LI 11), Shao Hai (HT 3), Wai Guan (TE 5), He Gu (LI 4), Lie Que (LU 7), Hou Xi (SI 3) of the affected side, 30 minutes of electrical stimulation with a frequency of 40/13 Hz was applied at Qu Chi (LI 11), He Gu (LI 4).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ly rehabilitation therapy. The efficacy of treatment was assessed using T-reflex latency and amplitude, modified Ashworth scale (MAS) of biceps brachii, brachioradialis and triceps brachii. Fugl-Meyer motor function assessment (FMA) and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were also measured to assess motor function and functional independence. All outcomes were measured before treatment, immediately after 3 weeks of treatment and 1 week after 3 weeks of treatment.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utcomes including T-reflex between the study groups except for FIM values immediately after 3 weeks of treatment (p=0.037).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3 weeks of EA does not reduce poststroke upper extremity spasticity electrophysiologically and clinically. However, small sample sizes and contradictory tendency between results from T-reflex and those from MAS require cautious judgement on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A larger, well-designed clinical trial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effect of EA on poststroke spasticity will be needed.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간에 따른 삼킴 기능 변화 (Dysphagia and Oral Function in Chronic Stoke Patient: 3 Months Follow up Study)

  • 임익재;고명환
    • 재활복지
    • /
    • 제22권1호
    • /
    • pp.141-156
    • /
    • 2018
  • 본 연구는 2011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대학 병원에 입원 또는 재원중인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삼킴 장애 양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맨 삼킴 능력 평가(Mann Assessment Swallowing Ability)에 의해 178점 이하의 점수를 보인 삼킴 장애 환자들로 이 기간 동안 최소 2회 이상의 비디오투시조영 삼킴 검사(videofluroscopic swallowing examination)를 수행한 환자 10명 이었다. 또한 이들의 삼킴 문제를 비교하기 위해 나이와 성별을 고려한 정상 성인 8명이 대조군으로 참여하였다. 시간에 따른 삼킴 장애 및 삼킴 기능을 비교하기 위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구강통과시간, 인두통과시간, 후두폐쇄유발시간, 바륨 삼킴 검사(Modified Barium Swallowing Impairment Profile: $MBSImP^{TM(c)}$) 및 기능적 구강 섭취 척도(Functional Oral Intake Scale: FOIS)를 평가하였다. 삼킴 평가는 입원 후 일주일 이내에 이루어졌으며 기초선 평가 후 3 개월이 지난 뒤 재검사되었다. 연구 결과, 기초선 평가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는 정상인보다 지연된 삼킴 시간을 보였다(구강통과시간; z=-3.60, p<0.001, 인두통과시간; z=-2.77, p=0.004, 후두반응시간; z=-3.56, p<0.001). 만성 뇌졸중 환자군은 3개월 이후에도 비슷한 수준의 삼킴 시간을 보여 삼킴 효율성은 개선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MBSImP^{TM(c)}$와 FOIS 결과에서 구강 단계의 삼킴 기능과 구강 섭취 능력이 두 시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MBSImP^{TM(c)}$; z=-2.02, p=0.04, FOIS; z=-2.27, p=0.02). 3개월 후에 뇌졸중 환자는 구강 기능 및 구강 섭취 능력이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부 삼킴 기능이 회복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장애 양상을 규명하고 호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문제를 관리하고 계획하는 기초 자료를 수립하였다.

Impact of Collateral Circulation on Futile Endovascular Thrombectomy in Acute Anterior Circulation Ischemic Stroke

  • Yoo Sung Jeon;Hyun Jeong Kim;Hong Gee Roh;Taek-Jun Lee;Jeong Jin Park;Sang Bong Lee;Hyung Jin Lee;Jin Tae Kwak;Ji Sung Lee;Hee Jong Ki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7권1호
    • /
    • pp.31-41
    • /
    • 2024
  • Objective : Collateral circulation is associated with the differential treatment effect of endovascular thrombectomy (EVT) in acute ischemic stroke. We aimed to verify the ability of the collateral map to predict futile EVT in patients with acute anterior circulation ischemic stroke. Methods : This secondary analysis of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cluded data from participants underwent EVT for acute ischemic stroke due to occlusion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and/or the middle cerebral artery within 8 hours of symptom onse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independent predictors of futile recanalization (modified Rankin scale score at 90 days of 4-6 despite of successful reperfusion). Results : In a total of 214 participants, older age (odds ratio [OR], 2.40; 95% confidence interval [CI], 1.56 to 3.67; p<0.001), higher baselin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scores (OR, 1.12; 95% CI, 1.04 to 1.21; p=0.004), very poor collateral perfusion grade (OR, 35.09; 95% CI, 3.50 to 351.33; p=0.002), longer door-to-puncture time (OR, 1.08; 95% CI, 1.02 to 1.14; p=0.009), and failed reperfusion (OR, 3.73; 95% CI, 1.30 to 10.76; p=0.015) were associated with unfavorable functional outcomes. In 184 participants who achieved successful reperfusion, older age (OR, 2.30; 95% CI, 1.44 to 3.67; p<0.001), higher baseline NIHSS scores (OR, 1.12; 95% CI, 1.03 to 1.22; p=0.006), very poor collateral perfusion grade (OR, 4.96; 95% CI, 1.42 to 17.37; p=0.012), and longer door-to-reperfusion time (OR, 1.09; 95% CI, 1.03 to 1.15; p=0.003) were associated with unfavorable functional outcomes. Conclusion : The assessment of collateral perfusion status using the collateral map can predict futile EVT, which may help select ineligible patients for EVT, thereby potentially reducing the rate of futile EVT.

오차배제훈련을 병행한 시간차 회상훈련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와 수단적 일상생활(IADL)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단일대상연구 (The Effects of Spaced Retrieval Training with Errorless Learning on Memory, IADL, Depress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Single-Subject Design)

  • 김연주;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2호
    • /
    • pp.73-83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오차배제훈련을 병행한 시간차회상훈련이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환자의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와 수단적 일상생활(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주간보호시설에 등록된 78세 MCI 노인을 대상으로 단일 대상 실험 연구 중 ABA 설계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진행한 총 16회기 중 기초선 A는 총 3회기, 중재기간 B는 총 10회기, 기초선 A'는 총 3회기였다. 기억력을 측정하기 위한 회기별 평가로 Rey-Kim 언어 기억 검사(K-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K-AVLT)를 사용하였고, 인지기능, IADL 수행 능력,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 필라델피아 노인 센터 IADL 도구(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Instrumental Activities Daily Living; PGC IADL), 한국판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K)를 사용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기초선 A기간에 비하여 중재를 제공한 B기간에서의 즉시회상 및 지연회상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즉시회상과 지연회상 모두 B 기간에서 증가하던 측정값의 경향이 중재를 제거한 후인 기초선 A'구간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oCA-K 점수는 향상을 보였으며, PGC IADL 점수는 중재 전과 후가 같았고 GDS-K의 점수는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MCI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오차배제훈련을 병행한 시간차 회상훈련의 근거를 확고히 하였다. 나아가 MCI 환자들이 기억력과 함께 어려움을 겪는 요인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및 기억력과 다른 기능적 요소들에 대한 상관관계에 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노인 낙상군과 노인 비낙상군의 비교: 균형능력과 우울감 및 삶의 질 (Comparison of Elderly Fallers and Elderly Non-Fallers: Balancing Abili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 전민재;전혜선;이충휘;신헌석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5-54
    • /
    • 2014
  • Fall is one of the most intimidating health conditions in elders. Comprehensive assessmen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falls such as balancing abilitie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alancing abili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between elderly fallers and elderly non-fallers. Thirty-two community-dwelling elders (fifteen males and seventeen females between 65 and 83 years old), who have experienced fall on walking during last twelve months, were involved in the elderly fallers group. And twenty-four males and twenty-two females between 65 and 83 years old of community-dwelling elders, who have no experienced fall on walking during last twelve months, were involved in the elderly non-fallers group. Berg balance scale (BBS), timed up and go test (TUG), and functional reach test (FRT), were used to evaluate the ability of the physical balance. 'Beck depression scale in Korean'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depression. 'Korean versio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Bref'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quality of lif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alancing abilities measured by the BBS, TUG in the elderly fallers group were meaningfully lower than that of the elderly non-fallers group (p<.05),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T was found (p>.05). 2) Depression level in the elderly faller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elderly non-fallers group (p<.05). 3)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faller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elderly non-fallers group, excluding environment domain (p<.05). Therefore, in order for clinical evaluation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s those with reduced balancing ability,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nd understand the fall experienc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Upper Limb Functions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Stroke)

  • 김선희;김광기;정원미;이정원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401-420
    • /
    • 2013
  • 본 연구는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장기적인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총 30명을 대상으로 신경인지재활치료군과 전통적인 작업치료군을 각각 15명씩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은 1회 30분, 주 5회, 4주 동안 적용하였다. 대상자의 실험 전과 후의 기능회복 정도는 뇌졸중 상지기능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와 Fugl-Meyer Assessment Scale(FMA),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orean-Modified Bathel Index; K-MBI) 점수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신경인지재활치료군이 상지기능검사에서 MFT와 FMA 측정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상지기능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상생활동작 검사에서는 신경인지재활치료군에서만 K-MBI 값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 <.05). 연구결과를 통하여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공황장애에서 단기약물치료가 불안민감도와 삶의 질 및 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ort-Term Pharmacotherapy on Anxiety Sensitivity, Quality of Lif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Panic Disorder Patients)

  • 오윤혜;최관우;김보라;허정윤;유범희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30
    • /
    • 2013
  • 공황장애 환자에서 12주간의 escitalopram 약물치료 결과, 공황장애 증상은 관해 상태에 이르렀고, 높은 불안민감도와 삶의 질 저하 및 기능장애가 모두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하지만 공황장애 환자들은 약물치료 후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은 불안민감도와 삶의 질 저하 및 기능장애를 보여서 이의 회복을 위해서는 장기간의 약물치료가 필요할 수 있겠다.

말기암환자의 영적 안녕과 통증, 불안 및 우울과의 연관성: 예비 연구 (Associ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Pain, Anxiety and Depress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 Pilot Study)

  • 이용주;김철민;인요한;이덕철;서상연;서아람;안홍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3호
    • /
    • pp.175-182
    • /
    • 2013
  • 목적: 말기암환자의 영성은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영역이지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해 있는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영적 안녕과 통증, 불안 및 우울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방법: 서울소재 일개 대학병원에 입원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자와 연구간호사가 연구에 동의한 50명의 환자에게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는 방법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영적 안녕지수의 측정은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Illness Therapy-Spirituality (FACIT-Sp)의 영적 상태 12문항을 이용하였으며 병원 우울불안지수는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통증지수의 측정은 BPI-K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earmans' rank test, T-test,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영적 안녕은 평균 통증 강도(r=-0.283, P<0.05), 불안 하부척도(HADS-A)(r=-0.613, P<0.05), 우울 하부척도(HADS-D)(r=-0.526, P<0.05)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보정한 뒤에도 영적 안녕은 종교유무(OR=9.193, 95% CI=4.158~14.229, P<0.001)와 불안하부척도(OR=-1.03, 95% CI=-1.657~-0.403, P=0.002)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말기암환자의 영적 안녕감은 통증, 우울, 불안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종교가 있고 우울지수가 낮은 경우 영적 안녕감의 증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추후 전향적 연구를 통한 영적 말기암환자의 영적 중재 및 영적 지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시맨틱 서비스 플랫폼상에서의 신뢰성 비교 평가 (Comparative Reliability Evaluation on Semantic Service Platforms)

  • 정한민;이미경;류범종;김도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호
    • /
    • pp.105-109
    • /
    • 2010
  • 정보화 사회 핵심 인프라인 웹 상에서 수많은 정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차세대 웹이라 일컫는 시맨틱 웹 기술을 활용한 시맨틱 서비스는 그 숫자나 서비스 제공 범위에 대한 공감대에 있어서 아직 성숙되지 못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2개의 시맨틱 서비스들의 동일한 세 가지 기능들을 비교 평가하는 방식으로 시맨틱 서비스를 개발함에 있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신뢰성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인지 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비교 대상 시스템의 신뢰성 측정을 위해, 피실험자의 기대-결과 신뢰성과 작업 정확도 측정이 관찰자 관점에서 수행되었으며, 다른 한편으로, 기능적 신뢰성과 정보 신뢰성 스칼라 값(0~5)을 피실험자 스스로 벡터 그래프에 나타내도록 하였다. 실험결과는 관찰자에 의한 평가 값과 피실험자에 의한 평가 값이 매우 유사함을 보여 주었으며, 서비스된 정보의 정확성과 작업 수행의 만족성이 사용자 관점에서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우리는 시맨틱 서비스가 제공하는 기능적 신뢰성과 기능 수행의 결과로 서비스되는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정보 시스템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필수적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신뢰성은 시맨틱 정보 서비스에서 사용상 품질 (Quality in Use)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서비스의 사용상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실증하였다.